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귤굴나방의 새로운 합성법과 야외시험 결과

        최충원,이상협,황록연,현재욱,구언철,정완조,이동하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10

        귤굴나방(Citrus leafminer, Phyllocnistis citrella)은 체장 약 2.4mm, 개장 5~6mm의 소형 나방으로 은백색의 인편으로 덮혀있고, 날개에는 담갈색의 조문이나 선단에 대형의 무늬가 있다. 유충은 담황백색으로 편평하고 반투명하며 노숙하면 체장은 약 4mm가 된다. 알은 0.3mm 정도로 눈에 거의 보이지 않는다. 연 5~7세대를 경과하며 잎 뒷면의 가장자리를 말아서 그 속에서 번데기로 월동한다. 세대별 발육기간은 17~23일이 소요되며, 성충수명은 6~11일 정도이며, 1마리의 암성충이 산란할 수 있는 양은 31~56개로 계절에 따라 변이가 있다. 감귤의 여름가지 발생시기에 귤굴나방을 방제하지 않을 경우 거의 모든 가지가 피해를 받으므로 방제가 필수적이다. 또한 알에서 깨어난 애벌레가 새잎 속으로 뚫고 들어간 후에는 방제가 어려우므로 발생초기부터 방제를 하여야 한다. 귤굴나방 (Citrus leafminer, Phyllocnistis citrella)을 예찰, 방제하기 위하여 귤굴나방의 성페로몬인 (7Z,11Z)-헥사데카디엔알 [(7Z,11Z)-Hexadecadienal]을 새로운 방법으로 제조를 하였고, 이 성페로몬을 감귤연구소에서 농도별 야외시험을 하여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

        파종량과 비료 시용이 봄 재배용 카멜리나 종자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박민우,최충원,오명근,이상협 한국작물학회 2015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60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comparison of seed yields according to different seeding rates, seeding time and application of chemical fertilizations in Yanji region of China.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commercial farmland at Yanji region in 2013. All the experimental fields were designed following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3 replicates. The plant spacing was applied as 65×1 cm distance. To check the effect of seeding rate, two different seeding rate, 0.2 kg/0.1ha and 0.5 kg/0.1ha were applied. The higher seed yield was observed in low seeding rate (0.2 kg/0.1ha). The application of fertilizer (mixture of N and P) showed different results following different experimental fields. However, there were little positive effects following fertilizer application into commercial farmland. When we compare seed yields between two different seeding dates, 4th May and 29th May, the earlier seeding date (4th May) showed higher seed yields. In considering these results, low seeding rate and early seeding time is important for getting high camelina seed yields.

      • 펠렛 재료가 카멜리나 종자의 발아에 미치는 영향

        박민우,최충원,이상협 한국육종학회 2015 한국육종학회 심포지엄 Vol.2015 No.07

        본 연구는 캐나다산 봄 재배용 카멜리나 종자에 적합한 펠렛 물질의 탐색과 이들 피복 물질들과 발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십자화과에 속하는 카멜리나 종자는 오메가3와 같은 지방산이 풍부하여 대체 의료 작물뿐만 아니라 바이오 디젤용 작물로 각광을 받고 있다. 국내에서는 재배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있으나 유럽과 캐나다 등지에서는 오일을 추출하여 의료용, 화장품 그리고 대체 연료를 이용할 목적으로 광범위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카멜리나는 파종 기계를 이용하여 포장에 직파를 하는데 종자의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파종시 종자 소요량이 많고 파종밀도가 불균일하여 발아 후 묘소질도 떨어지는 데다 새나 쥐와 같은 동물들이 가해하여 유실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소립종 종자들에 펠렛 코팅을 하는 주요한 목적은 파종작업을 용이하게 하며 입모주수의 확보 그로인한 입모 주수의 확보와 수량 증대에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겨하기 위하여 소립종 종자들의 종자표면에 발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불활성화 물질을 코팅하여 그 크기를 임의로 조절하여 파종하고 있다. LD, MD 그리고 HD의 세 가지 형태별 카멜리나 펠렛종자의 형태적 특성은 MD와 HD 형태의 펠렛 가공종자가 LD형태에 비하여 표면이 더 매끄러우며 펠렛 종자의 경도는 HD 형태의 것이 0.54㎏으로 가장 단단하였으며 수분흡수 후 열 개성이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실내 표준발아 시험에서 세 가지 형태의 카멜리나 펠렛종자는 카멜리나 종자들에 비하여 발아율, 발아속도(GR), 발아속도지수(PI)가 모두 낮게 나타났으나 하우스에서 실시한 토양 출현력 검정시험에서는 카멜리나 종자를 포함한 세가지 형태의 펠렛종자들의 발아율은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나 발아속도(GR)와 발아속도지수(PI)의 값에서는 HD형태의 펠렛종자가 낮은 결과 값을 보였다.

