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한국의 루쉰 수용과 번역 1 -지식생산의 장소성과 중국발(發) 루쉰-

        최창륵 ( CHOE Changruk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21 사이 Vol.30 No.-

        Lu Xun was formally introduced to Korean literature as a writer in 1930 through Yang Backwha’s translation of The True Story of Ah Q. Subsequently, Jeong Naedong, who was then studying in Beijing, pointed out the errors in Yang’s translation, and got a response from the filmmaker Lee Kyungson and student Kim Guangjoo in Shanghai. They formed a specialized group to research the reception and translation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This was not only an opposition to the reviewer Yang Backwha of an older generation who translated Lu Xun’s works from Japan; it was also a rejection of knowledge production that was almost monopolized by the colonizer. Moreover, Jeong Naedong revealed a sense of competition with reviewer Kim Taejun, who was from the Chinese department of Keijō Imperial University in Korea. As a result, Jeong Naedong obtained dominance in the reception and translation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while Kim Taejun moved into the field of classical Korean literature and consolidated his academic position. In addition, Jeong Naedong and Kim Guangjoo, who attempted to conduct knowledge production independently based on the constructed placeness, China, took literariness as the only criterion and considered Lu Xun’s works to be outdated, leading to the negligence of his social critical spirit, anti-feudal introspection, and self-subversive spirit.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the specific conditions of the reception and translation of Lu Xun’s works in Korea in the early 1930s to understand its genealogical characteristics as a medium, and it also intends to elucidate the dynamics, gains and losses within the East Asia centered around knowledge production.

      • KCI등재

        부나이푸 한국인 서사의 의미: 『황야의 사나이』에서 보이는 극지상상과 문화융합을 중심으로

        최창륵 ( Choe Chang-ruk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7 민족문학사연구 Vol.64 No.-

        본고는 한국광복군 총참모장을 지닌 이범석을 모델로 하는 부나이푸의 장편소설 『황야의 사나이』(1942~1943)를 연구대상으로 근대 중국 한국인서사의 한 측면, 특히는 그 탈경계적 서사가 어떠한 의미 창출을 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본고는 작품의 서사적 배경이 지닌 장소적 의미를 고구하였는바, 중국의 벽지에 위치한 할라수는 다양한 종(種)과 문화가 혼재하고 서로 어울려 카니발을 연출하는 문화융합의 장소로서, 수렵지인 중·몽 경계의 `외흥안령`은 작가의 극지 상상력을 자극하여 중국인 스스로가 욕망하는 내부적 `타자`와 재활의 장소로서 기능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황야의 사나이』에서는 지식으로서의 `세계`가 장소화되어 인류사에 존재하였던 다양한 문화와 성과물들이 대상화 되고 주인공과 교감을 하기에 이른다. 나아가서 작가는 `천체`라는 우주적 시각에서 지구 및 인류 문명을 부감함으로써, 민족과 국가를 초월하는 전 지구적 인식으로 나아가고 있다. 즉 문화융합과 극지상상, 형이상학적 가치 등은 경계를 넘어서는 서사로서의 한국인서사의 의미 창출의 미덕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is focused on Bu, Naifu`s novel Man in the wilderness(1942~1943), which is based on the experiences of Lee, Beom-seok, who used to be the Chief of the General Stuff of Korean Independence Army.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Narrative, especially to point out how the Beyond-Border-Narrative makes sense.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the narrative background as a “place”. For instance, “Halasu”, located in the remote area of China, functions as a place of cultural fu-sion, where enjoys a variety of species and different cultures, which mixed with each other and leading to a carnival. “Oeheungallyeong”, works as a place which inspired the writer`s imagination of polar region and a place of rehabilitation which also otherized the internal ambition of the Chinese man himself. In this novel, the “world” as knowledge becomes into a “place” and all the various cultures and works that had existed through human history are objectified and all of them communes with the writer as a result. Furthermore, it is figured out that the writer wins a global perception beyond nation and country by overlooking the earth and human civilization from the view of “heavenly bodies”, which also reveals that the cultural fusion, the imagination of polar region and the metaphysical value is a great example to show how the Korean-Narrative, a narrative beyond border, matters.

