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고령사회 대안 패러다임으로써 연령통합의 유용성에 대한 고찰

        최혜지(Choi, Hye-Ji),박정화(Park, Junghwa),권미리(Kwon, Miri),정순둘(Jung, Soon-Dool) 한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학 Vol.67 No.3

        본 연구는 연령통합이 고령사회의 대안 패러다임으로 주목되고 있음에도 국내에서는 담론적 논의마저 부진하며, 사회일반은 논의에서 조차 배제되어 왔다는 문제의식에 기초하고 있다. 연령통합이 사회와 개인에게 가져올 영향에 대한 사회일반의 인식을 통해, 고령사회의 대안 패러다임으로서 연령통합이 갖는 유용성을 고찰하고자 했다. 분석의 입체성을 부각하기 위해 사회일반과 전문가의 인식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사회일반은 연령통합의 사회적 및 개인적 영향에 대해 전문가 보다 회의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일반은 고령친화적 지역사회 환경조성, 노인의 사회적 기여증가 등 물리적이고 일상적인 변화를 중심으로 연령통합의 사회적 영향을 이해했다. 반면 전문가는 사회적 연대의 증가, 세대간 이해증진 등 세대간 관계의 질적 변화를 중심으로 인식했다. 연령통합의 개인적 영향은 사회일반의 경우 자기결정권의 중요성 증가, 생애탄력성과 자율성 증가 등 사적 영역을 중심으로 인식해 사회참여 기회의 증가를 중심으로 이해하는 전문가와 차이를 보였다. 사회일반 또는 전문가의 집단소속은 연령통합의 개인적 영향에 대한 인식을 유의미하게 결정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This study started from ideas on lack of discussion regarding age integration emphasized as an alternative paradigm for aged society and exclusion of policy target from discussion on age integration. This study analyzed potentiality of age integration through comparing the perception on impacts of age integration between policy target and professional. Results showed that policy target perceived social and individual effects of age integration more sceptically than professional. Also, policy target reported higher levels of agreement on development of age friendly environment and increase in social contribution by the aged as social impacts of age integration. Otherwise policy target, professional showed higher levels of agreement on enhancement of social solidarity and increase in mutual understanding among generations. In perception on individual impacts of age integration, policy target differed from professional by emphasizing extension of self-determination and self-autonomy. Lastly, group membership of policy target or professional significantly determined levels of agreement on positive impacts of age integration.

      • KCI등재

        돌봄의 위험지위와 복지선호에 기초한 사회적 균열의 탐색

        최혜지 ( Choi Hye-ji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20 사회복지정책 Vol.47 No.1

        이 연구는 복지선호에 관한 사회적 균열을 분석한 그간의 사유가 구사회적 위험을 대상으로 한 계급 정치에 기반 해 전개되었다는 문제의식에 기초한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복지선호에 관한 사회적 균열을 신사회적 위험인 돌봄을 중심으로 위험지위를 이용해 탐색하고자 했다. 한국종합사회조사 2016년 원자료를 이용해 성인남녀 1051명의 자료를 분석했다. 잠재계층분석(LCA)를 이용해 분석한 결과, 돌봄수행정도와 돌봄 관련 가치관에 따라 돌봄의 위험지위는 다섯 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돌봄의 위험지위는 복지선호를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반면 복지선호에 대한 계급의 설명력은 제한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복지선호도가 높은 세 개의 돌봄의 위험지위 유형이 친복지적 연합을 이루고, 복지 선호도가 낮은 두 개의 돌봄의 위험지위 유형이 반복지적 연합을 이루는 균열구조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elaborated from the idea that social division has been mainly explained by social class paradigm even though new social risks have emerged which are loosely connected with social class. Based on that notion, this study explored the social division regarding attitude toward welfare corresponding with risk status on care giving. Data on 1051 Korean adults aged 20 and over from KGSS data set were analyzed with Latent Class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five risk group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level of involvement in family care giving and belief system related to care giving. Membership of risk group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ttitude toward welfare. Also, one conflict line was confirmed between three risk groups stongly supporting high level of welfare and two groups supporting economic development over welfare.