      • 제주도 귤굴나방 기생천적 조사

        박영규,최명효,최충원,양영철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0

        제주도 서귀포시의 감귤연구소에서 귤굴나방 유충과 번데기를 채집하여 귤굴나방과 기생성천적을 조사하였다. 2015년 6월 노지 귤나무의 귤굴나방유충이 발육중인 어린순 495엽에서 귤굴나방은 125개체 우화하였고 천적은 38개체가 우화하였다. 온실의 어린순 148엽에서 귤굴나방은 138개체 우화하였고 천적은 조사되지 않았다. 7월에는 노지 귤나무 453엽에서 귤굴나방이 526개체 우화하였고 천적은 55개체가 우화하였다. 8월 노지 귤나무의 귤굴나방 조사결과 우화율이 급격히 감소하여 총 177엽중 6개체만 우화하였고 천적은 총 112개체로 우화하였다. 8월에 채집한 귤굴나방유충 및 번데기를 저온 6℃에 저장한 후 천적우화율을 조사한 결과 저장 1주차에 천적은 54.0% 우화하였고 저장 2주차와 3주차에는 각각 44.0%와 19.0%로 우화율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채집한 귤잎 여러개를 한꺼번에 큰 지퍼백에 저온 보관한 것보다 한개 잎씩 작은 지퍼백에 보관한 경우에 각각 12.7 ~ 19.0% 와 44.4 ~ 54.0%로 천적 우화율이 높았다.

      • 제주도의 귤굴나방 기생률 및 기생천적 조사

        박영규,양영철,이상협,최충원,김일권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10

        제주도 서귀포시의 감귤시험장 및 주변농가에서 귤굴나방 유충과 번데기를 채 집하여 천적에 의한 기생률과 천적종을 조사하였다. 2014년 5월 귤나무 어린순 300엽에 발생한 귤굴나방 유충 및 번데기에서 천적은 10개체가 조사되어 기생률 은 0.03%였다. 8월에 귤굴나방 유충 120개체와 번데기 63개체를 채집하여 조사한 결과 유충에서 총 24개체의 기생벌이 우화하였고 번데기에서는 2개체가 우화하였 다. 조사지별 기생률은 일반포장과 농가에서 각각 23.8%와 26.9%이었던 반면 실 험포장의 방제구와 무방제구에서는 각각 4.0%와 42.9%로 차이를 보였다. 5월에 조사된 기생벌은 벌목 좀벌과(Eulophidae)의 Elachertus sp. 1이 5개체, Pnigalio sp. 1이 1개체, 면충좀벌과(Aphelinidae) 3개체, 기타 1개체이었다. 8월에 조사된 기생벌은 좀벌과 Elachertus sp. 1이 54개체로 가장 많았고 Quadrastichus sp. 1이 4개체, 기타 1개체이었고 면충좀벌과(Aphelinidae)의 Aphelinus sp.1이 1개체, 납 작먹좀벌과(Platygastridae) sp.1이 1개체, sp.2가 1개체이었다.

      • KCI등재후보

        Taxonomic notes on Phyllocnistis citrella (Lepidoptera: Gracillariidae) with genital structures and DNA barcode from Korea

        김다솜,최충원,이상협,변봉규 국립중앙과학관 2015 Journal of Asia-Pacific Biodiversity Vol.8 No.4

        Until now, only one species, Phyllocnistis citrella Stainton, of the genus Phyllocnistis belonging to the family Gracillariidae is listed in Korea, without available information on its identification and morphology, which is now a very serious and important insect pest species in southern area.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the illustration with genital structure and DNA barcode data for rapid monitoring, which has not been presented in this country to date.