      • KCI등재

        식민지 지식인의 판타지로서의 성, 사랑과 여성 * - 근대 한국인의 상해 기행문을 중심으로 -

        최창륵(Choe, Chang-ruk),진화염(Chen, Hua-yan)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8 동방학지 Vol.182 No.-

        Koreans travel notes about Shanghai-particularly in the 1920s and 1930s-clearly recorded the changes in Koreans emotions and cognition in the urban setting. Writings about women, which account for a large proportion, focused on feminine corporeality in the social public domain, indicating that the material desires brought about by capitalism merged with Koreans longing for exotic cultures, and morphed into sexual desire for women. Based on the absence of female characters enjoying a subjective voice and an equal status to men s, the authoritative male discourses expressed the tropes of death of women and punishment of women by objectifying women. Meanwhile, Koreans expressed their polarized modern feelings, sexual desires, and modern desires by centering on women s social activities. However, modern female intellectuals also suffered alienation when integrating into the Western value system.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reveal women s repeated exposure and distortion in the Shanghai concession, where multiple values coexisted in the cracks between the reality of capitalism and the modernity value system and in the eyes of both westerners and domestic intellectuals. Additionally, it reflects on the idea that Koreans also played a role as participants and copartners in the contradictory alienation process of being reborn as modern people. 1920~1930년대에 집중된 근대 한국인의 상해 기행문은 도시 체험에 기초한 식민지 지식인의 근대적 감각 및 인식의 변화과정을 극명히 보여주는 기록물이다. 그 중 상당한 편폭을 차지 하고 있는 여성서사는 사회 공공영역에 드러난 여성의 육체성에 주목함으로써 자본주의에 의해 자극된 물질적 욕망과 이역문화에 대한 동경이 하나로 아우러져 성적 욕망으로 이행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남성과 대등한 주체로 서의 여성을 설정하지 못한 채 여성을 물상화함 으로써, 남성 지배적 시선이 여성 ‘죽이기 와 ’벌 하기 로 이어지기도 한다. 한편, 상해 기행문은 여성의 사회진출에 주목함으로써 성적 욕망과 근대적 욕망이 혼재한 양가적 감정을 드러내고 있으며, 근대 지식인 여성 스스로가 서구적 질서에 재편됨으로써 새로운 소외를 낳기도 한다. 이에 본고는 다층적 의미의 장소였던 조차지 상해 에서 여성이 자본주의 현실과 근대성의 논리적 틈새 및 서양인과 자국 지식인의 이중적 시선 속에서 거듭 노출되고 변형되어 왔음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근대적 인간으로 거듭나기까지 거쳐야만 했던 모순되고 소외적인 과정에 한국인 스스로가 동참해 왔음을 성찰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일제 강점기 한·중 이주민의 ‘만주’ 체험과 근대적 각성 ― 강경애 「소금」과 뤄빈지 『국경선에서』의 비교문학적 고찰

        최창륵 ( Choe Chang-ruk ),풍열 ( Feng Yue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8 大東文化硏究 Vol.101 No.-

        본고는 1930년대 중반 ‘만주’에서의 한·중 이주민의 수난과 저항을 담아내고 있는 강경애의 소설 「소금」과 뤄빈지의 장편 『국경선에서』에 대한 비교문학적 연구를 시도하고 있다. 가족이 주된 전통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는 「소금」과 달리 『국경선에서』는 동향의식이 전근대적인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몸을 통한 주인공의 개체로서의 자각에 비중을 두고 있는 「소금」과 달리 『국경선에서』는 지식과 관념을 통한 사회적 자각의 중요성을 부각하고 있다. 또한 타자에 대한 인식이 단일한 「소금」과 달리 『국경선에서』는 타민족 및 그 사회적 관계에 대한 보다 다중적인 시선을 갖추고 있다. 이에 본고는 한·중 ‘서로보기’의 대표적 사례로서 두 작품이 ‘만주’를 현장으로 전개된 동아시아 근대를 총체적으로 이해함에 있어서 상호 보완적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The novel of Salt by Kang Kyong-Aeas well as the full-length novel of On the Frontier by Luo Binji depicts the sufferings and resistance of Korean and Chinese migrants living in Manchuria in the mid-1930s. This study is conducted through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se two novels. To begin with, family is the most significant traditional factor, compared to the important pre-modern element of fellow-villager consciousness in On the Frontier. Moreover, Salt places more stress on describing that the protagonist achieves her individual awakening through bodily experience, by contrast, On the Frontier emphasizes the role of knowledge and reason in realizing social awakening. Lastly, in terms of the description of other nations and their social relations, Salt employs one single angel while On the Frontier takes multiple perspectives. As the typical novels of trans-narrative between Korea and China, they are mutually complementary for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modern East Asia through Manchuria.

