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천 무등리보루군의 가치와 활용방안

        최종택(Choi, Jongtaik),양시은(Yang, Si-Eun) 고구려발해학회 2018 고구려발해연구 Vol.62 No.-

        본 논문은 연천 무등리보루군의 역사ㆍ문화적 가치를 바탕으로 유적의 정비 및 활용 방안을 검토해본 것이다. 무등리보루군은 임진강변에 위치한 보루 중 발굴조사를 통해 그 구조와 성격에 관한 기본 자료가 확보된 유일한 유적이다. 특히 고구려 기와 건물지 즉 행정 관청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1보루와 완전한 형태의 고구려 찰갑과 더불어 고구려 제철장 및 곡물 창고가 있었던 군수기지로서의 2보루는 행정관청과 군수기지라는 고구려 변경 지역에서의 치소 및 병참 운영 체계를 연구하는데 단초를 제공해주고 있다. 또한 무등리보루군은 독특한 축성기법으로 인해 고구려 보루에 대한 축성 연구뿐만 아니라 임진강 일대의 고구려 관방 체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하는데도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이처럼 역사·문화적 가치가 충분한 무등리보루군은 역사교육의 장으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연천군 관내의 여러 고구려 유적과 연계하는 다양한 역사탐방루트는 물론이고, 임진·한탄강의 수려한 자연경관 및 이미 개발된 안보관광루트나 둘레길(평화누리길) 탐방과 연계하는 프로그램 개발도 필요하다. 또한 지역에서 성공적으로 정착한 전곡선사박물관과의 적극적인 활동 연계나 유적 인근의 관광시설에서의 홍보 등을 통해 유적의 자연스러운 방문을 유도함으로써 무등리보루군의 조사 성과와 역사적 가치를 알릴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 밖에도 향후 남북관계 개선을 염두에 두고, 고구려유적을 매개로 한 남북교류 방안 등도 미리 준비해둘 필요도 있다. 이상 제시된 활용 방안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해서는 무등리보루군을 국가사적으로 지정하는 행정조치가 선행되어야할 것이며, 이후 체계적인 발굴조사와 관련 연구를 통해 유적과 유물에 대한 성격을 보다 분명히 함으로써, 그 역사적 의미를 더욱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s a consideration of the utilization plan of Mudeungri forts in Yeoncheon based on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Mudeungri forts are the important site where basic data on structure and character were obtained through excavation. It is assumed that fort no. 1 had a roof tile building that served as the administrative office and fort no. 2 was a logistical base with a grain warehouse and iron refinery. These forts provide important data for studying administrative locations and logistical systems in the Koguryo border area. And These forts are also important to study the construction techniques of the Koguryo forts. Mudeungri forts, which have sufficient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like this, need to be used as a place for histor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ety of programs like as a variety of historical routes linked to Koguryo sites in Yeoncheon as well as the beautiful natural scenery of the Imjin and Hantan rivers and the Peaceful Nuri-gil. It is also necessary to seek ways to promote the investigation results and historical values of the Mudeungri forts by increasing the opportunity to visit the site through active links with Jeongok prehistory museum or promotional activities. In order to promote the above-mentioned utilization plans, it is necessary to precede the administrative measures to designate Mudeungri forts as a national historic site.