      • KCI등재

        고령 노동자의 불안정 노동과 삶의 질

        최혜지(Choi, Hye Ji),정은수(Jeong, Eun Su)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8 사회과학연구 Vol.25 No.2

        이 연구는 불안정 노동이 고령자의 삶에 미치는 영향을 청장년과의 비교를 통해 분석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고용불안정과 소득불안정을 중심으로 불안정 노동이 사회경제적 지위, 사회경제적 지위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기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했다. 한국노동패널조사의 2016년 자료를 이용하여 55세 이상의 고령 노동자 5,548명, 15세 이상 55세 미만의 청장년 노동자 8,654명의 자료를 분석했다. 분석결과, 사회적 기대, 사회경제적 지위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기대, 삶의 만족도는 고용불안정과 소득불안정성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고령 노동자와 청장년 노동자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는 초세대적 현상으로 확인되었다. 고용불안정은 고령 노동자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소득불안정은 사회경제적 지위, 사회경제적 지위의 변화에 대한 기대,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세대는 고용불안정이 사회경제적 지위의 변화에 대한 기대에 미치는 영향을, 소득불안정이 사회경제적 지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impacts of precarious labor on quality of life of older workers aged 55 and over by comparing them with those of younger workers aged 15 to 54.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1) group differences in socio economic status(SES), expectation for improvement in SES, level of life satisfaction between older and younger workers 2) impacts of precarious labor on SES, expectation for improvement in SES, level of life satisfaction for older workers 3)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eration and precarious labor on three dependent variables.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S, expectation for improvement in SES, level of life satisfaction between older and younger workers. Precariousness of employment status positively impacted on only SES. Precariousness of income negatively impacted on three DV. Interaction effect between precariousness of employment status and generation on expectation for improvement in SES wa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precariousness of income status and generation on SES was significant.

      • KCI등재

        사회ㆍ심리적 패러다임에 의한 고령자의 은퇴에 대한 재정적 준비행동에 관한 연구

        최혜지(Choi Hye-Ji),이영분(Lee Young-Boon) 한국사회복지학회 2005 한국사회복지학 Vol.57 No.3

        본 연구는 '계획된 행동이론'과 '계층적 성격모델'을 이론적 근거로, 65세 이상 고령자의 '은퇴에 대한 재정적 준비행동'을 결정하는 개념적 구조를 고찰하였다. '충주지역 고령인구의 보건ㆍ복지실태'의 원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253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한 분석결과, '은퇴준비를 위한 재정적 지식'과 '은퇴에 대한 재정적 준비행동' 사이의 인과관계만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정된 구조방정식모형의 모형합치도는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격의 표면적 특성이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계층적 성격이론과 지식은 행동의도가 실질적 행동으로 표면화되는데 결정적 변인이라는 계획된 행동이론의 논지를 실증하였다. 끝으로, 은퇴에 대한 재정적 준비를 위한 사회적 프로그램의 필요성 등 본 연구가 제안하는 사회복지의 실천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nceptual constructions which determined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This study was guided by two theoretical frameworks, planned behavior theory and hierarchical personality model. Based on two theories, the conceptual framework which aimed to explain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were formulated.<br/> Data from 'The health and welfare profile of the elderly aged 65 and or older in Chung-choo city' was analyzed. The subjects consisted of 87 economically active elderly population. Structure equation model was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es.<br/> The results of structure equation model revealed that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perceived financial-planning knowledge and the level of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the hypothesized structural model for financial preparedness for retirement had the good model fit.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from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Cultural Cross-Validation of Caregiving Appraisal Scale

