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내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학습민첩성 영향 요인 연구
최혜빈(Haebin Choi),정진철(Jinchul Jeong) 한국기업교육학회 2021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3 No.4
이 연구는 국내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학습민첩성에 대한 영향 요인을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공정거래위원회(2019)에서 공시한 59개의 공시 대상 기업집단 내 지주회사 및 계열사 중 자산총액 5,000억 원 이상의 기업 사무직 근로자로 설정하였고 유의 표집으로 기업당 20명을 목표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총 400부를 배포하여 360부가 회수되었으며, 불성실 응답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04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주요 결론으로는 첫째, 국내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학습민첩성은 연령과 직급에 따라 학습민첩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학습민첩성은 학습에 대한 개인의 심리적 특성 및 태도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셋째, 학습민첩성은 개인특성에 영향을 받지만, 조직 내 지원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 실패내성과 팀 학습행동의 상호작용 항은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국내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학습민첩성을 개발하기 위한 제언과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on the learning agility of domestic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set as office workers of companies with total assets of 500 billion or more among the holding companies and affiliates in 59 target corporate groups announced by the Fair Trade Commission(2019). A total of 40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360 copies were recovered, and 304 data were finally utilized except for insincere responses. For data analysis, using SPSS 25.0, descriptive statistics(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05.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agility of domestic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and position. Second, learning agility is most affected by an individual’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attitude toward learning. Third, learning agility is affected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but can be improved through support within the organizatio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failure tolerance and team learning behavior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And based on this, suggestions and research directions were presented for the development of learning agility of domestic office workers in large corporations.
양인준(Injun, Yang),정진철(Jinchul, Jeong),최혜빈(Haebin, Choi) 한국기업교육학회 2020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일반 기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조직 내 학습조직이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결과변인을 정리하고 이들의 효과크기를 비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CMA(Comprehensive Meta Analysis) 3.0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총 30편의 KCI 등재 학술지 및 박사학위논문이 활용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조직이 영향을 미치는 조직 특성 결과변인은 총 9개이며, 학습조직이 모든 변인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습조직이 영향을 미치는 개인 특성 결과변인은 총 9개이며, 학습조직이 모든 변인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조직 특성 변인 중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인 변인은 학습조직 단일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했던 직무만족이었으며, 개인 특성 변인 중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인 변인은 학습조직 하위구인으로 설정한 권한위임과의 관계를 분석했던 지식창출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른 직업군의 학습조직과 결과변인 간의 메타분석이 요구된다. 둘째, 국내외 연구를 종합한 메타분석을 통한 국내외 근로자의 비교분석이 필요하다. 셋째, 학습조직의 전반적인 연구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동향 분석 및 학습조직의 결과변인을 유목화 하는 체계적 문헌고찰이 수행되어야 한다. 넷째, 동일한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했던 선행연구가 세 편 미만인 경우에도 출판편향 검증을 수행할 수 있는 추가적인 통계적인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various dependant variables that the learning organization affects and compare their effect sizes to those of corporate employees. To achieve the purpose, a total of 30 journals and doctoral dissertations were strictly analyzed based on the comprehensive meta analysis 3.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a total of 9 organization-related variables and 9 individual-related variables resulting from learning organization and learning organization has been identifie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dependant variables. Second, among the organization-related variables, the biggest effect size was job satisfaction which was used to analyse the relationship with learning organization. Third, the biggest effect size of individual-related variables was identified as knowledge creation which was investigated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with empowerment set by the learning organization’s sub-variable.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s findings suggest some implications. First, meta analysis should be required between learning organization and other dependant variables in different occupational groups. Second, comparative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employees should be needed by using meta analysis that synthesizes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Third,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that can identify the overall research flows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and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hat nominates the dependant variables of the learning organization should be carried out. Fourth, it is necessary to find out additional statistical method to perform publication bias verification even if there are less than three advance researches that hav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me variables.
정진철(Jinchul Jeong), 강민지(Minji Kang), 강유연(Yuyeon Kang), 최혜빈(Haebin Choi)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25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7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성인이 생애 전반에서 자기주도적으로 진로를 탐색, 설계 및 관리하는 데 요구되는 진로개발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데 있다.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 고찰과 성인 진로교육 목표 체계를 토대로 4개 하위요인(자신과 직업세계 이해, 진로탐색, 진로설계와 준비, 진로관리)을 구인화하고, 하위요인별로 13문항씩 총 52개의 예비문항을 작성하였다. 둘째, 성인 진로교육 및 도구 개발 전문가 13인을 대상으로 2회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내용타당도를 검증한 후 최종적으로 34문항을 확정하였다. 셋째, 성인 148명을 대상으로 한 예비조사를 진행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에 따라 요인부하량과 공통성 기준에 미달한 6개 문항을 제거하였다. 넷째, 성인 490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 후 통계적 검증을 통해 최종적으로 ‘자신과 직업세계 이해’ 7문항, ‘진로탐색’ 7문항, ‘진로설계와 준비’ 5문항, ‘진로관리’ 9문항으로, 최종 28문항을 확정하였다. 이 도구는 성인 대상 진로교육‧상담 및 고용지원 현장에서 진로개입 필요 진단, 맞춤형 프로그램 설계, 성과 평가에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대상별 규준 설정 및 종단 연구를 통해 적용 범위와 실용성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strument that measures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required for adults to explore, plan, and manage their careers autonomously across the life span. The research proceeded through four stages. First, drawing on a literature review and the national framework for adult career education, four latent factors(Understanding of Self and the World of Job, Career Exploration, Career Planning and Preparation, and Career Management) were identified, and 52 preliminary items (13 per factor) were generated. Second, content validity was examined through two rounds of Delphi consultation with 13 experts in adult career education and instrument development, resulting in 34 refined items. Third, a pilot study with 148 adults was conducte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led to the removal of six items that failed to meet criteria for factor loadings and communalities. Fourth, a main survey of 490 adults was administered, and confirmatory analyses confirmed a final scale of 28 items: seven for Understanding of Self and the World of Work, seven for Career Exploration, five for Career Planning and Preparation, and nine for Career Management. The instrument can be used in adult career education, counseling, and employment services to diagnose intervention needs, design tailored programs, and evaluate outcomes. Future research should establish group-specific norms and conduct longitudinal studies to broaden its applicability and practical ut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