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주요조경수목의 수형분류방법에 관한 연구: 느티나무, 스트로브잣나무, 백목련을 대상으로

        최준수,김남춘,문석기 한국조경학회 1988 韓國造景學會誌 Vol.16 No.2

        조경수목의 수형은 배식설계시 고려하여야 할 기본요소로써 배식설계의 성공여부는 적절한 수종의 선정과 정확한 수형의 예측에 좌우된다고 할수 있다. 그러나 조경수목의 수형은 토양이나 수분, 광, 온도, 바람, 염분, 강우량 등 다양한 환경요인과 전정작업이나 이용등의 인위적요인에 의해 고유수형에서 변형될 우려가 매우 높다. 이에 따라 소목의 실제수형을 통해 고유수형을 예측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으나, 기존 문헌에서는 성목의 수형만을 언급하고 시간경과에 따른 수형의 변화특성을 다루지 않고 있어 배식설계에 큰 도움을 주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배실설계시 수형에 대한 이해는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 중 하나이므로 시간경에 다른 수형의 변화를 다룬 자료는 큰 의미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는 시간경과에 따른 조경수목의 수형변화를 예측하는 방법론을 개발하여 그 결과가 배식설계의 참고자료로 활용되도록 하며, 동시에 이 방법론을 토대로 하여 보다 많은 조경수목을 대상으로 수형변화를 예측하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수행하였으며, 중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 느티나무의 수형은 상부비대형인 맹상형과 도란형의 계열에서 원형.타원형의 계열로 변하는 특성을 나타내었으며, 아울러 수관고에 비해 수관복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으로 파악되었다. 2. 스트로브잣나무의 수형은 하부비대형인 란형 혹은 원추형의 계열에 속하며, 성목이 되면서 수관고에 비하여 수관복이 증가하면서 란형계열인 D-4∼D-5로 변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3. 백목련의 수형은 하부비대형인 난형계열중 D-4로 안정되고 있는 경향을 나타내며, 시간경과에 따른 뚜렷한 변화는 비교적 없는 것으로 보였으며, C-3∼C-5, D-4에 가까운 수형임을 알 수 있었다. Predicting treeform should be very important, eventhough it is difficult, step for landscape designe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method to classify the treeforms of landscape plants by numerical data. Twenty five treeforms are selected to be compared with 41 Zelkova serrata MAKINO, 26 Pinus strobus L., and 44 Magnolia denudata DESROUX. Statistical judgement was made by using X$^2$-Test. The results are summerized as follows. 1. Zelkova serrata was classified as B3 or C3. This species showed a tendency of changing from A type to B or C type, and the CL/CH ratio(canopy length/canopy height) is thought to be increased as aged. 2. pinus strobus was classified as D4-D5 and the CL/CH ratio tends to be increased as aged. 3. Magnolia denudata was classified as D4 and the change by aging was not observed clearly.

