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수층 계간 축열시스템 적용을 위한 지하수의 화학적 특성 변화

        최한나,이홍진,심병완,Choi, Hanna,Lee, Hong-Jin,Shim, Byoung Ohan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21 지하수토양환경 Vol.26 No.3

        Aquifer thermal energy storage (ATES) system uses groundwater thermal energy for cooling and heating of buildings, and it is also often utilized to provide warm water to crops and plants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agricultural yield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tential influences of a ATES system on the geochemical properties of groundwater by simulating the variation of hydrochemistry and saturation index of groundwater during ATES operation. The test bed was installed at an agricultural field, which is mainly composed of an groundwater-rich alluvial plain.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no significant precipitation of mineral phases such as manganese-iron oxide, carbonate and sulfate around the ATES test bed, as well as no debasement of other important water quality parameters. The implementation of ATES system in the study area was appropriate and effective for utilizing the thermal energy of groundwater for agricultural use.

      • KCI등재후보

        개념도 방법을 통한 여자대학생이 인식하는 효 의식

        최한나 한국효학회 2010 효학연구 Vol.0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개념도(concept mapping) 방법을 통해 효에 대한 여자대학생들의 인식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효의 13가지 개념을 구성하여 문항을 만들고 20명의 여자대학생들이 13가지 효의 개념을 두 개씩 짝지어서 유사성을 평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유사성 평정자료를 가지고 다차원 척도분석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효에 대한 여학생들의 인식을 탐색한 개념도를 도출하였다. 또한 183명의 여자대학생들이 13개 효의 개념에 대해 중요도를 평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여자대학생들은 효에 대한 의미를 크게 정서적 측면에서의 효와 행동적 측면에서의 효로 구분하여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13가지 효에 대한 중요도 평정 결과, ‘부모에 대한 사랑 및 애정을 표하는 것’, ‘부모님을 즐겁게 하는 것’, ‘부모님에게 존경을 표하는 것’과 관련된 정서적 측면에서의 효를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효의식과 효의 내용과 관련된 선행연구의 결과와 비교하여 논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emale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filial piety by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to analyze the importance of filial piety. 20 female college students conducted a paired-comparison rating on 13 contents of filial piety and 183 students rated the importance of each statement describing filial piet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ilial piety were perceived by two primary dimensions: emotion-focused versus behavior-focused. Second, filial piety was categorized as 'caring', 'respect', and 'supporting. Third, participants rated 'caring', 'respect' more important than 'supporting'. Implication for research and practice were discussed.

      • KCI등재

        저소득층 노인의 유헬스 서비스 이용경험

        최한나,김정은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014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25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understand low-income elders’ experiences of community-based u-Healthservices. Methods: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11 participants. All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verbatim. The transcribed data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Three themes and eightsub-themes emerged as a result of analysis. The three main themes were ‘recovered confidence and health condition,’‘trial and error in change,’ and ‘hope.’The eight sub-themes were ‘the burden and efforts to overcome it inusing bio-signal device,’ ‘ambivalence due to changing lifestyle,’ ‘increase of care time, decrease of pressure’,‘conflict under environmental constraints,’ ‘difficulty in prioritizing health management,’ ‘discouragement in handlingnew devices,’ ‘desire not to be a burden to their children-gradual fulfillment of learning needs,’ and ‘long for broadeningcoverage range of service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 that low-income elders amongthe participants have different needs in using u-Health services. Therefore, health professionals need to give personalizededucation to deal with their conflicts and requirements, especially emotional and environmental support inorder for them to successfully accept the u-Health services for self-care.

      • KCI등재
      • KCI등재

        청소년동반자의 직무요구, 심리적 소진, 이직의도 간의 관계: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

        최한나,이은주,손자영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1

        본 연구는 청소년동반자 242명을 대상으로 직무요구가 심리적 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직무요구,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직무요구, 심리적 소진, 이직의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직무요구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심리적 소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과 매개효과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요구, 심리적 소진, 이직의도 간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동반자의 직무요구 하위요소 가운데 업무과다 요인이 심리적 소진을, 도전기회 부족 요인은 이직의도를 가장 많이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동반자의 심리적 소진은 직무요구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청소년동반자들의 이직을 줄이기 위한 환경적 차원과 개인적 차원에서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present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burnout in the relations between job demand and turnover intentions in the Youth Companion(N=242).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test the relation job demand,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burnou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show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job demand,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s. Second, The role of overload of job demand was the first predictors burnout. the lack of challenge of job demand was the first predictors turnover intentions. Third, the job demand effected directly and indirectly on turnover intentions through burnout. This results suggest the organization may effort to work out some alternatives to job demands and lessen burnout of Youth Companion.