        최혜지(Hye Ji Choi) 한국노년학회 2003 한국노년학 Vol.23 No.1

        The purpose of the presented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Caregiving Appraisal Scale (KCAS). 1) The study was designed as a secondary data analysis. Data set was originally from the "study on family caregiving for dependent elders" by Yang. 2) Information of two hundred and five primary caregivers of dependent elders was analyzed. Validity of KCAS was investigated by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n addition, factor structure of KCAS was examined by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3)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four fit indices fell short of acceptable level fits to the hypothesized factor model (Goodness of fit index=.77; Bentler-Bonnett index=.80; Hoelter index=71.93; Chi-square=545.92), showing a significant departure of the data from the hypothesized model. 4) AIso,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inconsistent with CAS, KCAS had a three-factor-structure. Findings from this study implied diversities in family caregiving across cultures and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cross-validation of social measurements. 본 연구는 한국어 번역본 가족 부양 사정 척도의 문화적 교차 타당도를 한국 노인의 가족 부양자 자료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차 자료 분석법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자료는 양옥경의 '의존성 노인을 위한 가족 부양에 관한 연구'로부터 얻어졌다. 양옥경의 연구는 205명의 의존성 노인과 그의 일차 부양자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문화적 교차 타당도는 확인적 요인분석방법에 의해 조사되었으며 또한, 탐색적 요인분석방법을 통해 KCAS의 요인 구조도 비교조사 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한국 가족 부양자로부터 추출된 자료가 가정된 요인구조를 재현해낸 정도는 4가지 적합지수로 (fit index) 산출되었으며 산출된 4 적합지수 모두 기준치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oodness of fit index=.77; Bentler-Bonnett index=.80; Hoelter index=71.93; Chi-square=545.92).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한국어 번역본 가족 부양 사정 척도는 세 요인 구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로써 한국어 번역본 가족 부양 사정척도의 요인구조는 가정된 가족 부양 사정 척도의 요인 구조와 상이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는 한국어 번역본 가족 부양 사정 척도의 타당도 결함 문제를 지적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타 문화권에서 개발된 사회척도의 한국적 적용을 위한 사전 계량분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 KCI등재

        조손가족 아동의 우울에 관한 연구

        최혜지(Hye Ji Choi)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0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6 No.-

        본 연구는 아동우울의 고 위험 군을 밝히는 것이 동시대에 우선되어야 할 연구이며, 아동의 하위특성에 따라 우울을 차별화하여 이해해야 한다는 주장에 근거해 이루어졌다. 제기된 문제의식에 따라 상대적으로 우울 위험이 높은 조손 가족 아동의 우울을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차자료를 이용한 사회조사 연구로 설계되었으며, 조손 가족 조부모와 아동 98쌍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여성아동(M=10.07)은 남성아동(M=8.30) 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수준의 우울의 보였으며, 임상적 우울을 보일 확률이 1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아동의 우울은 아동이 인지한 주관적 건강상태가 낮을수록, 조부모의 연령이 낮을수록, 조부모에 의해 양육된 기간이 길수록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아동의 우울은 아동이 인지한 주관적 건강상태가 낮을수록, 조부모와의 관계의 질이 낮을수록 유의미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동의 성별은 조부모와의 관계의 질이 아동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미하게 중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성별에 따른 우울의 실천적 개입전략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epression of custuodial grandchildren focusing on differences across sex of the grandchildren in prevalence and determinants of depression.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survey research using a secondary data set. Data from 98 dyads of a grandmother/grandfather and his/her grandchild were employed.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of depression of female childre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ale children. Also, female children were 12 times more likely to be depressed at a clinical level than male children. For the male children, higher levels of depression were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subjective physical health, younger age of custodial grandparents, and longer duration of upbringing by grandparents. For the female children, higher levels of depression were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subjective physical health, as well as lower levels of quality of relationship with grandparents. Intervention strategies specified by sex of grandchildren were discussed.

      • KCI등재

        노인 학대와 차별에 기초한 잠재계층 유형과 노인 자살생각

        최혜지(Hye Ji Choi),원영희(Young Hee Won),이혜연(Hye Youn Lee) 한국노년학회 2021 한국노년학 Vol.41 No.5

