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urrent Status and Tasks of Virtual Reality Contents in Korean Ancient History

        최희수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9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38

        Virtual reality contents are used widely in history education by showing the past history and culture that contemporary people can not experience through virtual reality. Especially in the field of Korean ancient history where historical records are lacking, these virtual reality contents are useful for history education. Therefore, many Korean ancient history virtual reality contents have been produced. These can be categorized as restoration type and preservation type, information providing type and experience type. However, current virtual reality contents are limited in terms of developing historical imagination and thinking ability. In order to overcome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metaverse elements that enables a richer experience. Metaverse includes elements such as virtual world, augmented reality, mirror world, and lifelogging, and it can develop content that combines historical experience with chronological thinking, historical exploration, historical imagination, and historical judgment. By doing so, it is expected that the public will be able to cultivate historical thinking abilities through a wide range of historical experiences, rather than simply recognizing historical facts.

      • KCI등재

        항공용 고강도 2xxx계 알루미늄 합금의 3.5 % 염수 환경에서의 응력부식균열 민감도

        최희수,이다은,안수진,이철주,김상식,Choi, Heesoo,Lee, Daeun,Ahn, Soojin,Lee, Cheoljoo,Kim, Sangshik 한국재료학회 2018 한국재료학회지 Vol.28 No.12

        For the aerospace structural application of high-strength 2xxx series aluminum alloys, stress corrosion cracking(SCC) behavior in aggressive environments needs to be well understood. In this study, the SCC sensitivities of 2024-T62, 2124-T851 and 2050-T84 alloys in a 3.5 % NaCl solution are measured using a constant load testing method without polarization and a slow strain rate test(SSRT) method at a strain rate of 10-6 /sec under a cathodic applied potential. When the specimens are exposed to a 3.5 % NaCl solution under a constant load for 10 days, the decrease in tensile ductility is negligible for 2124-T851 and 2050-T84 specimens, proving that T8 heat treatment is beneficial in improving the SCC resistance of 2xxx series aluminum alloys. The specimens are also susceptible to SCC in a hydrogen-generating environment at a slow strain rate of $10^{-6}/sec$ in a 3.5 % NaCl solution under a cathodic applied potential. Regardless of the test method, low impurity 2124-T851 and high Cu/Mg ratio 2050-T84 alloys are found to have relatively lower SCC sensitivity than 2024-T62. The SCC behavior of 2xxx series aluminum alloys in the 3.5 % NaCl solution is discussed based on fractographic and micrographic observations.

