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주자학으로 본 대순사상의 마음에 관한 연구 : 허령, 지각, 신명을 중심으로

        최치봉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8 대순사상논총 Vol.31 No.-

        This study aims to look into Daesoon Thought from the perspective of Neo-Confucianism. Numinous emptiness (虛靈), wise-awakening (知覺), and divine beings (神明) in the Scripture of the Black Tortoise (Hyeonmu-gyeong) are often mentioned as characteristics of the mind in Neo-Confucianism. Accordingly, this research take up the ‘Che-Yong (substance, 體 and function, 用)’ of mind by classifying numinous emptiness as Origin-Substance (本體), wise-awaking as function, and divine beings as subjects. Numinous emptiness enables an individual to have been born with Li (理) of Taegeuk (太極), which is a mandate from Heaven and the nature of humanity; whereas one embodies spirit and brightness mind based on Origin-Substance. This numinous emptiness of mind is precisely the mind-spirit. Wise-awakening is a function of mind, which actually awakens numinous emptiness (理) and objects (氣). The mind which realizes the Li of Taegeuk as numinous emptiness is conscientiousness and can be taken as a Dao-Mind. The mind which desires objects refers to the Human Mind or a selfish motive. Such propensity in terms of wise-awakening determines the state of mind. One should reach the state of a quiet mind by wisely awakening through the scripture. Divine beings correspond to metaphysical Origin-Substance and physical object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y comprehend all and preside over wise-awakening as subjects. The subject recognizes wise-awakening and responds to it. Mind is a path traveled upon by divine beings as they enter and exit. In this regard, the human mind refers to the organ used by immanent deities, which accumulates physical senses, innermost mental processes, and awakened activities. Furthermore, Transcendental deities also come in and out through mental correspondence, leading to changes in one’s physical constitution or personality. This paper focuses on the mind perceived in Daesoon Thought as follows: first, besides the existing spiritual perspective, the research takes a view on surveying numinous emptiness, wise-awakening, and divine beings in Neo-Confucianism. Secondly, the Che-Yong of mind is closely looked into by means of innate numinous emptiness as Che and wise-awakening as Yong. Lastly, the essence, energy, and divinity as well as spiritual soul and physical soul are mentioned according to the concept of an immanent deity. The paper also clarifies the fact that divine beings preside over the mind as subjects. 본 논문은 주자학의 관점으로 대순사상의 마음을 살펴본 것이다. 『현무경』의 허령ㆍ지각ㆍ신명은 주자학에서 마음의 특질로 언급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체로서의 허령, 작용으로서의 지각, 주체로서의 신명으로 나누어 마음의 체용과 주재에 대해 논하였다. 허령은 태극의 리(太極之理)가 개인에게 품부된 것으로, 이는 하늘에 있어서는 명령이고, 사람에 있어 본성이며, 마음에 있어 본체로서 허령불매하다. 이 마음의 허령은 곧 심령이라고도 한다. 지각은 마음의 작용으로, 지각되는 것은 허령(理)과 사물(氣)이다. 허령인 태극지리를 지각하는 마음은 양심으로 천성인 도심을 말하며, 사물과 접하여 생기는 마음은 사심인 인심을 말한다. 이렇게 지각하는 방향성에 의해 마음의 상태가 결정되는데, 경(敬)을 통해 천리를 지각하고 마음을 안심의 상태에 이를 것을 언급하고 있다. 신명은 형이상의 본체와 형이하의 사물에 각각 대응하여 그것을 총합하고 인지하고 반응하는 사람의 주체로 지각을 주재한다. 마음은 신이 드나드는 길이라고 할 때, 사람의 마음은 정신혼백이 외부사물과 접촉하여 반응하는 신체적인 감각과 내부의 정신적 사려와 지각활동이 총합되는 내재신의 용사기관을 말한다. 또한 마음에는 외재신이 감응하여 출입하기도 하며, 이로 인한 체질이나 성격의 변화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이 글에서 대순사상의 마음에 관하여 강조하고자 한 것은 첫째, 기존의 유심론적 관점을 탈피하여 주자학의 허령ㆍ지각ㆍ신명으로 조망 할 것을 언급하였다. 둘째, 천지에서 품부 받은 허령을 체로하고 지각을 용으로 보아 마음의 체용을 밝히고자 하였다. 셋째, 정기신과 혼백에 대한 내재신의 개념을 언급하고, 주체로서 신명의 주재함을 언급하였다.