      • KCI등재

        고구려고고학 연구 120년

        최종택(Choi Jongtaik) 고구려발해학회 2015 고구려발해연구 Vol.53 No.-

        고구려고고학 연구는 20세기 초 일본인에 의한 만주지역 답사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고구려고고학 연구동향에 대해서는 여러 편의 논고가 발표되었으나, 지역과 시기 및 주제별로 제한된 범위의 연구 성과들을 검토한 것으로 120여년에 달하는 기간 동안의 연구동향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 글에서는 1895년 도리이 류조의 랴오뚱반도 조사 이후 2014년까지 국내외에서 행해진 연구 문헌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시기별 연구경향을 분석하였다. 글에서는 19세기말 이후 고구려고고학의 연구동향을 네 개의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제 1기(1895년~1945년)에는 일본인이 연구를 주도하였으며, 고분과 성곽 등 새로운 자료의 획득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제 2기(1946년~1973년)에는 북한과 중국 현지인에 의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 시기에는 북한의 연구자들이 연구를 주도하였는데, 적석총과 봉토분의 구조형식과 편년 등 연구의 기본적인 틀이 마련되었다. 제 3기(1974년~1994년)는 중국의 연구자들이 연구를 주도하였는데, 적석총의 기원과 구조형식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이 제시되었다. 또한 고분과 성곽 등 전통적인 연구주제 외에도 건축 및 유물 등으로 연구가 확대되었으며, 현재 논의되고 있는 대부분의 주제에 대한 개설적인 연구가 이루어졌다. 제 4기(1995년~2014년)에는 남한과 중국 연구자들이 연구를 주도하였는데, 2000년대 이후 남한 연구자들의 활동이 두드러지게 증가하였다. 이 시기 남한과 중국에서 양질의 고고자료가 확보되었고, 주제별 연구 성과를 집대성한 개설서들이 발표되었다. 또한 이 시기에는 연구주제가 다양화되었고, 새로운 연구자들이 대거 등장하였는데, 이러한 점에서 향후의 연구 전망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고구려고고학 연구는 시작부터 일제의 식민지 지배로 인한 왜곡을 겪었으며, 광복 후에도 남북의 분단, 중국의 동북공정 등 학문외적인 요인의 영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동안 많은 연구 성과가 축적되었지만, 여전히 학문외적 요인이 고구려고고학 연구에 장애가 되는 것 또한 엄연한 사실이다. 학문외적인 장애요인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이 마땅치 않은 것 또한 사실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북한을 비롯한 국제적인 학술교류와 함께 연구주제의 다양화 및 새로운 연구방법론의 개발 등 다음 시대를 맞이할 노력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oguryo Archaeology had begun with the field survey by Japanese scholar in the early 20th Century. Various articles on the research trend of Koguryo Archaeology have been published, but the reviews are limited to the asserted research results which cannot not cover the entire history of Koguryo Archaeology spanning 120 years. This article is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f all the Korean and overseas studies from the first survey on Liaotung Peninsula by Dori Ruyzo in 1895 until 2014, and analyzed the shift of the research trends over time. The four phases in the development of Koguryo Archaeology can be identified since the end of 19th Century AD. In the first phase (AD 1895-1945), the research were led by the Japanese scholars and they focused on acquirement of basic dataset such as tombs and fortresses. The second phase (AD 1946-1973) is the period led by North Korea and local Chinese scholars. The North Korean researchers played a leading role and established the basic research format such as typology of the stone piled tomb and mound tomb structure and chronology. The third phase (AD 1974-1994) is the period led by the Chinese scholars, providing various explanations regarding the origins of the stone piled tomb and their structures. Research fields had expanded to include new subjects including architecture and artifacts added to the list of traditional research subjects such as tombs and fortresses. Thus a framework of current research subject and formula was established at that time. The forth phase (AD 1995-2014) is the burgeoning period of Koguryo Archaeology led by South Korean scholars and Chinese scholars, but the South Korean researchers were more actively engaged since 2000. High-quality datasets were acquired, and the various introductory books on each research subject were published. The fact that the research subjects were diversified and new researchers had participated, can be positively assessed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Gogyryeo archaeological research. Developmental path of Koguryo Archaeology had been overshadowed from the beginning due to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research has been highly constrained by external non-academic factors such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 and the Northeast Project of the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Despite the mass of research data so far accumulated, such external factors have restricted the development of Koguryo Archaeology. Although it would be a hard task to overcome these weaknesses, the efforts such as the international collaborative academic project involved with North Korea and South Korea, diversification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exploring new research methods have to be constantly made for the next generation of Koguryo archaeological research.

