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인에서 요오드성 영상조영제 이상반응의 후향적 분석

        김희현,최지엽,오민경,김은영,김종률,최석진,신재국,Kim, Hee Hyun,Choi, Ji Yeob,Oh, Min Kyung,Kim, Eun Young,Ghim, Jong Ryul,Choi, Seok Jin,Shin, Jae Gook 대한임상약리학회 2012 臨床藥理學會誌 Vol.20 No.2

        Background: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n the adverse reactions caused by iodinated contrast media (CM) for computed tomography (CT) examination in a university hospital. Methods: Clinical and demographic data among outpatients with CM use were collected at 0000 University Busanpaik Hospital in Busan, Korea between 2008 and 2010. Adverse reaction rate was calculated by the number of adverse reaction among total outpatients with CM use, which was stratified by seasons and sex. The association of risk factors on adverse reaction was investigated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 Results: The total outpatients and events of administered CMs were 27,587 and 48,616, respectively. The administered CMs were iopromide, iohexol, iobitridol, and iodixanol. Adverse reactions occurred in 300 outpatients among the total outpatients (1.1 %). The number of outpatients administered CM more than twice were 8,348. Among them, outpatients who experienced adverse reaction(s) more than once and twice were 124 (1.5 %) and 26 (0.3 %), respectively. Adverse reaction rat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sex(p=0.01). The other risk factors were cancer history (OR 2.57, 95 % CI 2.00-3.31) and previous CM administration (OR 1.89, 95 % CI 1.47-2.44). Urticaria was the most frequent symptoms. Conclusion: Total adverse reaction rate was 1.1 % with most common symptom in skin system. Related risk factors were female, cancer history, and previous CM administration. These results were similar to previous studies and will be contribute to clinical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especially in Koreans.

      • KCI등재

        웨어러블 신체활동 측정도구의 정확성 검증

        이미영(Mi Young Lee),최지엽(Ji Yeob Choi)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5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7 No.2

        최근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신체활동측정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나 상용화된 손목밴드가 다양하게 출시되었다. 하지만,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신체활동 측정을 위한 정확성 검증에 대한 근거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빈도 높게 이용되고 있는 웨어러블 신체활동 검사도구의 신체활동량(보행수) 측정에 대한 정확성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48명의 건강한 성인으로써 총 8개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정확성을 걷기와 달리기뿐만 아니라 대표적인 일상생활 활동 중 측정점수를 직접 검사점수와 비교하였다. 또한 허리착용이 가능한 검사도구는 좌, 우에 착용하여 검사도구간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검사도구의 정확성은 절대와 상대오차율(%)을 계산하고, 검사도구간 상관계수(r), 차이검증(t-test), ICC를 계산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Actigraph와 Fitbit One이 상대적으로 낮은 오차율을 보였고, Nike Fuel Band가 높은 오차율을 보였다. Actigraph와 Armband는 상대적으로 신뢰로운 결과를 보였으나, Pedomter는 상대적으로 낮은 신뢰도 계수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손목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일상생활을 측정할 때 높은 오차율을 보이고 있으나 걷기 또는 달리기 활동은 상대적으로 낮은 오차율을 보였다. Actigraph와 Fitbit One이 일상생활 또는 걷기나 달리기 활동에서 상대적으로 오차율이 낮았다. 추후, 실험실 상황이 아닌 24시간 일상생활에서 신체활동량 측정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정확성 검증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curacy of wearable devices to measure physical activity levels, which were step counts. A total of 48 adults (10 males and 38 female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Eight of wearable devices including Actigraph, Armband, Omni Peodmter, Fitbit Charge, Fitbit One, Feual Band, Jawbone, and Galluxy Note 2 were selected to examine the accuracy of the physical activity levels dring the treamill, moving papers on the table, mopping, stair up and down, and mopping, which were the most frequently employed. Actigraph and Fitbit One were the most accurate and Nike Pure Band was the least accurate wearable measures. During the free-living activity, the most wearable devices were less accurate comparing to the walking and running activities. Measuring steps utilizing Actigraph as more reliable than armband and omni pedometer, which is most frequently employed in the researches. In the future, wearable devices should be considered to measure type, pattern, and intensity of physical activities rather than energy expenditure (Kcal) and steps taken.

      • KCI등재

        가속도계 추정공식과 강도기준치(Cut-point)의 신체활동량 추정오차검증

        이미영(Miyoung Lee),이효(Hyo Lee),최지엽(Ji-yeob Choi)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6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18 No.1

