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과 생체지표유전자를 이용한 서해안 갯벌 건강도 평가

        최희찬,최윤석,강한승,이윤,Choi, Hee Chan,Choi, Yoon Seok,Kang, Han Seung,Lee, Yoon 한국해양생명과학회 2018 한국해양생명과학회지 Vol.3 No.2

        갯벌의 건강 수준에 대한 평가는 갯벌에 서식하는 생물의 건강에 의해 평가될 수 있다. 생체지표유전자의 발현 분석을 통하여 갯벌에 서식하는 생물의 건강 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heat shock protein 70 (Hsp70), heat shock protein 90 (Hsp90), glutathione S-transferases (GST) 및 thioredoxin (TRX)과 같은 생체지표유전자를 이용하여 서해안 갯벌의 건강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들 유전자는 스트레스, 면역 및 항산화 관련한 유전자들로서 이들 유전자의 발현을 통해 생물의 건강 정도를 관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의 8개 정점에서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을 수집했다. 유전자의 발현은 RT-qPCR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Hsp70, Hsp90, GST 및 TRX 유전자들의 발현이 8개 정점에서 차별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Hsp90 및 GST의 발현 또는 Hsp70 및 TRX의 발현은 유사하였다. 이것은 각 유전자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물질이 존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화학적 분석결과에 근거하여 분석에 적합한 유전자를 선택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 결과는 Hsp70, Hsp90, GST 및 TRX 유전자는 갯벌의 건강을 평가하기 위한 생체지표유전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여름철 낙동강 하구역 해빈 쇄파대에서 출현하는 누치(Hemibarbus labeo) 미성어의 위내용물

        최희찬,박주면,백근욱,허성회,Choi, Hee Chan,Park, Joo Myun,Baeck, Gun Wook,Huh, Sung Hoi 해양환경안전학회 2016 海洋環境安全學會誌 Vol.22 No.6

        본 연구는 여름철 낙동강 하구역 해빈 쇄파대에서 누치 유어의 출현양상, 위내용물 조성, 체장과 주야간 위내용물 조성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시료는 2014년 주야간에 낙동강 하구역 해빈 쇄파대의 2개 정점에서 지인망으로 8월에 채집된 67개체를 이용하였다. 여기서 채집된 개체의 체장은 5.1에서 9.7 cm의 범위를 보였다. 누치는 단각류를 주로 섭식하는 육식성으로 어류였으며, 그 외 어류와 갯지렁이류 그리고 새우류 등을 부가적으로 섭식하였다. 누치는 크기에 따라 식성변화를 보여, 가장 작은 크기군(< 6.4 cm SL)의 개체들은 단각류를 주로 섭식하였던 반면, 체장이 증가할수록 단각류 대신 어류의 비중이 증가하였다. 주야에 따라서는 주간에는 단각류와 갯지렁이류를 주로 섭식하였고, 야간에는 어류를 주로 섭식하였다 The composition of the diet of juvenile barbel steeds, Hemibarbus labeo was studied using 67 specimens collected in August, 2004 from the surf zone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The fish examined ranged from 5.1 to 9.7 cm in standard length (SL). Hemibarbus labeo was found to be carnivorous and consumed mainly amphipods, with teleosts, polychaetes, and shrimps following. They showed size-related changes in diet. Small individuals (< 6.4 cm SL) mainly consumed amphipods. As fish size increased, the portion of amphipods consumed decreased, while a reverse trend was evident for teleosts. It was also observed that Hemibarbus labeo consumed more amphipods and polychaetes during the day, while fish served as their main prey during the night.

      • KCI등재

        통영 장평리 잘피밭에 출현하는 복섬(Takifugu niphobles )의 위내용물 조성

        최희찬 ( Hee Chan Choi ),박종혁 ( Jong Hyeok Park ),남기문 ( Ki Mun Nam ),백근욱 ( Gun Wook Baeck ) 한국어업기술학회 2018 수산해양기술연구 Vol.54 No.2

        The diet composition of Takifugu niphobles was studied with 587 specimens collected in the eelgrass bed of Jangpyeong-ri, Tongyeong, Korea, using a seine net, monthly from May 2016 to April 2017. The standard length (SL) of the specimens ranged from 0.7 to 9.0 cm. The stomach contents analysis indicated that T. niphobles consumed mainly amphipods (%IRI: 91.0 %). In addition, T. niphobles fed on small quantities of copepods, polychaetes, insects, bivalves and crabs. T. niphobles consumed mainly amphipods over all size class. Smaller individuals (less than 4 cm SL) fed mainly on amphipods and copepods. The proportion of copepods decreased, as body size increased, whereas the consumption of polychaetes increased gradually. The seasonal variation in the diet composition of T. niphobles was significant. Amphipods were most common prey in all seasons. Copepods decreased from summer to spring gradually whereas the consumption of polychaetes increased in autumn.