      • KCI등재

        대순사상의 생명관과 인생관

        최치봉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9 대순사상논총 Vol.33 No.-

        본 논문에서는 세계만물과 생명 그리고 인간에 대해 단계적으로 언급함과 동시에 리ㆍ기ㆍ신에 대한 개념을 통해 대순사상에서의 생명관과 인생관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에 기존에 연구된 대순사상의 생명관, 죽음관, 인생관을 대순사상의 원전과 검토하여 기존 연구의 한계점을 살펴보는 한편, 성리학의 본체론 및 발생론과 비교하여 대순사상에서의 특질을 밝히고자 한다. 전개에 있어 Ⅱ장에서는 만물과 생명의 본원으로서 대순, 태극의 주재로서 상제, 만물의 구성을 논하였고, Ⅲ장에서는 생명의 발생과 신과의 관계, 생명을 구성하는 생리와 생기, 생명의 목적을 언급하였으며, Ⅳ장에서는 생명의 한 범주인 인간과 이러한 인간이 삼계에서 가지는 존재론적 위상과 인생의 목적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생명에 관한 논의에 앞서, 태극과 상제를 대순의 개념으로 아울러 상정하고 이를 생명의 근원인 본체가 됨을 언급하였다. 개개 생물은 리ㆍ기ㆍ신을 통해 그 구조를 설명하였다. 또한 생리와 생기를 통해 그 생명의 속성과, 상제지심인 인을 구현하는 것으로 생명의 목적을 말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 기존의 생명에 대한 담론과 가장 차이나는 부분은 기존에 신을 생명 그 자체로 여겨 생명유무의 범주로 귀속시킨 것에 반하여, 기능과 작용적 측면의 본체로서 신을 상정하여, 존재를 그 존재로서 지속시키는 작용의 본체로 보았다는 점이다. 이러한 논의는 대순사상이 비록 성리학의 본체론과 발생론에 있어 유사성이 있지만, 신의 개념에 있어서 태극을 주재하는 인격적 상제를 상정하고 개개사물에 있어 리를 구현하는 신명들의 존재를 부각시킨다는 점에서 사상적 독창성을 언급한 것이다. 인간도 생물과 마찬가지로 생리와 생기를 갖추어 태어나며, 인간 안의 내재신은 기를 주관하는 주체로서 작용한다. 인간은 세계를 구성하는 삼계의 한축을 담당하며 세계에 있어 중요한 존재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한 대순사상에서 인간의 존귀성이 잘 드러나는 것은 하늘과 땅에 이어서 인간에 신이 봉해진다는 ‘신봉어인(神封於人)’의 개념이다. 이는 진멸지경의 인간을 천지가 요구하는 인간으로 고쳐 쓰기 위함으로, 궁극적으로 신인조화를 통해 신봉어인의 시대를 구축하기 위함이다. 인간에 있어 이러한 가능성은 마음에 신대를 가지고 있음으로 가능한 것이다. 수도에 있어 인간과 외재신과의 소통과 조화(調化)는 인간의 체질과 성격의 변화를 유도함이라고 볼 수 있지만 종국에는 그 인간의 기국에 알맞은 신명을 봉하기 위함이다. 상제의 명과 선령신의 공 그리고 천지의 기를 통해 인간은 태어났다. 인존시대와 천운구인시대를 맞이한 현 시대의 인간은 천지에 쓰임에 기여하기 위함을 인생의 목적으로 가진다고 볼 수 있다. 이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간에게 가장 요구되는 것은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자신의 성리를 온전히 실현하는 것이다. 자신의 성리를 실현함은 사회적으로 볼 때 남에게 덕을 베푸는 것으로 이는 상제의 천명인 생생지리를 구현함이다. 나와 타물, 나와 타인 그리고 인간과 신명사이의 상생은 해원상생과 보은상생으로 완성되며, 이렇게 자신의 본성을 지극히 하여 온전히 드러낼 때 심령에 통하게 되고, 인존의 경지에 오르게 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origin and yield of life and its characteristics and purpose in Daesoon Thought. Thereby, Taegeuk (the Great Ultimate) and Sangje (the Supreme God) have been deemed the source and ontology of life. The structure of each living creature is explained through reason (理), energy (氣) and spirit (神). In addition, through vital reason and living energy, the purpose of life makes the realization of the benevolent characteristics of life possible through the mind of Sangje. This line of research is unique among currently available research views of life as it perceives the spirit to be an ontological entity with functions and interactive engagement. By way of contrast, prior research suggests that spirit is life itself and includes it in the category of life and death. The Daesoon view of life is unique in that it is somewhat influenced by ontology and developmental theories from Confucianism, yet the concept of divine beings suggests a humanistic Sangje, who presides over the Great Ultimate. The realization of reason in this model is rather thought-provoking. Humans, just like other living things, are born with vital essence and function and interact as a main source to preside over the innate spirits inside themselves. Humans take responsibility for a certain sphere in the Three Realms that make up the world. They are also recognized as a significant feature in the world. Such an idea in Daesoon Thought depicts that ‘the enshrinement of spirit into human being (神封於人),’ follows Heaven and Earth. This is done to rectify humans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the universe and ultimately establish the era of the enshrinement of spirits into human beings. As for humanity, this possibility exists because of the spirits contained within their inner-selves. When cultivating oneself, humans and outer spirits actively interact with each other. This is likely to cause changes in a human’s constitution and characteristics. In the end, one can be enshrined with corresponding divine beings according to one’s degree of cultivation. Humans are born through the command of Sangje and the accomplish- ments of their ancestors as well as the energy of the universe. Present day humans encounter the era of human nobility and the era of humankind’s divine salvation. Thereby, the purpose of human life is to contribute to the universe. To achieve this goal,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wholly realize that one’s nature and reason were endowed by Heaven, which emerged from virtuous conduct in society. This is also akin to the movement of reason in Jeungsanist Thought. Sangsaeng (mutual beneficence) among oneself and others and between human beings and divine beings can be completed through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and the grateful reciprocation of favors for mutual beneficence. If one accomplishes the perfected state of one’s own nature and reveals it wholly, then one will be fully able to interact with spirits and reach the state of the human nobility.