        신체활동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고자 하는 노력은 지속적이면서 급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로 인해 다양한 신체활동량 추정공식이 개발되고 추정오차를 줄이기 위한 결정요인들이 밝혀졌지만, 추정공식과 Cut-point에 대한 오차검증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장년을 대상으로 다양한 신체활동추정식의 추정오차를 검증하고 개발된 Cut-point가 정확하게 신체활동 강도를 분류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평균 50대의 남자 10명(50.30±10.65세), 여자 38명(53.29±7.36세)을 대상으로 트레드밀, 대표적인 일상생활, 일련의 신체활동상황에서 신체활동량을 준거 검사와 가속도계(Actigraph GT3X+)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준거검사와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추정된 신체활동량(MET) 점수 간의 차이는 절대오차와 상대오차를 계산하고 추가적으로 Paired t-test를 적용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신체활동강도분류에 대한 정확성 검증은 각 강도의 비율(%)을 계산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살펴보면 다양한 공식가운데 Freedson_1998 공식이 트레드밀이나 일상생활의 신체활동추정에 있어 오차가 상대적으로 낮았다. 또한, Troiano_2008 Cut-point가 신체활동강도를 보다 정확하게 분류한 반면 Freedson VM Cut-point는 낮은 강도활동 추정시 높은 오차를 보였다. 추후 연구에서 신체활동량 추정오차를 줄이기 위해 공식개발뿐만 아니라 인공지능망(Artificial Neural Networks)이나 딥러닝(deep learning) 적용 등 새로운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rror rates of existing prediction equations and cut-points of Actigraph GT3X+. Ten healthy males (50.30±10.65yrs) and thirty eight females (53.29±7.36yrs) without any chronic disease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were wearing Actigraph and K4b2 during all experiment and performed three selected types of settings in treadmill, daily physical activities, and free-living. Epoch of Actigraph was set at 1 second, and K4b2were collected breath-by-breath data. Those data were converted to MET values with 60second epoch. Obtained MET values from the criterion measure and Actigrph accelerometer were compared to calculated median, mean, and standard deviations as well as Mean Absolute and Relative Percent Error. Paired t-test was applied to examine the statistical differences of the MET values. To determine the accuracy of the categorization of the physical activity intensity, percent (%) of the correct assignments were calculated. All statistical analysis was calculated by SPSS 20.0 and Stata 12 with α<.05. As a result of the study, overeall Freedson (1998) equation was most accurately estimating MET values comparing to other equations. Troiano (2008) cut-point was precisely classified the intensity of the physical activity among the various cut-points, but not Freedson VM (2011). Advanced technology to estimate physical activity levels should be applied to reduce the error rate of predicting physical activity levels in the near future.

      • KCI등재

        객관적 신체활동 측정도구 착용기간의 신뢰도추정: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가속도계 자료분석

        이미영(Miyoung Lee),이효(Hyo Lee),최지엽(Ji-yeob Choi),오경원(Kyungwon Oh),김윤정(Yoonjung Kim),김소연(Soyeon Kim)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2018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Vol.20 No.3

        이 연구의 목적은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새롭게 도입한 가속도계의 착용기간에 대한 신뢰도 증거를 검증하는데 있다. 세부목적으로서 1) 주7일간 연속적인 착용일수 (compliance) 를 확인하고, 2) 주중과 주말의 신체활동 참여시간(분) 의 차이를 규명하여, 3) 신뢰도 추정공식별 주7일의 대표적인 착용기간과 측정요일을 검증하였다.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대상자 가운데 가속도계를 착용하겠다고 동의한 한국성인 (만19-64세) 944명의 자료를 스크린 후 742명(남자 311명, 여자 431명) 의 자료가 최종분석에 이용되었다. 모든 연구대상자는 Actigraph GT3X (USA)를 왼쪽허리에 착용하였고, 적어도 10시간 이상 주7일을 착용하도록 하였다. 수집된 원자료는 1분단위로 요약되어 좌식행동부터 중강도와 고강도 참여시간이 계산되었다. 자료처리는 먼저 주7일중 착용비율이 계산되었고, 주중/주말과 요일별 중고강도 신체활동참여시간에 대한 평균치 차이는 paired t-test와 ANOVA를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α<.05). 또한, 주7일 평균과 각 요일별 중고강도 신체활동 참여시간간의 관계는 Pearson 상관계수와 ICC를 이용하여 산출되었고, Spearman Brown 공식과 Multiple Regression을 적용하여 주7일의 신체활동량을 대표할 수 있는 요일과 착용일수가 검증되었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1) 전체 참여자의 79.51%가 가속도계를 주4일을 착용하였고, 35.18%가 주7일을 착용하였다. 2) 주중과 주말의 중고강도 신체활동 참여시간은 차이가 있다 (p< .05). 하지만, 8~10분이상 연속적인 중고강도 신체활동 참여시간 (1 bout) 을 고려할 경우 주중과 주말의 참여시간은 통계적인 차이가 없고 (p >.05), 중고강도 신체활동 참여시간이 현저하게 낮아졌다. 3) Speaman-Brown 공식에 의하면 주4일이상 (>.80), 회귀분석에 의하면 주3일이상의 착용기간 (R2=.89) 에 의해 신뢰할 수 있는 중고강도 신체활동 참여시간의 추정이 가능하고 토요일을 포함할 것이 권장된다. 추후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한국인 신체활동 권장량 준수율을 추정할 경우, 1bout을 고려하여야 할 것이고, Glob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에 의해 추정된 중고강도 신체활동 참여시간과 비교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iability evidence utilizing an accelerometer to estimate moderate-vigorous physical activity level of Korean adults in 2014. A total of 742 adults (311 males & 431 females) in Korea participated. The participants worn Actigraph GT3X (USA) on their left waists for longer than 10hours for 7days. Epoch was set at 60 second and minutes of moderate and vigorous physical activity were calculated (Mean±SD). The proportion of wearing days among all participants were calculated, paired t-test and ANOVA were applied to compare mean differences of moderate-vigrous physical activity (MVPA) between weekday and weekend as well as among each da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Inter-class Correlation, Spearman Brown formular,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applied to determine how many days and which day are needed for reliable and representative days to estimate MVPA levels. As results, 1) about 80% and 35% were wearing the Actigraph for 4days and 7days, respectively. 2) The mean minutes of MVPA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weekday and weekend (p>.05), but there was statistical difference of MVPA while 1 bout was considered. 3) Four days were required from Spearman-Brown formular (>.80), and 3days were reliable days from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en estimating the rate of meeting physical activity guideline for Korean adults, 1 bout should be considered to calculate physical activity levels, the it should be compared with GPAQ adopted by Korea NHAN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