      • KCI등재

        서해 중부 연안에 출현하는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의 성장과 계절에 따른 식성 변화

        최희찬 ( Hee Chan Choi ),허성회 ( Sung-hoi Huh ),박주면 ( Joo Myun Park ) 한국어류학회 2017 韓國魚類學會誌 Vol.29 No.2

        본 연구는 서해 중부 연안에 출현하는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의 위내용물 분석을 통하여, 위내용물 조성과 성장 및 계절별 식성변화를 분석하였다. 쥐노래미의 전장 (total length, TL)은 5.6 cm에서 32.4 cm의 범위였다. 쥐노래미는 단각류 (amphipods), 새우류 (carid shrimps), 어류 (teleosts)를 주로 섭식하였고, 그 외 다양한 저서 갑각류와 무척추동물을 소량 섭식하였다. 새우류와 어류는 미성어 (immature)와 성어 (mature)의 위내용물에서 공통적으로 우점하였다. 단각류와 갯지렁이류 (polychaetes)는 그 다음으로 우점하였는데, 단각류는 작은 크기의 어류에서, 갯지렁이류는 큰 크기의 어류에서 그 비율이 더 높았다. DISTLM (distance-based linear modelling) 결과, 쥐노래미의 위내용물은 전장, 계절, 수온에 따라 유의하게 변하였지만, 성숙도와는 관련이 없었다. Stomach contents of Hexagrammos otakii collected from mid-western coast of Korea were analysed to determine dietary composition, and ontogenetic and temporal dietary variations. Fish total length (TL) ranged between 5.6 and 32.4 cm. H. otakii primarily consumed amphipods, carid shrimps and teleosts, but also ate various benthic crustaceans and other invertebrates with small amounts. Carid shrimps and teleosts dominated the diet of both immature and mature fishes. Amphipods and polychaetes were secondary, and the former more frequently consumed by smaller specimens, while the latter was more abundant in the diets of larger fishes. DISTLM (distance-based linear modelling) showed diet composition of H. otakii varying significantly with TL, season and water temperature, but did not with maturity.

      • KCI등재

        낙동강 하구역 부유성 자치어 종조성의 시,공간 변동

        최희찬 ( Hee Chan Choi ),박주면 ( Joo Myun Park ),허성회 ( Sung Hoi Huh ) 한국어류학회 2015 韓國魚類學會誌 Vol.27 No.2

        2010년 9월부터 2011년 8월까지 매월 소조기에 낙동강 하구역의 안쪽과 바깥쪽 두 개 정점에서 자치어를 채집하여 종조성의 시공간 분포를 밝혔다. 연구기간 동안 출현한 자치어는 총 7목 26과에 속하는 43개 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망둑어과 자치어가 전체 개체수의 63.1%를 차지하여 가장 우점하였다. 그중 하계 출현 망둑어과 자치어가 개체수비 55.5%로가장 많이 채집되었다. 그 다음으로 청어 (13.2%), 멸치 (13.0%), 그리고 춘계 출현 망둑어과 자치어 (4.6%), 전어 (3.8%), 동계출현 망둑어과 자치어 (3.1%), 정어리 (1.2%), 웅어 (0.7%) 순으로 채집되었고, 이들 8개 분류군이 전체 자치어 출현량의 95.0 %를 차지하였다. 본 연구에서 출현한 자치어 군집은 총 5개의그룹으로 구분되었으며, 시기적으로 봄, 여름 및 가을, 그리고겨울 그룹으로 분리되었다. 특히 여름 및 가을에 자치어 군집의 공간적 분리가 나타났다. 하구역의 안쪽 정점에서는 하계출현 망둑어과 자치어가 우점하였으며, 바깥 정점에서는 망둑어류 외에 멸치가 우점하였고, 기타 다양한 해수어종의 자치어가 출현하였다. The species composition of larval fish assemblages in the Nakdong River estuary, Korea, was determined using monthly samples collected between September 2010 and August 2011 at two stations. A total of forty three larval species were collected during the study. Among forty three taxa of fish larvae, summer gobies, Clupea pallasii, Engraulis japonicus, spring gobies, Konosirus punctatus, winter gobies, Sardinops melanostictus, Coilia nasus were dominant taxa, and these eight taxa accounted for 95.0% in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varied greatly spatio-temprally showing the peak abundances of fish larvae in August 2011, and a few fish larvae were occurred in November 2010.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number of individuals of fish larvae showed that 21 month-station sampling units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at the similarity level of 50%, and the results of ANOSIM and SIMPER analysi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mmunity structure among five groups.