      • 한국의 잔디 생산 현황

        최준수,양근모,Choi, Joon-Soo,Yang, Geun-Mo 한국잔디학회 2006 한국잔디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국내 잔디생산 현황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로 재배면적, 재배초종, 경영농가 현황,잔디유통 현황 등을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 기간은 2006년 4월부터 10월까지이며, 각시도별로 잔디재배를 많이 하고 있는 곳을 방문하여 15개 항목을 설문조사 하였다. 재배면적은 설문조사와 지역 재배농민의 추정치, 그리고 방문에서 제외된 지역은 2006년 산림청조사 자료를 종합하여 결정하였다. 기타 조사항목은 항목별 응답 인원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조사결과 국내 총 잔디 재배면적은 2,947ha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전남 1,417ha(48%), 전북 442ha(14.9%), 경기 344ha(11.6%), 경남 248ha(8.4%), 충남 240ha(8.1%) 순으로 나타났다. 잔디 주 생산단지는 장성군, 함평군, 영광군, 고창군, 사천시, 익산시, 여주시, 연천군 등으로 조사되었다. 경영주 나이는 51세 이상이 72.4%로 노령화되어 있었으며, 재배경력은 10년 이상이 84.4%로 나타났다 전문경영의 형태를 보였다. 잔디재배 초종은 중지계통의 들잔디가 55.5%, 일반 들잔디가 37.4%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켄터키블루그래스가 3.8%, 한국잔디 신품종이 0.1% 등으로 조사되었다. 한국잔디의 출하 규격은 다양했으며 $18{\times}18cm$ 규격으로 출하하는 경우가 43.6%로 가장 많았다. 출하형태는 위탁판매가 40.5%로 높게 나타났으며, 전남지역의 생산단가는 $2,160{\sim}2,730$원$/m^2$ 이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data on current sod production in South Korea. Fifteen items were surveyed including production acreage, species and cultivars, experience on farming, production cost and the others during April to October in 2006. To estimate production acreage, 73 turfgrass growers were interviewed. Estimated acreage for turfgrass production was 2,947 ha. Acreages by province were 1,417 ha in Jeollanam-do(48%), 442 ha in Jeollabuk-do(14.9%), 344 ha in Gyeonggi-do(11.6%), 248 ha in Gyeongsangnam-do(8.4%), and 240 ha in Chungcheongnam-do(8.1%), respectively. The major sod producing regions were Jangseong-gun, Hampyeong-gun, Yeonggwang-gun, Gochang-gun, Sacheon city, Iksan city, Yeoju city, Yeoncheon-gun. Percentage of turf growers over 50 years old was 72.4 percent, which means production was carried out mainly by old farmers. Grower's career over 10 years was 84.8%. Cultivated species and varieties were 'Junggi'(55.5%) of fine-textured Korean lawngrass, common Korean lawngrass(37.4%), Kentucky bluegrass(3.8%), and new zoysiagrass cultivars(0.1%), respectively. Sod size were variable. Sod size of $18{\times}18cm $ was 43.5 percent. Sales route was mainly through sod distributor(40.5%). Sod producing cost was $2,160{\sim}2,730$ won per square meter at Jeolla-do areas.

      • KCI등재

        임무 환경에 따른 무인항공기 가시선 분석

        최준수,허창우,Choi, Jun-Su,Hur, Chang-Wu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7 No.6

        In this paper, analyzed of UAVs operation altitude and range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data link. UAVs operation altitude is determined by the specification of the mission equipment and operational purposes. The link-of-sight analysis of data link equipment before deciding the unmanned aircraft operation altitude conditions should be considered. If GDT=0m installation then 32dBi antenna apply 15,779 meter is operation altitude. 44dBi antenna 7,927 meters. Operating altitude perspective, high-gain antenna is recommended of the long range communication. 본 논문은 무인항공기의 운용 고도 및 거리를 데이터링크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무인항공기의 운용 고도는 일반적으로 탑재되는 임무장비의 특성 및 운용 목적에 따라 결정된다. 무인항공기의 운용 고도를 결정하기 전에 데이터링크 장비의 가시선 조건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가시선 분석은 지상통신장비의 안테나 특성 및 설치고도, 지구의 곡률 반경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지상통신장비 설치고도가 0m 일 때, 32dBi 파라볼라 안테나를 사용할 경우 통신거리 300km에서 15,779m이고, 44dBi 파라볼라 안테나를 사용할 경우 7,927m에서 운용 가능하다. 또한 원거리 통신에서는 고 이득안테나가 운용 고도 측면에서 유리함을 확인하였다.