      • KCI등재

        남한지역 고구려유적 연구현황과 과제

        최종택(Choi Jongtaik) 고구려발해학회 2014 고구려발해연구 Vol.50 No.-

        1979년 중원고구려비 발견이후 구조적으로 고구려 고분과 유사한 고분이 남한지역에서 간헐적으로 조사되었다. 1988년 몽촌토성에서 고구려 유적과 유물이 조사되면서 남한지역 고구려 유적에 대한 조사가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1994년에는 한강북안의 아차산 일원에서 20여개소의 고구려 보루가 확인되었고, 1997년부터는 발굴조사가 시작되었다. 1999년에는 임진·한탄강유역과 양주분지에서 다수의 고구려 관방유적이 확인되었으며, 이후 금강유역에서도 고구려 산성이 발굴되었다. 최근 2000년대 이후 고구려 토기가 부장된 고분의 조사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일부 고구려 고분군의 주변에서는 취락유적이 조사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남한지역 고구려유적의 조사현황을 살펴보고, 고구려 남진의 물적 증거인 고분과 관방유적에 대한 그간의 연구 성과를 검토한 후 향후의 연구를 전망해보았다. 남한지역에서 고구려유적이 조사되고 연구된 것은 비록 짧은 기간이었지만 상당한 연구 성과를 거둔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남한지역에서 조사된 가장 이른 시기의 고구려 유물은 파주 주월리유적에서 출토된 구형호 등으로 4세기 후엽 또는 4세기말로 편년된다. 그 다음으로는 세장방형묘실의 횡혈식석실분으로 5세기 중엽 경에 해당된다. 5세기 후엽에는 장방형 묘실의 횡혈식석실분이 축조되었으며, 아울러 몽촌토성과 대모산성, 남성골산성, 월평동유적, 은대리성, 당포성 등도 이 시기에 해당된다. 이후 6세기 전반에는 한강 북안의 아차산일원에 고구려 보루가 축조되어 551년까지 존속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양주분지와 임진·한탄강유역의 보루들도 대체로 5세기 중반 이후에 축조된 것으로 이해되나 폐기시점에 대해서는 추가의 연구가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통해 볼 때 고구려는 4세기 후반 이후 북한강 상류와 남한강상류를 통해 충주지역으로 진출하였는데, 연천 강내리고분군과 춘천 방동리 2호분 및 충주 두정리고분군과 같은 세장방형 고분은 고구려의 충주지역 진출 및 영역화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475년 한성공함이후 고구려군은 몽촌토성에 주둔하고 진천과 청원, 대전으로 진출하였으며, 점령지에 대한 영역화를 시도했던 것으로 이해되는데, 5세기 후엽 이후의 장방형고분들은 이러한 영역화 과정에서 축조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 고분들 인근에서 고구려의 취락유적이 속속 조사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볼 때 고구려가 남한지역에 대한 영역화를 적극적으로 시도하였으며, 일정기간 지속되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It was only after the excavation of Mongchon Earthen Wall in 1988 that the artifacts and sites of Koguryo were appreciated in South Korea for the rfsit time. Thereafter, A series site surveys identified a number of fortifications at M. tAcha, and the excavation of a fortress No. 4 since 1997 has accelerated the study of Koguryo archaeology. Since then, a number of fortresses and pottery data have been additionally identified and reported in Han River Valley, Yangju Basin, Imjin River and Geum River Valleys. These new archaeological data provided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the archae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guryo sites and allowed the chronology of Koguryo pottery in South Korea. They also greatly helped to understand a series of historical events which had occurred in South Korea area from the 4th to 7th century in terms of archaeological perspective. Meanwhile, In 1981 a Koguryo-type stone chamber tomb was reported at Bangdong-ri in Chuncheon, for the first time in South Korea. Since then, a number of tombs, which are similar to the Bangdong-ri tomb in structural features, were found in South Korea. In these tombs, however, few artefacts were found which are typically found in Koguryo-type tombs. Subsequently, little progress has been made in studying this type of tombs in South Korea. It is since the second half of the 2000s that the cases, in which Koguryo pottery was found in that type of tombs, increased in number. As a result, the existence of Koguryo tombs in South Korea was confirmed. The tombs, which have a long-rectangular shaped chamber and a coffin placed directly on the fire-hardened chamber-floor without a platform for coffin, are dated to the mid 5fth century. The tombs with a rectangular-shaped chamber are dated to the late 5th century. At the same time Mongchon Earthen Wall, Namseonggol Fortress, Eundaeri Fortress and Dangposeong fortress were constructed in the late 5th century. In the early 6th century, Mt. Acha Fortresses were constructed and lasted to 551. Most of fortresses in Yangju Basin and Imjin River Valley were constructed after the middle 5th century. But it is not clear that at the time of disused. This chronology, together with historical circumstances, suggests that the tombs with a long-rectangular shaped chamber were constructed in relation to the expansion of Koguryo to central Korea in the mid 5th century, and that the tombs with a rectangular-shaped chamber were made after Hanseong had fallen in 475. Settlement or fortress sites found around the areas, where tombs are located, indicate the possibility that Koguryo tried to govern the lower area of the Han River and the upper areas of the Bukhan and Namhan Rivers, as part o tfheir territory.

