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금산사 방등계단의 가치와 위상

        최태선(Tae Sean Choi)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6 불교와 사회 Vol.8 No.-

        戒란 승려가 지켜야 할 윰리적인 덕목이며, 계단이란 계를 주고 받는 공식적인 장소를 의미한다. 『사분율』과 같은 초기 경전에서 정의하고 있는 신성한 의례인 수계를 위한 공간은 그 유형에 따라 다시 야외에 구축되어 구조물로 항구성을 가지는 것과, 필요 시 실내에 조성하여 의례를 진행하는 형태로 구분된다. 실제, 동북아시아에서 야외계단의 형태로 남아있는 사례는 많지 않으며, 이들 구조물로서의 계단은 唐代에 道宣율사가 동북아시아 계단의 形制를 규범화하고 저술한 『關中創立戒壇圖經』(이하 戒壇圖經)은 계단의 형제를 기본으로 조성되고 있다. 국내의 야외계단 중 도선의 『계단도경』의 형제를 기본으로 조성된 사례는 통도사와 금산사의 사례가 대표적으로 남아 있다. 형제의 구조는 두 계단이 유사하지만, 내용적인 의미에서는 통도사는 『금강계단』으로 통칭되고, 금산사는 『방등계단』이라 칭해지고 있다. 이 글은 우선 그동안 제대로 보고된 바 없는 구조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여 금산사 계단을 외형적으로 분석하고 도선의 『방등계단』과 비교하여 그 차이점과 의미를 찾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가람에서 계단이 위치하는 공간성과 승려공간에서의 위계적인 부분을 밝혀내 보고자 하는 데 의미가 있다. 이러한 접근은 그 간 개별적으로 영역으로 다루어져 오던 구조적 연구와 사상적 접근을 결합해 보고자 한 것에 의의가 있으며, 계단이라는 구조물이 사상의 시간적 변화에 따라 그 명칭도 다르게 부여되고 있음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To practice precept is ethical virtue issue for Buddhist monks and Square Precept Platform is proper rite for conferment of precepts. In early sutras like Dharmagupta-vinaya(四分律), Space for performing ceremony of conferment is divided into exterior construction and interior platform fitting variable situation. Open-air precept platforms in Far Eastern Asia were not very popular. All these platforms follow standard form from the book ‘Illustarated Scripture concerning the erection of the Ordination Platform in the Guanzhong Region(關中創立戒壇圖經)’ by Daxuan(道宣), Tang dynasty. Domestic examples of exterior construction following Daxuan Scripture Ordination Platform are Tongdosa Temple’s and geumsansa temple’s. Both construction structure are similar but in another contexts.. Tongdosa has ‘Diamond Precept Platform’ name while Geumsansa has simple ‘Square Precept Platform’. This study focuses on the external architectural approach to the constructural viewpoint of Geumsansa Temple Precept Platform. Also very important achievement of the meaning and difference of Geumsansa Temple Precept Platform comparing with Daxuan Scripture Ordination Platform has been figured it out . Through this study, it turns out the importance of the Ordination Platform location in the monastery. Also it has hierarchic spatial characteristic in the monastic life. Combined study between architectural approach and philosophical approach show this ordination platform has significant name change in different eras.

      • 불교 고고학의 연구방법 시론

        최태선(tae sean Choi)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13 불교와 사회 Vol.5 No.-