      • KCI등재

        디지털 독서 시대 한국학 고전DB 서비스의 발전 방향

        최희수 한국고전번역원 2021 民族文化 Vol.59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classics DB service related to Korean Studies, seeking a service plan suitable for the digital reading era. Currently, the Korean Studies Classics DB services are being conducted by several institutions. There are two most common data approaches. One is directory services and the other is search services. Directory services may confuse users because they are provided according to diverse criteria for classification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stitution's collections. Although the search services has a good search function, it is difficult for users to access the information they want because they provide search results in the form of a simplified list. The conclusions of this paper are: In order to improve the above problem, first, the improvement or establishment of the directory services was proposed. It was considered desirable to apply such criteria for classification as subject, form, author, and thought that non-experts can easily understand. Second, improvement of the search result provision method was proposed. Instead of providing a simplified list of search results, a method was proposed to provide a group of search results by meaning, through establishing a meaningful relationship network among the lists of search results. On the other hand, it was proposed to introduce digital curation to promote the reading of classics in Korean Studies. By linking the individual data in the Classics according to the semantic relation and understanding the information comprehensively, it is presented so that a knowledge system can be constructed. In addition to introducing digital technologies such as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o the translation and research of classical information, we looked at ways that non-professionals can use the Classic DB smoothly through this method for services. 본 연구는 한국학 관련 고전DB 서비스의 현황을 점검해 보고, 디지털 독서 시대에 걸맞는 서비스 방안을 모색해 본 것이다. 현재 한국학 고전 DB는 여러 기관들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가장 보편적인 자료 접근방식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디렉토리 서비스이고, 다른 하나는 검색 서비스이다. 디렉토리 서비스는 각 기관별로 소장자료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분류기준으로 서비스되고 있기 때문에 이용자들에게 혼란을 줄 수 있다. 검색 서비스는 검색 기능을 좋으나, 검색결과를 단순한 목록 형태로 제공하기 때문에 이용자가 원하는 정보에 접근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의 개선을 위해서 첫째, 디렉토리 서비스의 개선 또는 신설을 제안하였다.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주제, 형태, 저자, 사상 등의 분류기준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둘째, 검색결과 제공 방식의 개선을 제안하였다. 단순한 검색결과 목록 제공방식이 아니라 검색결과 목록 간의 유의미한 관계망을 설정하여 해당 의미별로 검색결과를 묶어서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한편 고전 읽기에 대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디지털 큐레이션을 도입할 것을 제안하였다. 고전들에 있는 개별 자료들을 의미 관계에 따라 자료를 연결하여 종합적으로 정보를 이해함으로써 하나의 지식체계망을 구성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빅데이터나 인공지능과 같은 디지털 기술을 고전정보의 번역과 연구에 도입하는 것과 아울러 서비스에도 이 같은 방식을 통해 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도 고전DB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지역문화자원 아카이브 콘텐츠 큐레이션 방안 연구- 지역N문화 서비스를 중심으로 -

        최희수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20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42

        In recent years, regional revitalization has become a super concern of local governments. Such regional revitalization has been centered on economic development until recently, and has only recently been converted to cultural value-oriented. In order to achieve regional vitalization centered on cultural values, it is important to discover local cultural resources. Discovery of local cultural resources comes from archiving local cultural resources with potential value. In this regard, the Region N Culture Archives recently promoted by the Federation of Korea Culture Center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The Region N Culture Archives is an archive of local cultural resources that have been investigated, researched, and accumulated by local culture centers throughout the country. Through various menus, local cultural resources are served in various ways. However, current Region N Culture Archives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are serviced in the context suggested by local culture centers. In other words, it is insufficient to discover and utilize new cultural resources with potential value.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a curation method for content to explore local cultural resources in various contexts. It is a way of segmenting the stories of various local resources, extracting key items from them, and forming a network of other resources. By doing so, we can look at local cultural resources from a new perspective and develop cultural contents. This has the advantage of discovering abundant derivative contents, and can be expected to have a great effect on local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or transmedia contents development. 최근 들어 지역 활성화는 전국 지방자치단체들의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이러한 지역 활성화는 그동안 경제개발 논리를 중심으로 전개되어 왔다가 최근에 이르러서야 문화가치 중심의 논리로 전환되고 있다. 문화가치 중심의 지역 활성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우선 지역문화자원의 발굴이 중요하다. 지역문화자원의 발굴은 잠재적 가치를 지닌 지역문화자원들을 아카이빙하는 것으로부터 비롯된다. 이러한 점에서 최근 한국문화원연합회에서 추진한 지역N문화 아카이브는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지역N문화 아카이브는 전국의 지방문화원들이 그동안 조사, 연구, 집적해 왔던 지역문화자원들을 한데 모은 아카이브이다. 여러 가지 메뉴들을 통해 지역문화자원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서비스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지역N문화 아카이브는 기존의 지방문화원들이 제시한 맥락 속에서 서비스되고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니고 있다. 즉 잠재적 가치를 지닌 새로운 문화자원을 발굴하고 활용하기에는 미흡한 측면이 있다. 따라서 이글에서는 다양한 맥락 속에서 지역문화자원을 탐색할 수 있도록 콘텐츠 큐레이션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지역의 다양한 자원들이 지닌 이야기를 분절화하고, 그 안에서 주요한 항목들을 추출해 내어, 기타 자원들과의 관계망을 형성하는 방식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새로운 시각에서 지역문화자원을 바라보고, 문화콘텐츠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이는 풍부한 파생콘텐츠를 발굴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서, 지역문화콘텐츠 개발 또는 트랜스미디어 콘텐츠 개발에 큰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 KCI등재