      • KCI등재

        고구려 적석총 군집묘 축조와 혼계

        최종택(Choi, Jongtaik) 한국학중앙연구원 2024 한국학 Vol.47 No.3

        고구려 적석총 군집묘는 열상배치를 특징으로 하며, 여러 기의 적석총을 서로 잇대어 축조하는 연접묘는 열상배치의 의도가 극대화된 결과로 이해된다. 적석총의 열상배치 및 연접묘에 대해서는 가족 또는 혈연을 기반으로 하는 친족집단의 집단묘로 이해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개별 고분의 규모 차이는 신분이나 위계를 반영한 결과로 이해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고구려 적석총 군집묘 축조 집단을 친연관계 또는 위계관계로 해석하던 기존의 관점에서 벗어나 피장자 간 관계를 보다 입체적으로 해석하기 위해 혼계의 개념을 적용해 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고구려 적석총의 분형과 묘형의 분석을 통한 적석총의 구조 형식과 변천 과정에 대한 제 논의를 검토한 후 적석총의 입지와 분포상의 특징을 기반으로 군집묘 축조의 사회적 배경을 고찰했다. 특히 3,600여 기에 달하는 적석총 군집묘가 분포하는 통구분지 고분군의 군집과 배치 양상을 통해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했다. 즉, 적석총 군집묘의 축조는 고구려의 국가 형성과 성장 과정에 수반되는 개인이나 집단 사이의 경제적 불평등과 신분 및 계층적 차이 등 정치ㆍ경제ㆍ사회적 현상을 반영한 것으로 이해해야 하며, 군집묘에서 관찰되는 속성 변이를 보다 포괄적이고 일관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혼계라는 개념의 적용이 유용할 수 있음도 확인했다. 다만 출토 유물에 대한 자세한 보고가 이루어지 않은 탓에 유물의 분석을 통한 개별 고분 피장자에 대해 구체적으로 고찰할 수 없었던 점은 한계로 남으며, 미진한 부분에 대해서는 후일을 기약하고자 한다. The clustered burials of Koguryo stone mound tombs are characterized by their linear arrangement. The construction of connected burials, achieved by linking multiple stone mound tombs, can be understood as a result of the intentional maximization of this linear arrangement. Generally, the linear arrangement and connected burials of stone mound tombs are interpreted as clustered burials of kinship groups based on family ties, with variations in the scale of individual tombs reflecting status or hierarchy. This study aims to move beyond the conventional perspective that interprets the construction groups of Koguryo’s clustered stone mound tombs as “kinship” or “hierarchical” relationships by applying the concept of “heterarchy” to interpre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terred in a more multidimensional manner. To achieve this, the structural forms and transition processes of stone mound tombs were analyzed, followed by a review of various discussions on these topics. The social background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clustered tombs was then examin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locations and distribution. Several implications are suggested based on the grouping and arrangement patterns of tomb clusters in the Tonggu Basin, where approximately 3,600 stone mound tombs are distributed. Specifically, it has been concluded that the construction of these clustered tombs reflects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phenomena, such as economic inequality and status or class differences among individuals and groups, which accompanied the state formation and growth process of Koguryo. The applicability of the concept of heterarchy was confirmed as useful for a more comprehensive and consistent explanation of the attribute variations observed in the clustered tombs. However, a limitation is the lack of detailed reports on excavated artifacts, which prevents a thorough examination of the individuals interr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se artifacts. It is anticipated that future research will address this shortcoming.