      • 영국의 기후변화 역량강화 정책과 전문가의 핵심역량 분석을 통한 한국 정책에의 시사점 도출

        최한나,김민철,박제우 핵심역량교육학회 2018 핵심역량교육연구 Vol.3 No.2

        The purpose of study is to derive suggestions for Korean climate change human resource development policy by analyzing British climate change strengthening policy and expert core competence analysis. For this reason, we have analyzed in detail the core competence of climate change experts formally defined by the Depart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UK International Development Division (DFID). Through the contents of "Capacity of the core group of climate and the environment" and eligibility requirements and evaluation of "Climate and Environment Advisory Committee," these significant capabilities and other capabilities, the core of UK's climate change experts we analyzed the framework of competence. South Korea also established related policies and programs and graduate schools to systematically train human resources who will lead full cooperation with developing countries with the expansion of the climate industry under regime and revitalization of climate technology mechanism. However, at the moment, the core competence of climate change talent has not been defined. By analogy through the curriculum, environmental division announcement, etc., so far, only graduate schools have been established and operated as a passage of human resources production through a general degree course. The core competence of national R&D institution climate change officers and technology transfer officials is defined, and it will be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pecific capacity of the dimension through the re-education program. The concept of competence strengthening has been historically established in the UNFCCC, and the UNDP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 has developed a capacity development framework. However, the results of such efforts are introduced in the agenda form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are only utilized by some organizations and countries. The UK has enacted the 2008 Climate Change Act and has been steadily defining and analyzing the core competence of climate change experts since 2011. South Korea, like the UK, needs to regulate the core competence of experts in climate change and summarize the essential requirements of experts. These efforts are to match the supply and demand of climate change talents and to support human resource development with actual necessary skills at the site. 본 연구의 목적은 영국의 기후변화 역량강화 정책과 전문가의 핵심역량 분석을 하고, 한국 기후변화 인력양성 정책에의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DFID(Department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영국국제개발부,“DFID”라한다)가 공식적으로 정의하는 기후변화 전문가의 핵심역량을 자세히 분석해보았다. ‘기후 및 환경 핵심그룹의 역량’ 및 ‘기후 및 환경 자문위원’의 자격요건과 등급, 이들의 주요 역량과 기타 역량 등을 이루는 내용을 통해 영국 기후변화 전문가의 핵심역량 프레임워크를 분석하였다. 한국도 신기후 체제하의 기후산업 확대와 기후기술 메커니즘 활성화를 대비하고 개도국과의 포괄적 협력을 주도할 인재를 체계적으로 양성하고자 관련 정책과 프로그램 및 대학원 등을 설치하였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기후변화 인재의 핵심역량에 대한 정의가 되어 있지 않다. 교과과정이나 환경부 고시 등을 통해 유추해 보았을 때, 아직까지는 일반적인 학위과정을 통한 인재배출의 통로로서 대학원과정이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을 뿐이었다. 국가 R&D 기관의 기후변화 담당자 및 기술이전 담당자의 핵심역량이 정의되고 재교육프로그램을 통해 더욱 차원이 높은 구체적인 역량을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UNFCCC에서는 역량강화의 개념이 역사적으로 정립되고 있고, UNDP(UnitedNationsDevelopmentProgramme)는 역량개발 프레임워크를 구축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의 결과물들은 국제사회의 아젠다 형식으로 소개되거나 일부 기구나 국가에 의해 활용될 뿐이다. 영국은 2008년 기후변화법을 제정하고, 2011년 이후에도 꾸준히 기후변화 전문가의 핵심역량을 정의하고 분석하고 있다. 한국 역시 영국처럼 기후변화 전문 인력의 핵심역량을 규정하고 전문가의 필수요건을 정리해나갈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노력은 기후변화 인력의 수요와 공급을 매칭하고 현장에서 실제 필요한 역량을 갖춘 인재양성에 도움을 줄 것이다.

      • KCI등재

        대학소재지별 대학생의 취업준비역량이 첫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한나,오성배 중앙대학교 한국인적자원개발전략연구소 2019 역량개발학습연구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employment preparation cap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on performance in the first labor market and to explain the implications of university location in Korean society and the effects of employment preparation capability on performance in the first labor market. For this purpose,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2016 data. As a result, employment preparation cap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rea and national university students in non-Seoul area influenced the company size of the first workplace despite controlling other variables, but it did not affect the private university students in non-Seoul area. Employment preparation cap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rea and both national and private university students in non-Seoul areas influenced their first job’s wage in spite of controlling other variables. Among other control variables, family background is also confirmed to affect performance in the first labor market based on the location of university.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shows that family background may also be influencing the current fixedness of the university hierarchical structure based on university location, and that the capability to prepare for employment also has effects depending on the structure. Therefore, it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to find and apply diverse measures to enhance employment preparation capabilities for each specific university location. 이 연구는 대학소재지별 대학생의 취업준비역량이 첫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한국 사회에서 대학소재지가 갖는 의미와 대학소재지에 따른 취업준비역량이 첫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려고 한다. 이를 위하여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2016년 자료를 활용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소재지별로 취업준비역량이 첫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권 대학생과 비서울권 국공립대학생의 취업준비역량은 다른 변인들을 통제함에도 불구하고 첫 직장 기업체규모에 영향을 미쳤으나, 비서울권 사립대학생의 경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 직장 임금에는 다른 변인들을 통제하여도 서울권, 비서울권 국공립, 비서울권 사립대학생의 취업준비역량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변인 가운데 가정배경도 대학소재지를 기준으로 첫 노동시장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현재 대학소재지를 기반으로 한 대학서열구조 고착화에 가정배경이 영향을 미치고 있을 수 있다는 함의를 가지며, 취업준비역량도 그 구조에 따라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대학소재지별로 취업준비역량을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방안을 모색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서울권의 경우, 학교 차원에서 복수전공을 독려하거나 외국어공부 관련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의 노력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비서울권의 경우, 학교 차원에서 직무적성검사준비 프로그램이나 교내 대외활동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등 가정배경의 영향을 보완해야 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학습장애 학생의 철자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전략에 관한 문헌분석