      • KCI등재

        <상감령(上甘嶺)>의 제작과정과 ‘사회주의 미학’의 감정이입 기제

        손혜민,최창륵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23 사이 Vol.35 No.-

        <상감령>(1956)은 중국에서 최초로 ‘항미원조’ 전쟁을 묘사한 영화이자 사회주의 문예 창작의 전범이기도 하다. 이 논문은 ‘사회주의 미학’의 정립 과정에 관심을 가지고, <상감령>의 제작과정을 자세히 살핌으로써 사회주의 국가의 사회적 동원력과 혁명가로서 예술의 길에 들어선 새로운 창작 주체들의 개인적 체험 및 열의가 어떻게 공모 관계를 맺고 문예 창작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구축했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창작 주체들은 영화 기법이나 서사 전략을 통해 원형 인물들, 즉 형상화 대상에게서 받은 감동을 진실하게 전달하고 관객들의 감정이입을 유도하여폭넓은 정서적 공감을 형성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그리하여 영화는 지원군 중대원들이 명예심을 매개로 정신적 가치를 추구하고, 전우의 희생과 그에 대한 애도를 통해 집단적 결속력을 다지며, 사회주의 현실에 대한 긍정과 미래를 지향하는 낙천성을 표현했다. 비록 <상감령>이 체현한 ‘사회주의 미학’은 숭고미, 비장미, 골계미 등 근대미학의 일반적 범주에서 벗어나지는 못했지만, 효과적인 감정이입 기제를 마련하여 신중국의 ‘공민/국민’적 정서와 인식의 일반화를 이루어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한다. Shangganling (1956) is not only the first Chinese film that depicts the War to Resist U.S. Aggression and Aid Korea, but also a model of socialist literary and artistic works. This article is anchor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socialist aesthetics’, inspecting the production process of Shangganling, analyzing how to establish a complicity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mobilization ability of a socialist country and the personal experience and enthusiasm of the new literary creators who as revolutionaries embark on the road of art, and that how to construct a new paradigm of literary and artistic works. In particular, by means of film techniques and narrative strategies, the creators have conveyed to the audience true sentiment received from the archetypal characters, that is, the objects visualized by the film, and guide the audience to empathize and form a wide range of emotional resonance. Therefore, the film portrays the soldiers in the volunteer army who pursue spiritual value through the sense of honor and strengthen the collective solidarity through the sacrifice of their comrade and mourning for him, and shows the affirmation of the socialist reality and optimism for the future. Although the ‘socialist aesthetics’ embodied by Shangganling fails to get rid of the general categories of modern aesthetics, such as the sublime, the solemn, and the humor, it has established an effective empathy mechanism to generalize the sentiment and cognition of ‘Citizenship/Nationality’ in New China, which is of special significance.

