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이커 문화를 둘러싼 담론적 지형

        최혁규(Hyuk Kyoo Choi) 한국언론정보학회 2017 한국언론정보학보 Vol.82 No.2

        이 연구는 메이커 운동과 관련된 단행본, 정책 보고서, 기사 및 칼럼 등을 비판적 담론 분석의 관점에서 살펴보며 메이커 문화를 둘러싼 담론적 지형과 사회적 실천을 분석한다. 정부 주도의 메이커 운동은 제작 문화를 경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창조 경제’의 원동력으로 의미화하고, 디지털 제조업의 창업을 정책적으로 진흥하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 정부 주도의 경제주의적 메이커 운동을 비판하면서, 기술을 통해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디지털 사회 혁신’으로 메이커 운동을 제도화한다. 문화 예술계에서는 메이커를 장인 노동이나 손노동과 같은 ‘창조적 장인’으로 간주한다. 또한 지배적인 기술 구조에 대한 대항으로서 ‘비판적 제작 활동’을 구축하고자 하는 저항의 움직임도 있다. 하지만 지배적 담론이 현실적인 차원에 미치는 권력 효과와, 대항적 담론 투쟁으로 인한 지배 구조의 균열을 섣불리 확신할 수 없다. 현재 진행 중인 메이커 운동은 지배적인 권력 구조와 접합되어 제작 문화를 사회적·경제적 가치로 이끌어 내고자 하는 담론 전략과, 이에 대한 문화적·기술 정치적 가능성을 중시하는 대안적인, 혹은 대항적인 의미화 실천이 경합하는 갈등과 투쟁의 장이다. With the introduction and expansion of ‘maker movement’, maker culture captured attention and saw itself as an emerging cultu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published books, policy report, columns and news articles related to maker culture through the perspective of critical discourse analysis. Maker movement led by the government gives meaning to the maker culture as the force of ‘creative economy’ that can overcome the economic crisis. Following this meaning making, one-man digital fabrication start-ups have been actively promoted by government policies. In the case of Seoul, it criticizes government led maker movement that only focuses on economy and institutionalizes maker movement by focusing on the maker culture’s aspect as ‘digital social innovation’ that can resolve social problems. In the world of art, it tries to rediscover the value craft, that is, ‘creative craftsman’. Moreover, resistance movement that tries to fight against dominant technology structure through constructing ‘critical making’ was also spotted. Nonetheless, it is rather untimely to definitely find dominant discourse’s power effect in reality and sign of rupture in dominant structure as the result of resisting discourse’s struggle. Thus, maker movement is the field of struggle where an ongoing clash can be found: between discourse strategy that tries to make maker culture a social or economic asset by combining with dominant power structure, and alternating or resisting practice of signification that focuses on its cultural · techno-political potential.

      • KCI등재후보

        ‘세운재정비촉진지구’에서 ‘청계천-을지로 산업생태계’로 : 청계천을지로보존연대의 저항 방식과 활동가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최혁규(Hyuk-kyoo, CHOI) 한국문화연구학회 2020 문화연구 Vol.8 No.2