      • KCI등재

        문화유산 디지털지도체계 구축을 위한 제언 : 북한(평양)지역 및 청주시 대상의 시범형 구축 경험을 기초로

        김범철(Kim Bumcheol),최종택(Choi Jongtaik),최진무(Choi Jinmu),홍밝음(Hong Balkeum),박주영(Park Juyoung),나선민(Na Sunmin),김혜정(Kim Hyejung),이민영(Lee Minyeoung) 백산학회 2020 白山學報 Vol.0 No.118

        공공기관의 디지털공간에 공개된 문화유산 관련 (공간)정보가 과도하게 소략하여, 문화유산을 체계적ㆍ종합적으로 파악하기 어려운 점을 지적하면서, 그 문제해결의 일환으로 ‘디지털지도체계’ 구축을 제안한다. 디지털지도체계는 개별 문화유산에 대한 속성 데이터베이스, 공간정보에 의거해 작성되는 디지털지도, 외부 情報源과의 연계체계를 포괄하는 지도체계이다. 본고는 새로이 구축될 ‘체계’가 탄력성을 담보하면서 기존의 디지털공간보다는 훨씬 많은정보를 포괄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아울러, 실제로 디지털지도체계가 구축되는 상황에서설명문의 작성, 체계의 구성 및 관리방식에 대한 몇 가지 학술적ㆍ기술적 사항들을 제안한다. Pointing out that geographical information relevant to cultural heritage in the digital space provided by governmental and public organization is not sufficient or properly managed, we suggest building ‘digital map system’ to solving the problem. The digital map system of cultural heritage incorporates property database of cultural heritage, digital map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and relational path to other information sources. We emphasize that to-be-build system should have flexibility in renewing and adding new data and provide much more information than current systems. In addition, we suggest, in academic and technical terms, several things in relation to describing characteristics of cultural heritage at issue, structuring and managing the new system.

      • KCI우수등재

        한국 방사성탄소연대 이상연대치의 선별과 검증

        김장석(Kim, Jangsuk),황재훈(Hwang, Jaehoon),김준규(Kim, Junkyu),오용제(Oh, Yongje),안승모(Ahn, Sungmo),성춘택(Seong, Chuntaek),최종택(Choi, Jongtaik),이창희(Lee, Changhee) 한국고고학회 2018 한국고고학보 Vol.0 No.107

        본 연구에서는 기보고된 탄소연대 측정결과 중 오류 가능성이 의심되는 데이터를 선별하고, 동일 시료에 대한 재측정실험을 행하였다. 우선, 연대측정결과의 비교검토를 통해 잘못 측정되었을 가능성이 높은 데이터를 선별하였다. 서울대와 다른 기관 사이의 연대 차이가 있다는 지적에 대해 재검토한 결과, 서울대가 일관되게 다른 기관보다 이른 연대치를 보이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서울대와 지질자원연구원의 측정결과 중, 특정 보고일자에 이상측정치들이 집중되는 패턴이 간취되었다. 이에 문제의 데이터가 측정상의 오류에서 기인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세 단계에 걸쳐 재측정실험을 실시하였다. 재측정 결과, 서울대와 지질자원연구원의 특정 일자 보고치에서 반복적 오류가 발견되었다. 그렇지만 문제의 일자를 제외한 서울대 측정치에는 문제가 없음이 확인되었다. 금번 재측정실험에서 오류로 판정된 지자원과 서울대의 일부 데이터는 폐기되어야 하며, 이 결과가 편년 연구에도 반드시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방사성탄소연대자료에 대한 합리적인 연구는 연대측정결과에 대한 무조건적 불신이 아니라 데이터와 편년안에 대한 신중한 재점검을 통한 체계적인 활용이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In this paper, we examine potential errors of already-reported radiocarbon dates of Korea, by re-dating the same samples. We compared multiple dates from the same features to asses the dataset and find problematic dates. Evaluation of the radiocarbon dataset revealed that among radiocarbon dates measured by SNU and KIGAM, anomalous dates were concentrated on specific dates. A series of re-dating experiments confirmed our suspicions, although the general accuracy of the SNU radiocarbon dates did not have problems. We suggest that the erroneous dates that we found from re-dating be abando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