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외진출을 통한 한국중부발전의 동반성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최향미 ( Hyangmi Choi ),한경수 ( Kyungsoo Han ),정지용 ( Jee Yong Chung ) 한국국제경영학회 2022 國際經營硏究 Vol.33 No.2

        동반성장은 경제적 불평등을 극복하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지속가능한 성장을 추구하는 한국형 포용적 성장으로 이는 기업의 사회적 책무이자 경쟁전략이다. 한국중부발전은 해외사업 거점 국가인 인도네시아에 찌레본과 탄중자티 화력발전소 등 5개 발전소를 건설ㆍ운영하고 있으며 이들을 협력 중소기업의 수출 전진기지로 활용하여 국내 중소기업의 정비ㆍ기자재 수출을 지원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중부발전의 동반성장 노력과 차별적 발전모델을 탐색하고 해외동반진출의 실제 적용 사례를 공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중부발전의 동반성장 패러다임 변화를 살펴보고 한국중부발전 고유의 중소기업 동반성장 플랫폼인 K-장보고 프로젝트와 지역사회 공헌 사례를 분석한다. 한국중부발전은 해외동반진출협의회를 구성하고 코미포 아시아와 코미포 팩토리를 활용하여 동반성장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협력 중소기업의 해외진출을 견인하는 한편, 국내 우수중소기업과의 동반자적 관계를 바탕으로 운영수익 극대화를 추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네트워크 이론이 시사하는 협력관계를 통한 기업 간 자원 확보와 실질적 성과 개선 사례를 탐색함으로써 성공적인 동반성장을 위한 전략을 도출한다. Inclusive growth in Korea intends to overcome economic inequality and pursues sustainable growth for large companies and SMEs. This is a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which also works as a competitive strategy for both parties. Korea Midland Power is operating five power plants in Indonesia, including Cirebon and Tanjung Jati thermal power plants as bases of overseas projects for partnered SM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Korea Midland Power's efforts for shared growth and differentiated development models, and intends to share practical applications of overseas expansion with partnered SMEs. We examine the paradigm shift for shared growth of Korea Midland Power by analyzing the K-Jangbogo project, the unique shared growth platform for SMEs and contribution cases to local communities in Indonesia. Korea Midland Power leads the overseas expansion with partnered SMEs by organizing a joint overseas expansion council and providing shared growth opportunities using KOMIPO ASIA and KOMIPO Factory. Korea Midland Power is also able to maximize operating profits based on a partnership with Korean competitive SMEs. This study provides a practical application case for the network theory and derives successful strategies for shared growth through cooperative relationships between large companies and SMEs.

      • KCI등재

        대규모 기업집단의 기업소유구조가 내부거래에 미치는 영향과 외국인투자자의 조절효과

        최향미(HyangMi Choi) 한국무역연구원 2016 무역연구 Vol.12 No.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of large business conglomerates in Korea betweencorporate governance and internal business transactions as well as the moderating effect offoreign block ownership. Using sample firms with internal business transactions with affiliatesin large business conglomerates,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corporate governancefactors including controlling shareholders' ownership and control-ownership disparity oninternal transactions. This study focused on the role of foreign block shareholders in particularas outside monitor in order to investigate their moderating impact on internal businesstransactions. The empirical result shows that controlling shareholders' ownership has a positiveeffect on internal transactions while control-ownership disparity has a negative effect. Foreignblock ownership is likely to negatively moderate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ntrollingshareholders' ownership and internal transactions and to positively moderate the negativerelationship between control-ownership disparity and internal transactions, suggesting thatexpropriation of wealth by controlling shareholders is mitigated by the impact of foreign blockshareholders.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study imply that sound corporate governancedecreases the likelihood of tunnelling which could be induced by controlling shareholders'opportunities for wealth transfer.

      • KCI등재

        기업지배구조와 비사업용 부동산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전찬구(Changu Jeon),최향미(Hyangmi Choi) 한국증권학회 2021 한국증권학회지 Vol.50 No.3

        기업의 비사업용 부동산은 주주 부를 증대시키는 수익원으로 기능할 수 있는 한편, 지배주주의 사적이익 수단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소유지배괴리도가 비사업용 부동산에 미치는 영향과 외국인 기관투자자의 조절효과 및 비사업용 부동산과 기업가치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소유지배괴리도가 클수록 비사업용 부동산 비율은 높게 나타났다. 이는 비사업용 부동산을 이용한 대리인 문제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둘째, 외국인투자자는 저성장, 부동산 비관련 업종, 비집단 개별기업에서 소유지배괴리도와 비사업용부동산 간 양(+)의 관계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의 비사업용 부동산은 기업가치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비사업용 부동산이 대체수단으로 유용한지 여부를 추가 검증하였다. 기업가치 하락이 비사업용 부동산에 대한 유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시차에 따라 기업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본업 수익보다 비사업용 부동산 발생수익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나 비사업용부동산이 대리인문제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대리인 문제를 비사업용 부동산 측면에서 규명하였다는 점과 기업의 비목적사업에 대한 외부감시주체의 견제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기업지배구조 연구를 확장하고 있다. Corporate non-business real estate can be used for the private benefits of controlling shareholders, but is also likely to enhance shareholder wealth.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corporate governance to address this contradiction, particularly the ownership-control disparity on non-business real estate. We further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foreign blockholders on the relationship, then conduct additional analy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on-business real estate and firm valu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sparity has a consiste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non-business real estate, which implies that corporate non-business real estate can be utilized for expropriation for the benefit of controlling shareholder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sparity and non-business real estate is mitigated by foreign blockholders. Third, we find that non-business real estate has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firm value. This result implicates the inefficiency of non-business real estate and the possibility of agency problem. Forth, investment in non-business real estate is likely to decrease firm value, compared with investment in core business. This study revisits and extends corporate governance research in terms of non-business real estate by identifying the presence of agency problems and monitoring effects of outside blockholders.