      • KCI등재

        김광주의 중국어 문필 활동과 중국 좌익 문인들과의 관련성 연구

        왕혜,최창륵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3 동방학지 Vol.205 No.-

        김광주는 중국에서 현대 중국어로 문필 활동을 한 대표적인 한인 작가로서 중국 근대 매체에 138편의 영화 평론과 문학 비평을 발표하였는데 그중 단 1편 외에는 모두 1933년 10월에서 1938년 1월에 이르는 그의 제2차 상하이 체류기에 발표되었다는 점이 주목을 요한다. 이는 대한민국임시정부가 상하이를 떠난 이후로 김광주가 상하이 한인 사회와 거리를 두고 중국의 좌익 문인들과 널리 교우한 상황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그는 ‘보헤미안’ 극사 동인인 위혜원, 전창근 등을 통해 영화감독 잉윈웨이(應雲衛), 선시링(沈西苓), 배우 위안무즈(袁牧之) 등 ‘중국좌익희극가연맹’ 맹원들과 친교를 쌓았으며, 같은 단체 천리팅(陳鯉庭)의 소개로 좌익 문인이 편집장을 맡고 있던 『민보·영담(民報·影譚)』에 소련 영화 이론을 번역·발표하였고, 좌익단체인 ‘영화 평론인 소조(影評人小組)’ 성원들이 집필진으로 대거 포진해 있던 『신보·매일전영(晨報·每日電影)』에 많은 영화 평론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러한 사실은 김광주의 중국어 문필 활동은 물론 그의 중국 근대문학 번역과 소개에 대해서도 다시 사유할 수 있는 계기가 되며, 그의 작품이 고립된 텍스트로서가 아니라 중국 근대 문예 운동 및 매체 등과 긴밀히 연동된 역사적 현장에서의 문예사적 실천이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항미원조’(抗美援朝)와 중국조선족 문학의 형성 : 연변대학교 학생문예지 『개간』(開墾)을 예로

        석길매,최창륵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2 동방학지 Vol.200 No.-

        This paper aims at examining how the Korean-Chinese had formed their literary subjects, inner consciousness, and aesthetic features by analyzing the works in the students’ magazine of Yanbian University, Gae Gan. This magazine had been published in 1951, Which contained 48 works and more than 80% of them were about the movement of ‘Resisting U.S. Aggression and Aiding North Korea’. As the earlier literary magazine of the Korean-Chinese, this magazine with Yanbian Literature could provide precious historical materials with revealing the will for Chinese public education after the surrender of Japan. Moreover, Editors and writers of Gae Gan were the first and second undergraduate students of Yanbian University, whose influences after graduation as the leaders in many fields had lasted till 1990s for the society of Korean-Chinese. 본고는 1951년에 발간된 연변대학교 학생문예지 『개간』 2~4집을 연구 대상으로 중국조선족문학이 ‘항미원조' 운동의 시대적 분위기 속에서 어떻게 자기 나름의 문학 주제와 내면의식, 미적 특징을 형성하였는지를 고찰하였다. 『개간』 2~4집은 소설, 시, 희곡, 수필, 평론 등 다양한 장르에 걸치는 48편의 작품을 게재하였는바, 그중 80% 이상의 작품이 직간접적으로 ‘항미원조'를 주제로 하고 있으며 일제 패망 후 『연변문예』와 더불어 중국조선족 첫 문예지로서 중국 공교육의 의지를 체현한 극히 소중한 자료이다. 우선, ‘항미원조'는 전쟁으로서보다는 정치·경제·교육 등 사회 문화 제반에 걸친 사회운동으로서 중국 거류 조선인들에게 다가왔으며, 그 당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쟁의 정의로움을 인정받아야 했다. 그리하여 『개간』은 미국에 의한 일본의 재무장을 담론화하게 되는데, 일제 강점기의 수난사와 그에 맞선 반일투쟁사를 공동체의 기억으로 소환하게 되며, 나아가 중국조선족의 과거를 중국 혁명사와 접목한다. 다음으로 『개간』의 작품들은 중국조선족의 현시적 삶과 땅을 근경화함으로써 해방 이후의 사회 변화와 새 생활을 강조하고 삶의 터전을 미국에 빼앗겨서는 안 된다는 담론을 공론화한다. 그리고 이러한 담론은 역으로 공소대회, 견학, 학습모임, 회의와 모범일꾼의 전범화 등을 통해 중국조선족을 군중화하고 조직화하는 사회적 동원의 근거가 되기도 한다. 그리하여 우리는 ‘항미원조' 운동의 전개 과정에서 『개간』의 작품들이 명랑성을 미학적 특질로 중국조선족만의 삶의 체험과 정취를 담아내고, 중국적 요소들이 가미됨으로써 중국 국민으로서의 의식 변화를 보이는 등 독자적 특징을 지니게 됨을 볼 수 있다. 연변대학교의 1, 2기생으로 구성된 『개간』의 편집진과 집필진은 나중에 중국조선족 사회의 학문과 교육, 문화 제 분야에서 중요한 리더 역할을 하는 주역으로 성장하여 1990년대에 이르기까지 큰 영향력을 미친다. 이에 『개간』을 통해 우리는 중국조선족의 내면의식과 정체성, 문학성 형성의 원류를 살펴볼 수 있게 된다.』