      • KCI등재후보

        Evaluation of Hydration Effect on Human Skinby 1H MRS at 14.1T

        최치봉,홍승택,최보영,우동철,윤성익,조지현,이철현,정재준,박상용,오칠환 한국자기공명학회 2006 Journal of the Korean Magnetic Resonance Society Vol.10 No.1

        Purpose : We achieved high resolution MR imaging and spectra of human skin in vitro with using a 14.1 T MRI/MRS system, and evaluated the hydration effect of various cosmetic products by measuring the skin’s moisture concentration. Materials and Methods : We used the Bruker 14.1 T MRI/MRS system with a vertical standard bore that was equipped with a DMX spectrometer gradient system (200 G/cm at a maximum 40 A), RF resonators (2, 5 and 10 mm) and Para Vision software. Spin echo and fast spin echo pulse sequences were employed for obtaining the high resolution MR images. The 3D-localized point resolved spectroscopy (PRESS) method was used to acquire the MR spectra. Results : The high resolution MR images and spectra of human skin in vitro were successfully obtained on a 14.1T system. The water concentration of human skin after applying a moisturizer was higher than that before applying a moisturizer. Conclusions :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at the high-resolution MR images and spectra of human skin from a high field NMR instrument could be applicable to evaluating the hydration state of the stratum corneum. 영어논문