        이 연구는 ‘세운재정비촉진지구’를 ‘청계천-을지로 산업생태계’로 재인식시킨 도시사회운동의 저항 방식과 그 활동의 중요한 조건이 되었던 활동가들의 경험을 해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현장기록과 활동 과정에서 생산된 문서들을 기본적인 문헌자료로 수집했고, 9명의 활동가들을 대상으로 서면인터뷰 방식의 자기민속지를 진행했다. 이 운동은 도시재생으로 도시관리의 프레임이 전환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재개발을 추진하려 하는 정치권력에 대항해 재개발 중단을 요구했다. 하지만 단순히 재개발 반대를 외치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산업적·문화적 가치가 있는 산업생태계를 보존하고 활성화하자고 주장하면서 지역을 바라보는 관점을 행정적으로 분할된 재개발 구역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된 산업생태계로 리프레이밍했다. 이러한 활동을 전개했던 활동가들은 청계천-을지로 지역에 대한 애착심과 재개발에 대한 분노로 이 저항운동을 시작하여, 자신의 역량과 시간에 따라 유연하게 결합하면서 운동을 지속해왔다. 그리고 이들은 투쟁 과정에서 사회운동에 대한 인식 변화와 자기 성장을 경험했고, 지역의 상공인들과 친밀감과 유대감을 느끼면서 상공인들과 산업생태계가 그대로 존속되길 바라고 있다. 또한 이 재개발 반대운동이 한국사회에 만연한 개발주의나 남성중심주의적 사회운동을 타파할 수 있는 하나의 사례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The study seeks to explain the resistance of the urban social movement, which re-recognized the “Sewoon Redevelopment Promotion District” as the “Cheonggyecheon-Euljiro Industrial Ecosystem,” and the experience of activists who were an important condition of its activities. To this end, documents produced during field records and activities were collected as basic literature materials, and a written interview-style self-privacy paper was conducted for nine activists. To this end, I collected field notes and documents, and conducted written interviews for nine activists. The movement called for an end to redevelopment against political forces trying to push ahead with redevelopment, and called for the preservation and revitalization of industrial ecosystems with historical, industrial and cultural value. This argument led to the reframing of the view of the region from an administrative partitioned redevelopment district to an organically connected industrial ecosystem. Activists began the resistance movement with affection for the Cheonggyecheon-Euljiro area and anger over redevelopment. And continued this movement, combining flexibly with one s ability and time. And in the course of the struggle, they experienced a change of perception of social movements and self-growth, and felt a sense of closeness and bond with local businessmen. And we hope that business people and industrial ecosystems will be preserved as they are. Furthermore, it is hoped that the anti-gentrification movement will serve as an example of breaking down the rampant developmental or male-centered social movement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국제 영화제 공간의 역사적 형성과 구조적 특성 연구

        이상길(Sang-Gil LEE),최혁규(Hyuk-Kyoo Choi) 한국문화사회학회 2016 문화와 사회 Vol.21 No.-

        이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국제 영화제 공간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형성되어 왔으며, 그 구조적 특성들은 무엇인지 탐구한다. 1990년대 중반 국제 영화제의 등장과 확산에는 한편으로는 세계화와 지방 분권화를 내세운 정부의 정책이, 다른 한편으로는 시민사회운동의 흐름이 작용했다. 전자는 ‘지자체 주도형’의 영화제 기획에 힘을 실어주었고, 후자는 ‘시민사회 주도형’의 영화제가 등장할 수 있었던 모태가 되었다. 새로운 세대의 성장은 적극적인 영화제 조직자 집단과 잠재적 수용자 및 자원봉사자 군을 형성함으로써 영화제가 증식할 수 있는 인적기반을 제공했다. 하지만 지자체 주도형의 영화제들은 상업적 성공과 정치적인 이해관계를 최우선시하는 정치인과 행정관료들 때문에 문화적 자율성을 고질적으로 위협받고 있다. 법적인 장애와 정치적 압력을 극복해야 했던 시민사회 주도형 영화제들의 경우, 대중화의 어려움을 안고 있다. 미디어 보도 또한 미미해서 이들 영화제의 영향력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우리 사회의 국제 영화제는 앞으로 이러한 실질적인 문제와 한계점들을 극복하고 좀 더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국제 영화제는 국내 영화 산업이나 대도시 발전의 전략적 장소를 넘어서, 대중적인 국제주의가 구현되고 이미지로 이루어진 새로운 대안적 상징질서가 초국적으로 생성될 수 있는 현장이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examines historical formation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that have sprung in Korea over the past 20 years. While the governmental policy of glob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in 1990`s offered the impetus for ‘local governmentdriven film festivals’, the emergence of new social movements became a matrix for ‘civil society-driven festivals’. In addition, the growth of ‘new generation’, who took ‘taste for film’ as an important stake for cultural distinction, constituted a potential audience for proliferating film festivals. However, social conditions of their development are not always encouraging. The cultural autonomy of local government-driven film festivals is chronically threatened under the influence of politicians and bureaucrats who regard the commercial success and practical benefits of festival as the most important value. Though civil society-driven festivals have overcome legal and political oppressions, they are yet confronting with the problem of ‘popularization’, owing partially to unfavorable media coverage. Government and media seem to be two main forces which deeply structuralize the space of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