        최한나,김애화 한국학습장애학회 2013 학습장애연구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intervention researches, which enhance the spelling ability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to grasp the present state of spelling instructions effective for them, by analyzing the domestic intervention researches in which instructions were implemented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o enhance their spelling ability.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65 papers including doctors' and masters' dissertations as well as articles in academic journals, which were published in Korea from 1975 to September 2010. The summarized results of this research synthesis is as follows. First, mostly targeting four or fewer students in the lower grades (1st to the 3rd grades) in elementary school, and mostly used single subject research design, most researches used the enhancement of spelling ability through composition instruction. Second, spelling instruction appeared to be the most effective for the case of both experimental-comparative design and single group design, while spelling instruction, reading and spelling instruction, reading instruction, reading and composition instruction appeared to be effective in enhancing spelling ability in the case of single subject design. Third, intervention with spelling principles appeared to be was effective for spelling instruction, intervention with repeated practice of word reading/writing for reading and spelling instruction, intervention with process-based writing for composition instruction, book making activities for reading and composition instruction, and intervention with repeated reading for reading instruc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철자능력 향상과 관련된 교수를 실시한 국내 중재연구를 분석함으로써, 학습장애 학생들의 철자능력 향상을 위한 중재연구의 동향과 특징을 살펴보고, 이들에게 효과적인 철자교수의 현주소를 파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1975년부터 2010년 9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학회지 및 석․박사학위논문 총 65편을 분석하였다. 본 문헌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0년대 이후에, 초등학교 저학년(1-3학년) 4명 이하의 학생을 대상으로, 단일대상 연구 설계를 사용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작문교수가 가장 많이 실시되었다. 둘째, 집단연구에서는 철자교수가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단일대상연구의 경우 철자중재, 읽기 및 철자중재, 읽기중재, 읽기 및 작문중재 모두 철자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셋째, 철자교수의 경우 맞춤법 원리를 포함한 중재, 읽기 및 철자교수의 경우 단어읽기 및 쓰기의 반복연습을 포함한 중재, 작문 교수의 경우 과정중심글쓰기 교수를 포함한 중재, 읽기 및 작문교수의 경우 책 만들기 활동 중재, 읽기교수의 경우 반복읽기를 포함한 중재가 효과적이었다.

      • KCI등재

        상담자 발달 연구의 동향과 과제

        최한나 한국상담학회 2005 상담학연구 Vol.6 No.3

        This study reviewed counselor developmental models and empirical research which examined individual differences proposed by counselor development models. This review aimed to provide the research trends of counselor development models and related empirical studies. The focus of this review was as follows; a) developmental models of counselor supervision, b) empirical studies examining developmental differences of counselor. Implication and recommendation was included on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of counselor development and future directions. 상담자 발달에 관한 연구 주제는 수퍼비전 연구들 중 가장 많이 이루어진 연구 주제이며, 국내에서도 1990년대 이후 이와 관련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상담자 발달에 관한 국내, 외 연구들의 내용에 대해 개관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자 발달 모델과 상담자 발달수준의 차이를 다룬 주요 국, 내외 연구의 내용을 개관하고, 주요 연구들의 주제와 연구방법들을 살펴봄으로써 그간 이루어진 연구들의 전반적인 흐름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상담자 발달 모델에 대한 연구를 개관하였으며 두 번째로 상담자 발달에 관한 경험적 연구를 개관하였다. 상담자 발달 모델의 경우, 발달 단계가 세분화되었고 각 단계를 구분하는 차원이 다양해 졌으며 점차 발달의 시기를 전생애적 관점으로 확장해 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상담자 발달에 관한 초기 경험적 연구들은 상담자 발달 모델에서 가정하는 기본 차원인 자기-인식, 의존-자율, 동기에서 나타나는 차이에 초점을 두고 이루어졌으나 점차 사례개념화, 개입기술 등 인지적인 측면에서 나타나는 차이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상의 내용에 기초해 본 연구자는 지금까지 이루어진 상담자 발달 연구들의 제한점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앞으로의 향후 연구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