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건축마당 - 해외잡지동향

        최현아,Choi, Hyun-Ah 대한건축사협회 2009 建築士 Vol.2009 No.11

        이번 호의 Project 섹션에서는 Bernard Tschumi Architects의 Acropolis Museum, High Standard라는 주제 아래에서 James Corner Field Operation의 High Line, Polsh다 Partnership의 Standard New York을, 그리고 UNStudio의 MUMUTH Music Theater가 소개되고 있다. Building Type Study에서는 '도심의 녹색 건축(Green Civie Building)'이라는 주제로 Anmahian Winton Architects의 Community Rowing Boathouse, Safdie Rabines Architecs의 Baldwin Hills Scenic Overlook, 그리고, Jane F. Kolleny의 Whistler Public Library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 시.공간정보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최현아,이우균,곽한빈,최성호,변재균,유성진,Choi, Hyun-Ah,Lee, Woo-Kyun,Kwak, Han-Bin,Choi, Sung-Ho,Byun, Jae-Gyun,Yoo, Sung-Jin,Cui, Guishan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9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1 No.3

        기후변화는 생태계, 수자원, 재난, 보건 등 다양한 분야에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그 영향을 부문별로 평가하여 적절한 적응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부문별 평가지표도 다르고, 자료의 형태와 내용도 달라 통일된 형태의 영향평가 및 적응전략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문별 기후변화영향평가지표를 마련하고, 이 평가지표를 설명하는 각종 주제도를 GIS기반의 시 공간정보로 통합하였다. 이와 같이 통합된 시 공간정보를 부문별 취약성평가 방법에 적용하여 부문별 취약성을 통합한 후 평가할 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Climate change has influenced on various sectors including ecosystem, water resource, natural hazards and health and so on. Thus, it is essential to more accurately assess climate change impact and prepare adaptation strategy. However, it is difficult to assess for climate change impact on various sectors with integrated form due to various data format by sectors. In this study, we prepared criteria and indicators for assessing climate change impact and integrated GIS based data which in correspond to indicators based on spatio-temporal information using GIS. Finally we suggest a guideline to assess vulnerability of each sectors to climate change based on integrated spatio-temporal information.

      • KCI등재후보

        국가상징거리의 구성요소 특징과 만족도에 관한 연구: 광화문 광장을 중심으로

        최현아,조영태,이우균,Choi, Hyun-Ah,Cho, Young-Tae,Lee, Woo-Kyun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4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5 No.4

        국가상징거리는 도시 및 국가의 환경개선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공공 오픈 스페이스 중의 하나이다. 상징거리는 한나라의 수도 및 도시의 중심부에 있으며, 프랑스, 영국, 미국 등은 복합적 역할을 하는 광장과 연결되어 문화와 역사를 포함한 공간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상징거리의 장소 정체성 도출을 위해 광화문광장을 대상으로 상징거리의 구성요소 및 특성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고, 구성요소 특징과 만족도의 관계성을 파악하였다. 수집한 설문조사 결과는 빈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등을 하였다. 국가상징거리 구성요소 및 특성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i) 교통 접근성 대한 만족도가 다른 요소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ii) 공간특성 요소는 구성요소보다 상징거리 이용만족도에 높은 영향을 주며, iii) 연구대상지가 국가상징거리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인 구성요소 특징과 만족도 조사를 바탕으로 향후 국가상징거리의 장소 정체성 확보와 주변 상업지구와의 연계성을 고려한 관리 계획 및 개선방안 제시가 필요하다. National street has become one of open space for enhancing environmental qualities of city and country. In the developed countries such as France, U.K. U.S.A are designed symbolic malls, squares and street which are represented the historicity, culture and symbolic place. For place identity,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 and user satisfaction in Sejong Avenue, Gwangwhamun Square. Data were analyzed using statistical methods such as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and correlatio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 factor analysis is carried out to extract spatial components and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concerning transportation access was the higher than other factors, ii) user satisfaction was strongly correlated on the spatial elements, iii) user showed high user perception to study site. Results of this study can identify representative street management plan based on landscape elements and user satisfaction.