        ‘‘佛敎考古學’ 불교유적이나 유구에 대한 현상을 밝히기 위한 고고학 방법의 하나라는 의미로 함축될 수 있다. 학문적 범주로는 역사고고학 중에 ‘종교고고학’ 영역이며 종교고고학에서 ‘불교’와 관련된 제 유적이나 현상에 대한 고고학적인 조사와 해석방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많은 불교유적의 조사성과에 비해 학문으로서의 불교고고학은 매우 미진한 상태이다. 본 발표문은 이러한 문제점에서 출발하여 이웃한 국가들의 학문적 성과들을 참조로 하여 불교고고학의 정의를 설정해보고 연구방법론을 설정해 본 것이다. 이에, 우선 불교고고학의 정의를 불교역사를 고고학적으로 규명하는 작업으로 전제하고, 이를 위해서는 조사된 성과를 왕조역사에서 한단계 나아가 불교역사로 해석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정리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연구영역을 공간성, 시간성으로 구분하여 불교고고학의 제 특징을 중심으로 정리하고, 유의점을 정리하였다. 또한. 학문으로서의 불교고고학을 완성하기 위해선 다음과 같은 방법론이 필요하다고 설정해 보았다. 1. 조사방법으로 문헌과 고고자료를 결합한 유적별 조사연표가 마련되어야 조사결과에 따른 편년과 유구의 주요성과를 도출할 수 있다는 시론이다. 2. 불교유적 조사 방법상 유의할 점으로는 문화적 의미를 통해 유적과 유구의 중복성과 당위성을 해결해 나가야 함을 강조하였다. 중심신앙대상이 변화하거나 공간이 확대 축소됨에 따라 일어날 수 있는 현상을 고고학으로 어떻게 규명할 것인가 등에 대한 시론을 설정해 보았다. 3. 아울러 출토되는 유물의 기준과 정리방법을 기와를 기준으로 타날판 복원의 방법이라는 시안을 제시하여 보았다. 불교유적의 시간적 변화에 가장 민감하게 대응할 수 있는 고고자료는 기와라 생각되며, 자기류에 비해 비교적 안전한 유물이지만 출토양이 방대하므로 어떻게 효율적으로 정리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시론적으로 제시하여 보았다. 그리고 별도의 장으로 구분하여 문화적 해석을 위한 방법으로 불교사상과 교리의 내용과 유적의 현상을 해석하는 연구방법을 몇 가지 사례로 시론하여 보았다. 유적에서 드러나는 현상에서 한발 더 나아가, 불교고고학의 범주전체를 고려한다면 불교용구에 해당되는 것도 모두 문화적 해석을 위한 텍스트 개발이 필요하다는 점도 제안형태로 제시해 보았다. 이 발표문은 학문으로서의 불교고고학을 정립하기 연구방법의 시론적 내용인 만큼 많은 보완과 협동연구가 필요함도 부연해 둔다. The term of ‘Archeology of Buddhism’ in dictionaries means as a type of methodology that explores the remains of Buddhism. In professional academia, it can also be a part of ‘religion of Buddhism’, where the term can be defined as an archeological methodology to study and research the remains or circumstances of Buddhism. Compared to the existing researches of remains of Buddhism, ‘Archeology of Buddhism’ is still unstable as an academic term. Considering this problem, the paper purports to define the academic term of ‘Archeology of Buddhism’ and to explore methods to research it. The research has employed the studies in other Asian countries as well as those in our own country. First of all, the research suggested that ‘Archeology of Buddhism’ should be a process of examining history of Buddhism, which still demands further studies. It requires deliberation if the results of research could be interpreted as history of Buddhism beyond history of dynasties. The research divided the dimension into two parts, time and space,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critical points from the two perspectives. I also suggested the following points in methodology in order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Archeology of Buddhism’ as an academic arena: 1) A chronological chart including literature and archeological data should be required for significant results; 2) The problems, such as overlapping remains in a geographical meaning, would be checked byexploring cultural meanings. This paper proposed the way to specify the transitional situations as a religious belief or a space involved changed; and 3) The criteria and methods of classification of relics can be created by explaining q the process of restoration of Tanalpan in study of roof tiles. Roof tiles would indicate the chronological orders of archeological remains in a best way, since they are more stable and the amount of them are bigger than porcelains, which have always demanded more efforts and studies to classify and arrange in an efficient way. 4) In a separate chapter, a few case studies of methodology were examined to interpret philosophy and thoughts of Buddhism to understand its cultural meaning. In terms of the comprehensive scope of ‘Archeology of Buddhism’beyond the situations that the relics are telling, Buddhism instruments could also demand further text developments for cultural understanding. This study is an introductory one, which may require more and further researches and cooperative inqui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