      • KCI등재후보

        대순사상의 신 개념에 관한 연구 : 『주역』의 신ㆍ신명ㆍ신도 개념을 중심으로

        최치봉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7 대순사상논총 Vol.28 No.-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God in Daesoon thought through gods, divine beings, and divine Dao as they are featured in the I Ching. This study also explores analysis by dividing the ‘one’ from the I Ching into personal subject, metaphysical and fundamental marvel, innate divinity and morality of human beings as being among various concepts of god. Among the terms regarding god, divine Dao is especially clear in its depiction of this concept. In this context, the study looks closely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cept of God. The divine Dao is actually an order that has been spread throughout the world by Sangje’s will and the gods are endowed with His mandate. Through such order, the divine Dao leads to the Dao of divinely empowered humans by the Great Dao of mutual beneficence and natural solution. Divinely empowered humans is a concept which corresponds to the idea that ‘Divine affairs are akin to those of humans.’ Divine beings have human will and feelings in the afterlife, and due to their close relationship to human beings, they exercise an influence over human beings. They have human will and feelings while alive as well. In addition, they also have grievances and grudges. Such grievances and grudges can be resolved by mutual beneficence. And the divine affairs and activities move in accordance with Taegeuk (the Great Ultimate), Sangje’s will, and the divine Dao. Therefore, it is a principle that divine beings should obey and an operational law in theonomy. Sangje’s divine Dao and heavenly mandate accord with the Great Ultimate and are thereby revealed. Natural solutions can be reached when Divine beings and human beings gain awareness of this truth. To realize the divine Dao, humans and divine beings should practice the dao of benevolence, justice, propriety, wisdom, and they should rely on one another. Furthermore, this is done to accomplish the dao of heaven and earth. 이 연구는 목적은 대순사상의 신 개념을 『주역』의 신ㆍ신명ㆍ신도를 통해 살펴보고 그 특질을 밝히는 것이다. 『역경』과 「역전」은 신 중심에서 천명이나 인간의 자발적인 도덕의지를 부각시키려는 패러다임 전환의 시기에 성립되었기 때문에 『주역』에서 신의 의미는 다양하게 해석되고 있다. 다양한 신 개념 중에서 본 논문은 『주역』의 신 개념을 인격적이고 의지를 가지는 변화의 주체, 형이상의 원리적 측면에서 신묘함, 인간에 내재한 신성과 도덕성으로 나누어 보았다. 그리고 대순사상에서 각각 이를 비교하여 최고신의 신의와 법칙으로서 신도, 형이상의 구현으로서 묘용의 신, 인간에 내재한 덕성으로서 신명에 대한 개념에 접근해보았다. 이에 따라 알아볼 수 있는 대순사상에서 신 개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격성을 가지는 존재이며 일정한 의지와 뜻을 가지고 만물에 주재하고 있다. 둘째, 형이상자이면서도 형이하에 신묘하게 작용하며 상제의 명을 받아 그 뜻을 태극에 굴신하여 인세에 구현하는 존재이다. 셋째, 인간의 마음을 통해 소통하며 인간과 의도(依導)의 관계에 있다. 신 관한 어휘 가운데 특히 신도는 신 개념을 잘 드러내고 있는 용어로서, 이를 중심으로 신 개념의 특질을 살펴보았다. 신도는 상제의 의지와 뜻 그리고 상제의 명을 부여받은 신들을 통해 세상에 펼쳐진 질서이다. 이렇게 신의 의지가 펼쳐지는 질서의 측면으로 고려해 볼 때, 신도의 주된 뜻은 상생대도이며, 무위이화로 운영되며, 신인의도로 실현된다. 대순사상에서 신인은 서로 신명인사일반의 관계이자, 신은 인간의 사후의 존재로 의지와 감정을 가지며 상호영향을 미치는 유기적관계이다. 생전의 의지와 감정을 가진 존재로서 신은 원과 한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신의 원과 한은 해원시대를 맞이하여 상생으로써 그 원이 풀리게 된다. 또한, 신의 행사와 활동은 태극의 이법적 틀에 맞춰 굴신하며 상제의 뜻인 신도에 맞게 움직인다. 이는 신들이 따라야하는 규율이며, 신정체계가 운용되는 법리이다. 상제의 신도와 천명은 태극지기에 굴신하여 이법적으로 그 모습이 펼쳐져 드러나고 신과 인간은 그 이법성에 맞춰 나아갈 때 일은 무위이화로 성사된다. 신도의 실현에 있어서는 인간과 신은 인의예지라는 같은 도의 범주 안에서 있으며, 서로 이끌고 의지하여 신도인 상생의도를 구현하는 것이 신인의 일을 이루는 것이며, 나아가 천지의 도를 완성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주리·주기 논쟁과 대순사상의 체용 구조에 관한 시론: ‘리의 用’과 ‘신의 發’을 중심으로

        최치봉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2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2 No.-