        기본법 40년과 기본권이론의 현황

        최희수,Bockenforde, E W 안암법학회 1996 안암 법학 Vol.- No.4

        오늘날의 기본권이해는 기본권의 이중성으로 특징지워진다. 한편으로 기본권은 개별기본권주체의 대국가적인 주관적 자유권으로 이해되고 있고 다른 한편 이와 동시에 법의 모든 영역에 대해서도 효력을 갖는 객관적 원칙규범 내지 가치결단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것은 그 밖에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는 기본권해석논쟁에 있어 공통의 기초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기본권의 이중적 형태에는 가장 중요하면서도 아직 해결되지않고 있는 기본권이해에 관한 문제가 가로놓여 있다. 오늘날 기본권은 사실상 법질서 전체에 대한 최상의 원리로서 효력을 가지며 단순히 고권적으로 활동하는 공권력과 개인의 관계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함께 기본권은 개별 법동료 상호간의 관계도 규율하며 그들의 사적자치를 제한하기도 한다. 기본권은 또한 자유보장을 위한 규범일 뿐만 아니라 동시에 국가에 대해 일정한 행위를 위임하고 보호의무를 부과하는 규범이기도 하다. 이러한 사실은 헌법구조(Verfassungsgef¨ge)의 변화까지도 초래하고 있으며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점차 확고해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헌법재판소의 지위와 기능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본권관련판결에서 연방헌법재판소는 더 이상 이미 주어져있는 헌법내용을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법창조적로 헌법을 구체화하는 기관이 되고 있다. 헌법은 -사례와 관련되어 있지만 그러나 일반적으로 구속력을 가지면서- 내용적으로 풍부해져 가고 있으며 입법자는 헌법재판소결정의 우위때문에 이에 구속된다. 헌법재판소는 고전적 의미에서의 사법권(Jurisdiktionsgewalt)-이것은 유럽대륙의 국가들의 구조적 표지를 이루고 있는 법제정과 법적용이 분리되기 이전의 것이다-의 보유자인 셈이다. 헌법재판소가 갖는 포괄적인 권한들이 그것을 뒷받침하고 있다. 동재판소는 연방정부, 지방정부, 혹은 연방의회의원 1/3의 제청에 따라 모든 법률이 헌법과 합치하는지의 여부에 대해 심사하고 경우에 따라 무효로 선언할 권한이 있다(기본법 제93조 1항-추상적 규범통제). 또한 법적 분쟁이 발생할 경우 판결에 대해 중요한 의미를 갖는 헌법제정 이후의 형식적 법률에 대해 위헌이라고 생각하는 모든 법원의 제청에 기해 당해법률의 합헌성여부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있다(동법 제100조 1항-구체적 규범통제). 끝으로 국가의 고권적 행위(법률, 행정조치, 판결)로 인해 자신의 기본권 혹은 이와 동일시할 수 있는 권리가 침해되었다고 주장하는 모든 사람은 헌법재판소에 소원을 제기할 수 있다(동법 제93조 4a호, 연방헌법재판소법 제90조 이하-헌법소원). 이하의 설명은 기본법하에서 기본권효력에 관한 초기상황을 고찰(I.)한 연후에 기본법 시행후 40년간 헌법재판소판례와 헌법이론을 통해 형성된 기본권효력의 중요한 발전단계들을 보다 자세히 고찰할것이다(II.-lV.). 다음에 이들 결과로부터 헌법구조에 초래된 영향(Folgewirkung)을 고찰하고(V.), 끝으로 기본권이론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가라는 문제를 제기(VI.)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