        본 연구는 자살 경로 관점을 토대로 노인 학대와 차별, 자살생각, 그리고 자살예방에 대한 사회적 지원 인식 사이의 연관성을밝히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노인 학대와 차별 경험을 이용해 노인의 잠재계층 유형을 확인하고, 잠재계층 유형과 자살생각사이의 영향 관계를 밝히며, 자살예방에 대한 사회적 지원 인식이 잠재계층 유형과 자살생각의 영향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국가인권위원회 ‘2017 노인인권종합보고서 작성을 위한 실태조사’ 연구에서 수집한 65세 이상 노인 828명의 자료를 활용하여잠재계층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학대 경험과 차별 경험에 따른 노인의 잠재계층은 저위험집단과고위험집단의 두 개 유형으로 확인되었으며, 고위험집단은 저위험집단 보다 건강상태, 경제적 수준이 유의미하게 낮았다. 둘째, 잠재계층유형은 자살생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고위험집단에 속할 경우 자살생각이 저위험집단보다 유의미하게 증가했다. 셋째, 자살예방에대한 사회적 지원 인식은 잠재계층 유형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여, 자살예방에 대한 사회적 지원이 높다고 인식하는경우, 저위험집단에서 고위험집단으로 이동할 때 자살생각의 증가 정도가 자살예방에 대한 사회적 지원이 낮다고 인식하는 노인보다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s of the presented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latent class type of elderly based on experience of abuse and discrimin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atent class types and suicidal ideation, and the moderation effect of perception on social supports on suicide prevention. Latent class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data from 828 elderly were execu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firstly, there were two latent class types based on experience of abuse and discrimination. Secondly, the type of latent class significantly effected on the level of suicidal ideation, showing that the higher risk type were associated with the higher levels of suicidal ideation. Lastly, the perception on social supports on suicide prevention significantly moderated the effect of latent class type on the levels of suicidal ideation. The implication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기혼취업여성의 성역할 태도가 시간부족인식에 미치는 영향

        최혜지(Choi Hye-Ji) 한국가족학회 2007 가족과 문화 Vol.19 No.4

          본 연구는 성역할 관념 가설을 이론적 근거로 성역할 태도가 기혼취업여성의 임금노동으로 인한 시간부족인식과 가사노동으로 인한 시간부족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 졌다. 2차 자료를 이용한 사회조사 연구로 설계되었으며 2004 생활시간조사의 원자료가 분석되었다. 분석대상자는 6511명 기혼취업여성이며, 임금노동으로 인한 시간부족인식과 가사노동으로 인한 시간부족인식을 설명하는 두개의 로지스틱회귀모형이 분석되었다.<BR>  분석결과, 임금노동으로 인한 시간부족인식은 초등학교 졸업, 중ㆍ고등학교 졸업이나 전문대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경우, 가사노동시간이 많을수록, 임금노동시간이 많을수록, 그리고 성역할에 대한 전통적 태도를 갖고 있는 경우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사노동으로 인한 시간부족인식은 미취학자녀가 있으며, 초등학교 졸업, 중ㆍ고등학교 졸업이나 전문대 졸업이상의 학력을 가진 경우, 가사노동시간이 높을수록, 임금노동시간이 높을수록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노동으로 인한 시간부족인식과 달리, 가사노동으로 인한 시간부족인식은 성역할 태도에 의해 유의미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BR>  본 연구의 결과는 성역할에 전통적 태도를 강고 있는 여성은 임금노동을 자신의 일로 수용하는 정도가 낮아 성역할에 근대적 태도를 갖고 있는 여성과 동일한 시간을 임금노동에 투입한 경우에도, 임금노동으로 인한 시간부족을 상대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인식하는 반면, 가사노동에 대한 시간부족은 성역할에 대한 태도와 관계없이 대부분의 여성이 자신의 일로 수용하기 때문에 가사노동에 투입한 시간만이 시간부족인식 정도를 결정한다는 것을 시사했다. 끝으로 기혼취업여성의 시간부족인식을 완화하기 위한 합의를 양성 평등적 기치관의 신장, 보육시설 시간의 연동적 운영, 시간관리 프로그램의 확대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Guided by sex role hypothesi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ttitude as to gender oriented labor division on the level of perceived lack of time in paid work and unpaid work among working married women. To investigate the hypotheses, this study analysed the secondary date set, 2004 Life Time Investig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6511 working married women. Two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analysed for the perceived lack of time in each work.<BR>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higher levels of perceived lack of time in paid work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higher levels of education, the higher levels of income, more time-use in paid work, and the traditional attitude on gender oriented labor division. Also, the higher levels of perceived lack of time in unpaid work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raising preschoolers, the higher levels of education, less time-use in unpaid work, less time-use in paid work. However, the attitude on gender oriented labor division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evels of perceived lack of time in paid work.<BR>  The reason why the non traditional attitude on gender oriented labor divis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ime-use not in unpaid work but in paid work would be explained by whether working married woman accepted paid and unpaid works as their own duties or not.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