        형이상자가 형이하자로 구현됨에 있어 형이상은 형이하를 주재하고 영향을 미쳐야 하는 동시에 형이상은 형이하와 구별되기도 하여야 한다. 성리학에서 는 이러한 철학적 논의를 불상리(不相離)·불상잡(不相雜)으로 구조화한다. 리 가 기와 구별됨의 측면과 리와 기가 함께 운용하는 측면이 존재하는 것이고, 이 두 가지 측면이 공존하려면 리는 이중 구조를 가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 에 퇴계는 리의 이중성을 체용론(體用論)에 적용하여 무동정과 유동정을 언급 하였고, 리에서 무동정은 ‘본연지체(本然之體)’이며 유동정은 ‘지신지용(至神之 用)’이라고 정립하였다. 퇴계는 주자의 사단칠정에 대하여 주리·주기의 개념을 통해 더 정밀히 논 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퇴계의 유동정·지신지용은 주자가 언급한 태극의 본 연지묘(本然之妙)를 말한다. 본 논문에서 주목하고자 하는 점은 이때의 묘(妙)는 신(神)과 통한다는 점이다. 묘와 신은 고요함과 움직임의 이원성을 벗어난 본 체의 자유로움과 보편적 적용성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주자는 본체가 그 신묘 (神妙)함으로 인해 음양을 주재하고, 음양의 차원과 구별되며, 음양 가운데 작 용하는 것으로 언급하였다. 이 부분에서 퇴계 또한 형이하에서 나아가 형이상 의 본체를 언급함에는 신(神)의 개념을 살펴야 함을 언급하였다. 주자로부터 조선유학으로 이어지는 본체의 능동성과 주재, 발현 등의 논의 는 대순사상의 신 개념에서 적극적으로 드러나고 있다고 보인다. 대순사상의 신도(神道)는 그 개념상 신의 주재성과 의지를 가지고 만물을 발현시키는 능동 성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하여 대순사상의 신은 본체의 측면에서 ‘리의 용’의 속성에 해당하며, 이러한 신을 통해 ‘리의 체’가 발현되는 것이므로 발현과 능 동의 주체가 신이 된다. 퇴계의 주리론과 비교할 때, 이는 리의 활동성에 대한 개념을 신으로 분리해서 언급하는 것이며, 율곡의 주기론과 비교할 때는 기의 발동에 단순히 리의 조리가 실려있는 것이 아니라 신의 능동적 활동에 의해 그 리에 맡는 기가 배합되고 구성된다고 볼 수 있다. 그리하여 한국유학의 관점에 투영하여 대순사상에서 ‘리의 용’인 신을 중심으로 체용 구조를 살펴볼 때, 본 체론을 ‘주신론(主神論)’이라 개념화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성리학에서 마음을 주재로 본 심통성정은 대순사상에서 마음의 신명을 주재의 주체로 보아, 인성 론을 ‘신통성정(神統性情)’이라는 구조로 개념화할 수 있다.

      • 대순사상의 태극에 관한 연구 : 주자의 태극과 비교를 중심으로

        최치봉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4 대순사상논총 Vol.23 No.-

        This thesis strives to identify the peculiarities of Taegeuk (the yin-yang) and the relationships of Ri (reason/cause), Ki (Energy) and Do (duty). The Taegeuk is related with the Sangjekwan (highest ruling entity), Rikiron (noble theory) and the Boncheron (ontology) of the Daesoon Sasang (Daesoon Thoughts) which therefore is a priority research topic. Although said, due to the lack of original materials and the difficulty to understand the topic, the research is insignificant. Within chapter Ⅱ of this thesis, the concept of the Taegeuk, the Rigi and Do from the perspective of Juja is observed. In chapter Ⅲ, the relationship of Moogeuk and the Taegeuk which is mentioned in the foundation origin of the Daesoonjinrihoe. In addition, the Taegeuk and Eumyang’s noble perspectives are observed through the comparison of Juja and Daesoon Sasang. In chapter Ⅳ, the aspects of Taegeuk’s supervision is observed through the noumenality of the Taegeuk which is shown in the Daesoon Sasang along with the concept of mythology. Within the overall context, the Daesoon Sasang’s ontology has similar structures with Juja’s Taegeuk. This can be stated that Jojeongsan who had found the system of doctrine had not acknowledged Juja’s theories but have rather interpreted Kangjeungsan’s ontology in a Neo-Confucianism to better let the people understand. This can be observed as expediential teachings. The metaphysical Ri and the physical Ki’s separation, and the relationship of matters and functions of the Taegeuk and Do can be stated to be similar within an overall outline in the aspect of the Rikiron. The Taegeuk becomes the primary figure whilst explaining Daesoon Sasang’s Ri/Ki/Do and also becomes the Soiyeon (such reasons). Extreme Do is drawn from the Taegeuk and as Do resembles the trend of the Taegeuk, it is referred as the origin of all the things in the universe. However, Juja vigorously tried to witness God’s notions in a principled, atheistic way. However, the main principle is regarded as divine in the aspect of the universe’s functions and effects in the Daesoon Sasang. The personal Sangjekwan which embodies these profound and mysterious Taegeuk, is Daesoon Sasang’s peculiarity which cannot be found in Neo-Confucianism. Therefore, in the Daesoon Sasang, both the order and character are being regarded in the ontology through personal div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