      • KCI등재

        COI 바코딩으로 동정한 남방표문쥐치 (Naso hexacanthus) 치어의 첫 형태 기재

        최해영 ( Hae-young Choi ),최희찬 ( Hee-chan Choi ),김성 ( Sung Kim ),오현주 ( Hyun-ju Oh ),윤석현 ( Seok-hyun Youn ) 한국어류학회 2022 韓國魚類學會誌 Vol.34 No.2

        본 연구는 동중국해에서 수집한 치어 (체장 5.2 mm)의 종을 COI 바코딩을 통해 남방표문쥐치 (Naso hexacanthus)로 동정하고, 형태를 처음으로 보고한다. 치어는 마름모꼴의 몸통으로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의 첫 극조는 길고 톱니가 나 있었다. 뒷지느러미 기저부에 네 개의 흑색소포, 미병부에 밀집한 흑색소포, 뇌 표면에 퍼져 있는 흑색소포가 있었다. 작은 가시 한 개가 각각 콧등과 눈 뒤에 있었고, 톱니 모양의 돌기가 머리, 눈 위, 전새개 골 내부와 외부, 새개골 아래와 옆 부분에 발달하였다. COI 바코딩으로 동정한 남방표문쥐치 치어의 형태적 특징은 치어의 종 동정에 유용할 것이다. Here, we present the first morphological description of a larval Naso hexacanthus (5.2 mm in body length) from the East China Sea identified by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barcoding. The larva had a kite-shaped body with long serrated first spine of dorsal and anal fins. There were four melanophores on the base of the anal fin, dense melanophores on the caudal peduncle, and scattered melanophores on the surface of the brain. There was one small spine on the snout and behind each eye, with serrations on the head, top of the eye, inner- and outerpreopercle, and on the lower part and side of the opercl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arval N. hexacanthus identified by COI barcoding will be useful for species identification of larval fish.

      • KCI등재
      • KCI등재

        통영 연안 조간대의 조수웅덩이에 출현하는 점망둑 (Chaenogobius annularis)의 식성

        조갑자 ( Gab Ja Cho ),김현지 ( Hyeon Ji Kim ),박종혁 ( Jong Hyeok Park ),최희찬 ( Hee Chan Choi ),백근욱 ( Gun Wook Baeck ) 한국어류학회 2016 韓國魚類學會誌 Vol.28 No.4

        채집기간 동안 총 315개체의 점망둑 (Chaenogobius annularis)이 채집되었으며, 8.6%의 공복률을 보였다. 점망둑의 가장 중요한 먹이생물은 상대중요성지수비 50.5%를 차지한 요각류 (Copepoda)였다. 요각류 다음으로 해조류 (Seaweed)가 우점하였으며, 그 외 곤쟁이류 (Mysidacea), 만각류 (Cirripedia), 단각류 (Amphipoda) 등도 섭식하였으나 그 양은 많지 않았다. 점망둑은 성장함에 따라 요각류의 섭식은 감소하였고 해조류의 섭식이 증가하였다. The feeding habits of Chaenogobius annularis were studied based on gut contents analysis of 315 individuals, collected from September 2014 to August 2015 in the tidepools at the intertidal zone of Tongyeong, Korea. The size of C. annularis ranged from 17.0 to 54.0 mm in standard length (SL). C. annularis mainly consumed copepods (especially Tigriopus japonicus). Its diets included seaweeds, cirripeds, mysids and amphipods. C. annularis showed ontogenetic changes in feeding habits. Small individuals fed mainly on copepods. As body size increased, the portion of seaweed increased, whereas the consumption of copepods decreased.

      • SCOPUSKCI등재

        자가늑연골 이식을 이용한 이개재건술

        김성수,정승문,최희찬 大韓成形外科學會 1995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22 No.5

        Total auricular reconstruction with autogenous tissue needs sense and medical understanding in sculpturing. The contour of the constructed structure of the auricle tend to diminish after ear reconstruction.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obtain the proper projection and contour of the constructed ear. there have been numerous articles concerned with ear construction, even though most methods or procedures are plagued with problems. The major factors concerned in ear construction have been described as the state of cartilage framework, state of skin flap, and postoperative care. This paper discusses the major modification and stage of refinement involved in attaining a natural looking helix, a prominent antihelix, and an ideal projection. These techniques have evolved through experiences with 40 cases during the past 5 years with good results.

      • SCOPUSKCI등재

        선천성 이개기형의 교정의 치험례

        김성수,정승문,최희찬 大韓成形外科學會 1995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22 No.5

        Congenital ear deformities have been an important and interesting topic to Plastic Surgeons for a long time due to the thin and delicate structure of the external ear. For correction of congenital ear deformities, accurate concept of the state of the deformed cartilage and the amount of skin needed for the cartilage after the correction is essential. Afterwards, several procedures may be applied according to the deformity. Autogenous rib grafting with full thickness skin grafting for correction of microtia, Z-plasty, V-Y advancement or other local claps with or without cartilage grafting in cryptotia, antihelcal formation or conchal reduction in prominent ear, and antihelical formation, rim flattening in Stahl's ear may take place. We corrected 35 cases of microtia, 7 cases of cryptotia, 6 cases of prominent ear, 7 cases of constricted ear, 1case of Stahl's ear using each optimal method and the results were satisfactory to the patient. therefore, we report with relative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