      • KCI등재

        서해안 이동성 조류 서식지 보전을 위한 남북환경협력 방향

        최현아 ( Choi Hyun-ah ) 평화문제연구소 2021 統一問題硏究 Vol.33 No.2

        최근 북한은 생태환경분야 국제협력을 강조하면서 습지생태계 보전을 위한 환경 협력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과거와 달리 국제 환경레짐 안에서 환경협력을 추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 필요로 하는 분야의 협력을 추진하여 북한 당국이 수용할 수 있도록 서해안 이동성 조류 서식지 보전을 통한 교류협력 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서해안 이동성 조류 서식지 보전을 위한 북한의 대내외 활동과 협력 여건을 분석하여 향후 진행 가능한 환경협력 방향을 단계별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남북환경협력 방향은 한반도 생태공동체 조성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North Korea has been actively promoting the environmental project to conserve the wetland ecosystem while emphasiz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e ecological environment field. Unlike in the past, environmental cooperation is being promoted within the international environmental regime.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of exchange and cooperation through conserving migratory bird habitats on the Korean west coast. The North Korean authorities can accept cooperation in the areas North Korea needs. Thus, this study suggested the possible readiness and cooperation direction with North Korea based o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wetland conservation activities and step-wise analysis. It can be used as primary data and help to prepare ecological community on the Korean Peninsular.

      • KCI등재

        북한 산림복구 지원을 위한 용도별 조림수종 선정

        최현아 ( Choi Hyun-ah ),배상원 ( Bae Sang-won ),이슬기 ( Lee Sle-gee ),젤리거베른하르트 ( Seliger Bernhard ),이우균 ( Lee Woo-kyun ) 평화문제연구소 2017 統一問題硏究 Vol.29 No.1

        북한은 산림복원을 위해 국가산림계획 및 정책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최근에는 산림관리 부실을 인정하고 산림복구전투를 통한 대대적 조림을 추진 중이다. 북한에서는 척박지에서 잘 자라는 수종을 선호하고 있으나, 기존 대북지원 수종은 북한에서 선호하는 주요 조림수종 위주가 아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북한에서 선호하는 수종을 중심으로 향후 산림복구 지원을 위한 용도별 적정 조림수종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기존 지원 수종과 북한 양묘장 주요 수종, 현재 북한에서 많이 심고 있는 조림수종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북지원을 위한 주요 수종은 속성수이면서 목재생산이 가능한 수종이 지원되어야 한다. 특히, 사방 조림용 수종으로 척박지에서 잘 자라는 리기다소나무, 아까시나무, 오리나무가 지원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북한 주민에게 도움이 되는 아로니아, 밤나무 등 유실수도 적정 조림수종으로 대북지원이 시작된다면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북한의 현재 조림정책 추진방향을 이해하고 산림복원 지원 계획수립에 도움이 될 것이다. North Korea has conducted national forest strategy and policy for forest restoration. In recent years, North Korean government ha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forest rehabilitation and management. It has to be expanded forest planting through Forest Restoration Battle. In North Korea fast growing tree species were preferred to restore devastated forest. However, South Korea`s existing support species for North Korea were not preferred species. This study aims to select the suitable tree species for the supporting forest restoration based on the species preferred in North Korea. We analyzed the existing support species, the main species of the nursery in North Korea, and the planted species that are currently planted in North Korea. The main species for supporting North Korea should be the fast growing timber species including Pinus rigida, Robinia pseudoacacia, Alnus japonica.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epare certain tree species such as Aronia melanocarpa and Castanea crenata for supporting the utilization aspect of food security. This study finding can help to understand the North Korea`s current forest policy to support the forest restoration and move towards sustainable forest management.

      • KCI등재

        북한 산림 병해충 발생 및 대응 조치가 남북 산림협력에 주는 함의

        최현아 ( Choi Hyun-Ah ),박경석 ( Park Kyung Seok ) 평화문제연구소 2022 統一問題硏究 Vol.34 No.2

        North Korea classified forest type as the historical place in protected areas and afforestation areas to restore the degraded forest. In particular, it is emphasized that forest protection should be strongly pushed forward from the viewpoint of land protection, ecological environment protection, and economic protection. North Korea's forest authorities are not only focusing on planting trees to restore deforested areas, but they are also actively responding to forest management caused by forest fires, diseases, and pests. Inter-Korean forest cooperation has been recently focusing on forest plantings, such as seedling support, tree nursery construction, and joint tree planting. In the field of forest protection, the supply of medicines for forest diseases and pests was limited to North Korea’s request. However, forest pests through extremely high temperatures due to climate change and the risk of spreading forest-invasive pests are increasing in North Korea. It is therefore becoming more important to respond.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status of forest pest control in North Korea and case studies based on Rodong newspaper, Korean central news agency, Korean central television, North Korean journal Forest Science, and international Non-Governmental Organisation support workshops.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ed the implications of inter-Korean forestry cooperation for forest pests and disease control, such as joint control management, monitoring, and knowledge sha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