      • 국내 잔디 주 생산지역에서 수집된 한국잔디류의 형태적 특성 및 생육속도

        최준수,양근모,오찬진,배은지,Choi, Joon-Soo,Yang, Geun-Mo,Oh, Chan-Jin,Bea, Eun-Ji 한국잔디학회 2012 한국잔디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국내 잔디 주 생산 단지인 전라남도 장성군 지역에 재배되고 있는 한국잔디의 형태적 다양성 평가 및 상기 지역에서 수집된 잔디의 생육속도 등 이용성을 평가해 보고자 수행되었다. 총 101개 개체를 수집하였다. 수집개체를 온실에 포트 상태로 생육시킨 후 형태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형태적 특성으로는 엽폭, 초장, 잎각도, 잎집 길이, 털 유무, 포복경 길이, 엽색 등의 변이를 비교하였으며, 특이성 개체 7개를 선발하였다. 생육속도를 조사하기 위해 한국잔디 기존 대조품종 8개와 국내 주 생산단지에서 수집된 계통 7개 그리고 육종계통 3개를 비교하였다. 장성징역 수집 잔디 101개체의 평균 엽폭은 3.4 mm로 나타났으며, 잎각도는 45.8도, 초장은 21.6 cm, 최하위 엽의 높이는 5.0 cm 그리고 엽장은 14.1 cm의 특성을 보였다. 피복속도 조사결과 CY6097, CY6069 등이 스프리그 식재 5개월 후 각각 70%, 68.3%의 피복률을 나타내었다. 가장 느린 생육속도를 보인 금잔디의 31.7% 대비 약 2배 빠른 피복속도였다. CY6069의 경우는 피복속도가 안양중지 60.0% 보다 빠르면서도 마디간 길이가 5.1 cm로 짧게 나타나 고품질 계통으로 가치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특성 평가를 통해 잔디재배 주 생산단지인 장성 지역에서 생육속도가 빠르며, 고품질의 계통의 대표종을 선발할 수 있었다.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valuat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growth rates of 101 medium-leaf type zoysiagrasses (Zoysia spp.) collected at the major sod production area (Jang Seong Gun) in South Korea. Collected lines with distinctive morphology and visual growth rate were planted in plastic pots and measur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under the plastic house conditions. Variation of leaf width, plant height, leaf angle, length of leaf sheath, trichome, stolon length, and color were measured. Six lines were selected by evaluating growth rates from one hundred one collected lines. Eight standard cultivars and three other superior lines previously collected were compared to 7 selected lines form Jang seong area by checking growth rates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verage leaf blade width was 3.4 mm, leaf angle was 45.8 degree, plant height was 21.6 cm, height of lowest leaf was 5.0 cm, and length of leaf blade was 14.1 cm. Ground cover rates of selected lines 'CY6097' and 'CY6069' were 70% and 68.3%, respectively. These are believed to be faster than 60% ground cover rate of zoysiagrass 'Anyang', and also, twice as faster than the 31.7% ground cover rate of Z. matrella. Selected line 'CY6069' showed fast growth rate with shorter internode length (5.1 cm) compared to zoysiagrass 'Anyang'.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ould select useful fast growing zoysiagrass breeding lines from the major sod production area (Jang Seong Gun) in Korea.

      • 한국잔디(Zoysia spp.)의 종자 및 영양체를 이용한 carpet 잔디 생산

        최준수,양근모,김동섭 한국잔디학회 2001 한국잔디학회지 Vol.15 No.2

        한국잔디의 종자 및 영양체를 이용한 carpet 잔디 생산체계 확립은 한국잔디의 고성 효율과 이용 증대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다. 또한 덧파종 기법을 이용해 한국잔디류의 carpet 잔디를 생산하는 것도 효율적인 carpet 잔디 생산 및 푸른 기간 연장의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Z. japonica cv. Zenith 종자를 이용해 carpet 잔디를 생산시 6g/$m^2$ 파종시 가장 효율적으로 확인되었으며, 영양체를 이용할 경우는 초종에 따라 피복률에 차이를 보였다. 사용한 초종 중 중엽 Z. japonica가 우수한 피복률을 보였으며, 영양체 사용량에 있어서는 2.5L/$m^2$을 사용하고, 영양체의 길이는 3~4마디씩 잘라서 이용할 때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덧파종용 한지형 잔디로는 발아속도가 빠른 퍼레니알라이그라스가 효과적이었으며, 적절한 덧파종 시기는 9월 중순이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덧파종을 통해 carpet 잔디의 생산기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푸른 기간을 연장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조성 후 고관리 등의 문제점을 해결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develop the rapid propagation technology of zoysiagrass using carpet production and to provide turf-growing farmers with efficient cultivation methods thor carpet production. Turfgrass cultivar tested in cadet production by seeding was Z. japonica cv. Zenith. Since the surface coverage rate reached to 85% in 2 months after seeding at the rate 6g/$m^2$ in the early part of July, carpet production using ‘Zenith’seeds would be possible to produce within within the same year. Thrfgrasses tested in carpet production by vegetative propagation were Z. japonica, medium type Z. matrella, fine type Z. matrella, and medium type Z. japonica. Planting rates of vegetative parts (sprigs) were 1.2L/$m^2$, 2.4L/$m^2$, 2.5L/$m^2$, and 5L/$m^2$. Two different sizes of sprig were used; 1~2 nodes and 3~4 nodes. Surface coverage rate was 90% in one year after planting at the rate of 2.5L sprigs of medium type Z. japonica. Therefore, the use of sprigs with 3~4 nodes at the planting rate of 2.5L would be suitable for the carpet prodcution. Three months old zoysiagrass carpet (Zenith) was overseeded with Kentucky bluegrass, perennial ryegrass, and tall fescue at two different overseeding rate. Surface coverage rate was the highest (80%) at the plot overseeded with perennial ryegrass that showed the earliest germination. Suitable overseeding species for the rapid sod formation at the early stage of establishment were tall fescue and perennial ryegrass and desirable overseeding time was from early to middle of September.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에서 현재까지 사용되어 온 Zoysiagrass의 종 및 품종의 분포, 분류와 육종 현황