      • SCIEKCI등재
      • KCI등재

        파종량과 비료 시용이 봄 재배용 카멜리나 종자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

        박민우,최충원,오명근,이상협 한국작물학회 2015 한국작물학회지 Vol.60 No.1

        바이오 디젤용 원료작물인 카멜리나를 중국 지역에서 대량 상용재배 하기 위해서 길림성 연길 지역에서 재식 밀도,비료 시비, 파종 시기 등이 종자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재식 밀도와 증수량의 상관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단위면적당 다른 두 가지의 파종량을 적용했다. 0.1 ha당 카멜리나 종자 0.23 ㎏을 파종한 시험구가 0.56 ㎏을 파종한 시험구보다 60.6 g이 증대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비료 시비량과 증수량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0.1ha당질소 1.97 ㎏과 인 12.3 ㎏을 시용한 시험구, 질소 2.8 ㎏과 인 17.5 ㎏을 시용한 시험구, 그리고 무시비구를 이용해서 증수량을 분석한 결과 재배지역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보였다. 다른 실험 결과와 비교하면 상당히 낮은 시비량에도 증수량이 포화되는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봐서 시험구포장 자체가 상당한 양의 비료 성분을 포함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통상적인 농경지 재배에서는 추가적인 시비 효과가크지 않을 것으로 여겨진다. 파종 시기에 따른 종자수확량은 동일한 생육 기간을 거치더라도 5월 4일에 파종을 한 후수확을 하는 것이 5월 29일 파종한 것보다 높은 생산량을보였다. 이 결과는 빠른 파종 시기가 종자 생산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최대한 파종 시기를앞당기는 것이 종자의 생산량을 늘리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 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comparisonof seed yields according to different seeding rates, seedingtime and application of chemical fertilizations in Yanji regionof China.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commercial farmlandat Yanji region in 2013. All the experimental fields weredesigned following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3 replicates. The plant spacing was applied as 65?1 cm distance. To checkthe effect of seeding rate, two different seeding rate, 0.2 kg/0.1haand 0.5 kg/0.1ha were applied. The higher seed yield wasobserved in low seeding rate (0.2 kg/0.1ha). The applicationof fertilizer (mixture of N and P) showed different resultsfollowing different experimental fields. However, there werelittle positive effects following fertilizer application into commercialfarmland. When we compare seed yields between twodifferent seeding dates, 4th May and 29th May, the earlierseeding date (4th May) showed higher seed yields. In consideringthese results, low seeding rate and early seeding time isimportant for getting high camelina seed yields. Keywords : Camelina Sativa, Yield components, Seed production,Biodiesel

      • 귤굴나방(Phyllocnistis citrella)의 천적 채집 및 방사 연구

        박영규,황록연,현재욱,강승호,최충원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6 No.10

        귤굴나방(Phyllocnistis citrella)의 친환경적 방제를 위해 2016년 4월부터 9월까지 제주도 서귀포시에서 천적을 조사하고 채집하였다. 귤굴나방은 8월에 귤잎 새순 한 개당 평균 2.1 ~ 2.7개체의 밀도로 발생했고 천적은 13.3 ~ 20.5% 기생하였다. 귤굴나방 천적은 귤나무 새순에서 발육중인 귤굴나방 종령유충을 채집하여 우화한 천적으로서 총 532개체를 채집하였다. 조사지별로는 감귤연구소내 무방제 재배포장, 무농약 방제시험구, 감귤연구소 앞 포장 그리고 주변지역의 귤굴나방 유충에 감염된 귤나무 새순 300, 750, 1,000, 1,000엽에서 각각 86, 209, 144, 93개체의 천적이 우화하였다. 우화한 천적의 수명은 10 ~ 15℃ 조건에서 평균 5.3 ± 3.3일이었다. 천적 방사구선정을 위해 조사한 감귤연구소내 5개의 하우스의 귤굴나방 및 천적의 밀도는 각각 33.5%와 27.5%로 조사되었으며 친환경재배농가 와 관행재배농가의 귤굴나방 우화율과 천적기생률은 각각 66.7%와 9.1% 그리고 6.2%와 2.7%로 친환경재배농가에서 높았다. 귤굴나방 천적 85개체를 친환경재배농가에 방사하고 방사당일 채집한 귤굴나방 유충에서 귤굴나방은 1개체 우화하였고 천적은 우화하지 않았으며 대조구 95엽에서 귤굴나방 2개체와 천적 3개체가 우화하였다. 방사 20일 후 채집한 귤굴나방 유충에 기생한 천적은 방사지점에서 13.3%이었고 5 ~ 20m까지 5m 간격으로 각각 32.1, 20.0, 34.6, 33.3%로 조사되었다.

      • KCI등재후보

        Preliminary survey of indigenous parasites associated with Phyllocnistis citrella Stainton (Lepidoptera, Gracillariidae) in Jeju, Korea

        이상협,김일권,박영규,최충원,변봉규 국립중앙과학관 2015 Journal of Asia-Pacific Biodiversity Vol.8 No.4

        In order to identify the parasitoids of Phyllocnistis citrella Stainton [commonly known as the citrus leafminer (CLM)], we collected CLM larvae and pupae in the Seogwipo area of Jeju-do, identified parasitoid species, and determined parasitism rates. In May 2014, nine parasitoids were identified from the CLM larvae and pupae that infested 300 fresh citrus leaves, yielding a parasitism rate of 3.03%. In August 2014, 53 parasitoid wasps emerged from 203 collected CLM larvae and pupae, indicating that the parasitism rate rose to 25.84%. The parasitoid wasps observed in May 2014 consisted of five individuals of Sympiesis sp. 1 (Eulophidae), one Pnigalio sp. 1 (Eulophidae), and three Aphelinus sp. 1 (Aphelinidae).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 parasitic wasps that emerged in August 2014 were Sympiesis sp. 1 (n = 49), followed by Quadrastichus sp. 1 (Eulophidae; n = 4). This study documents the seasonal parasitism rate of parasitic wasps and basic characteristics of each parasitoid in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