      • KCI등재

        장지락의 중국어 창작과북방 좌익문화운동(1929~1930)

        손만녕,최창륵 상허학회 2023 상허학보 Vol.69 No.-

        님 웨일즈의 『아리랑』에 의해 김산으로 널리 알려진 한인 혁명가 장지락은 중국공산당 베이핑시위원회 조직부장으로 있던 1929년 3월부터 1930년 12월까지 중국 북방 지역의 좌익문화운동에 깊이 개입했으며, 뛰어난 중국어 문필력으로 많은 문학작품을 창작하였다. 이 논문은 이미 학계에서 발굴한 소설 「기묘한 무기」 외에 장지락이 ‘옌광(炎光)’과 ‘리옌광(黎炎光)’이란 필명으로 『신신보(新晨報)』, 『용보(庸報)』, 『대공보(大公報)』등 신문과『삼민반월간(三民半月刊)』, 『현대교육(现代敎育)』등 잡지에 발표한 수필 6편, 시 6수, 평론 5편, 소설·희극·논문 각 1편, 계 20편 작품과 동방서점(東方書店)에서 출간한 편저인 『전변 후의 루쉰(轉變後的魯迅)』등을 새롭게 발굴, 정리하였다. 또한 장지락이 베이핑에서 체류한 정확한 시기, 중국공산당 베이핑시위원회와 중국좌익작가연맹 북방부 및 베이핑 각 대학교 당지부와의 관련성, 장지락의 주변 관계와 지인들의 회고, 게재지 간의 연관성, 필명 사용 상황과 낙관의 특징, 주제와 언어 표현의 중복성 등에 기초하여 상기 작품들이 장지락이 창작한 작품임을 일일이 고증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은 문학가로서의 장지락의 또 다른 모습을 그려냈으며, 근대 한인 망명 지사의 중국 근대문학 및 문학운동과의 밀접한 교접과 융합을 제시하였다. The Korean revolutionary Jang Jirak (a.k.a Kim San) is well-known for his biography Song of Ariran(1941) written by Nym Wales. From March 1929 to December 1930, Jang Jirak served as the head of the Organization Department of the Beiping Municipal Committee. During this period, he deeply participated in the Chinese Left-wing cultural movement, and created many works with his excellent Chinese writing ability. It is found that besides the novel “Strange Weapon”, which is well recognized by the academic circle, there are a large number of publications by Jang Jirak. These works, under Jang’s pseudonym “Yan Guang” or “Li Yan’guang”, include 6 essays, 6 poems, 5 reviews, one novel, one drama and one article published on newspapers like Xin Chen Bao, Yong Bao and Ta Kung Pao and on magazines such as San Min Ban Monthly and Modern Education, as well as the book Lu Xun after Transformation edited by Jang published by the Oriental Bookstore. This paper aims to demonstrate that the above works were all created by Jang Jirak based on various proofs, including the exact period of his stay in Beip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eiping Municipal Committee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the northern part of League of Chinese Left-wing Writers and party branches of universities in Beiping, the characteristics of his pseudonym and inscriptions, the repetition of themes and vocabulary and memoirs of relevant personnel, etc. Therefore, this paper depicts another aspect of Jang Jirak as a writer and presents the close connection and convergence between the modern Korean exiled patriot and modern Chinese literature and literary mov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