      • KCI등재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보상형 지식커머스플랫폼, 아하

        정지용(Jee Yong Chung),최향미(Hyangmi Choi),김소형(So Hyung Kim),김문수(Moon Soo Kim) 한국경영학회 2022 Korea Business Review Vol.26 No.1

        본 연구는 국내 지식공유서비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블록체인 기반의 지식커머스플랫폼 ‘아하’의 사례를 통해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가 사용자 가치 창출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경제모델 설계 절차에 따라 아하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암호화폐 발행 시 기업은 토큰-비즈니스 적합성이 높은 사업 분야에 토큰을 결합해야 한다. 2) 토큰과 결합한 사업이 신규 수요를 창출하거나 뚜렷한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어야 토큰 발행의 전략적 타당성이 높다. 3) 기업의 제품 및 서비스 특성에 맞게 토큰의 속성을 결정하되 사업의 변화에 따라 토큰 속성도 달라질 수 있다. 4) 토큰 발행 시 기업은 제품 또는 서비스와의 결합을 통해 토큰에 내재가치를 담을 수 있다. 5) 토큰의 가격 상승을 위해 초기의 빠른 사용자 유입 및 사용자 기반의 확대 전략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다양한 마케팅 전술이 활용될 수 있다. 6)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기업이 발행한 토큰의 운용에 관한 전략적인 설계가 필요하다. 토큰의 수요, 공급, 유통에 대한 기업의 정책이 이러한 운용 전략에 반영된다. 7) 기업은 유동성 관리 범주에 토큰을 포함하여 자사주처럼 소유하거나 사업 운용 예산으로 활용할 수 있다. 8) 경영 상황과 시장 변화에 맞추어 토큰경제모델도 지속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고객의 행동을 유도하는 장치로서의 암호화폐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이므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토큰경제모델 설계 절차 및 전략적 요소들은 암호화폐의 가치 평가 및 연구에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시장점유율의 확대를 정밀한 보상을 통한 고객의 행동 확대로 바라보고, 토큰경제학과 메커니즘 디자인 이론을 기반으로 기업의 토큰경제모델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암호화폐의 도입은 단지 새로운 기술의 도입을 넘어 고객의 더 높은 가치 경험과 경영 전략의 문제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실무적으로도 암호화폐를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들이 토큰경제모델 설계 시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들을 제안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how a cryptocurrency induces customers to voluntarily contribute to business value creation by introducing the case of ‘Aha’, an incentivized knowledge commerce platform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We analyzed Aha’s business model based on the design process of a token economy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Companies must issue cryptocurrencies in business which token fits into. 2) The strategic validity of token issuance is achieved when the token-applied business creates new market demand or differentiated competitiveness. 3) The properties of a token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ken-applied business. 4) Intrinsic value can be attached to tokens when they are used to purchase products or services. 5) Strategies for initial rapid user inflows and expansion of the user base are required to increase the price of a token. 6) Companies should design the operation of tokens strategically to achieve sustained growth. Their operational strategies should reflect the companies’ policies on the demand, supply, and distribution of tokens. 7) Companies can own tokens like treasury stocks or use them for business operation budgets while managing the liquidity of tokens. 8) Token economy models should be continuously improved in line with business conditions and market change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strategic elements that can be used for the evaluation and research of cryptocurrency. In particular, it views the expansion of market share as expanding customers’ behaviors through precise compensation, and it analyzes a business case by using the design process of a token economy model based on the theories of token economics and mechanism design. It also provides implications for managers who want to apply cryptocurrency to their businesses by suggesting crucial elements in token economy models.

      • KCI우수등재

        이사회 성별 다양성과 기관투자자가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

        전찬구(Chan-gu Jeon),최향미(Hyangmi Choi) 한국경영학회 2021 經營學硏究 Vol.50 No.4

        The amended Act on Financial Investment Services and Capital Markets Act stipulates that listed firms with assets of 2 trillion won or more should have at least one woman on their board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act of board gender diversity on firm value and the role of institutional blockholders on the relationship.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board gender diversity is positively related to firm value regardless of markets, firm size, industry. Second, foreign blockholders reinforce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board gender diversity and firm value, while domestic blockholders mitigate the relationship. Third, board gender diversity and firm value has an inverted U shape relationship. Firm value increases with the proportion of female directors to a certain level, after which it decreases. The optimal board structure was reached when the ratio of female directors was between 18 and 44 percent, up to conditions. This finding provides an insightful ground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revised Act, regarding appointment of female directors and gives a guideline for policy makers by suggesting optimal level of board gender structure.

      • KCI우수등재

        지배주주 지분율이 의결권 가치에 미치는 영향

        임병권(Byungkwon Lim),윤평식(Pyung Sig Yoon),최향미(Hyangmi Choi) 한국경영학회 2019 經營學硏究 Vol.48 No.6

        Extant studies have explored the sources of voting premium from the perspectives of either the private benefits of control or the probability of control contests.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ich perspective is supported by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rolling shareholders’ ownership and voting premium with longitudinal data in Korea during 2004 to 2016. We further analyze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controlling shareholders’ ownership and outside blockholders’ ownership on voting premium. Ou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ntrolling shareholders’ ownership and voting premium have an inverted U shape relationship, suggesting voting premium increases up to a certain point of controlling shareholders’ ownership after which it decreases. Second, outside blockholders do not mitigate the relationship, implying that outside blockholders do not yet participate in control contests vigorously to the extent of affecting the impact of controlling shareholders’ ownership on voting premium. This study suggests that voting premium arises with controlling shareholders’ ownership and the probability of control contest over the manage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