        최준수 한국잔디학회 2017 Weed & Turfgrass Science Vol.6 No.4

        Zoysiagrass has been used in Korea as a native grass. Informations on distributions, classifications, breeding efforts and outputs, current production and uses of zoysiagrasses in Korea are summarized. During past a few decades, collection of naturally growing zoysiagrass ecotypes has been continued, followed by evaluation, selection and crosspollination. Classification efforts using important morphological, biochemical traits and DNA polymorphisms resulted in the several suggestions of grouping zoysiagrass species and varieties. Zoysia japonica consistently form separate group, while Zoysia sinica and Zoysia macrostackya have been separately or inter-mixed. Z. matrella with some variations frequently grouped separately but with some similarity with Z. tenuifolia, which was recently renamed as Z. pacifica. Hybrid types of zoysiagrasses were frequently found in Korea. New varieties such as ‘Kunhee’ and ‘Green Ever’ etc. were bred by ecotype selections, while ‘Senock’, ‘Semil’, ‘Millock’ were bred through pollination. Molecular approaches were also used to introduce beneficial genes into zoysiagrasses with no practical outputs by legal regulations. Currently popular varieties are inter-specific hybrid types such as ‘Anyang’ and other local zoysiagrasses as well as common zoysiagrass (Zoysia japonica) Production area in Korea was estimated as 2,947 ha with increasing problems of mixed or contaminated species and varieties.

      • KCI등재

        국내 자생 한국잔디류의 내한성 및 내염성 조사

        최준수,양근모 한국잔디학회 2011 Weed & Turfgrass Science Vol.25 No.2

        본 연구는 국내 자생 잔디 중 내염성 계통을 선발하고자수행되었다. 공시재료는 국내에서 수집된 자생 한국잔디(Zoysia spp.)류 및 버뮤다그래스와 시쇼파스팔룸(seashore paspalum) 등 82 개체 였다. 염 처리는 바닷물과 수돗물을혼합하여 전기전도도가 2-3 dS·m^(-1) 수준이 되는 물에 시험포트를 침지처리 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조사는 염 처리전 동해, 염 처리 후 염해, 그리고 염 처리 후 토양의 화학성을 조사하였다. 월동 후 피해조사에서는 대부분 Z. japonica형이 피해 없이 천안지역에서 월동이 되었으며, 비단잔디,금잔디, 갯잔디 등은 대부분 고사하였다. NaCl 농도 0.51%수준에서 염해가 관찰 되었으며, 토양의 전기전도도(ECe)는 170 dS·m^(-1) 수준까지 높게 나타났다. 82개 개체 중 30%수준으로 염해를 낮게 받는 초종은 Z. tenuifolia 형인 Z5034,Z. matrella 형은 ‘Konhee’, Z4109, ‘Semill’ 등, 그리고 Z.japonica 형은 Z1055, Z1040, Z1008, ‘Zenith’, ‘Millock’ 등으로 나타났으며, 중지류 중에서는 Z6096, Z6118, Z6021,Z6074 등으로 나타났다. 상기 방법은 앞으로 내염성 유전자원 평가를 위한 유용한 방법으로 활용될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elect salt tolerant zoysiagrass breeding lines. Eighty two native zoysiagrasses collected from S. Korea were used in this study. Saline water were prepared by mixing sea water and tap water. ECw levels of saline water treated ranged from 2 to 3 dS·m^(-1). Zoysiagrass planted in pot by sprigging were soaked into the plastic box containing saline water. Winter injury was investigated under the pot condition. Most of Z. japonica types did not show winter injury. But Z. tenuifolia type, Z. matrella type, and Z. sinica type showed winter injury under the pot condition at Cheonan area. NaCl level in soil was increased from 0% to 0.51% by treatment of saline water. Soil ECe measurement showed upto 170 dS·m^(-1). Z. tenuifolia type (Z5034), Z. matrella type (‘Konhee’, Z4109, ‘Semill’), Z. japonica type (Z1055, Z1040, Z1008, ‘Zenith’, ‘Millock’) and medium leaf type zoysiagrass (Z6096, Z6118, Z6021, Z6074) resulted in below 30% leaf firing under the saline condition. This approach might be useful for selecting salt tolerant breeding li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