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매 환자에서 뇌 자기공명영상의 특징과 비정형 항정신병 약제 사용여부의 상관 관계

        최종택,김지원,노양호,류석환,우성일,한상우,황재욱,Choi, Jongtaek,Kim, Jiwon,Roh, Yangho,Rhu, Sukhwan,Woo, Sungil,Hahn, Sangwoo,Hwang, Jaeuk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13 생물정신의학 Vol.20 No.3

        Objectives We aimed to identify the neuroimaging marker for prediction of the use of atypical antipsychotics (AAP) in dementia patients. Methods From April 2010 to March 2013, 31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dementia at the psychiatric department of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completed the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scan and cognitive test for dementia. T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AAP for the improvement of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 and the other 21patients were not. Using T1 weighted and Fluid Attenuated Inversion Recovery (FLAIR) images of brain, areas of white matter (WM), gray matter (GM), cerebrospinal fluid (CSF) and white matter hyperintensities (WMH) have been segmented and measure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models were applied for assessment of association between AAP use and the GM/WM ratio, the WMH/whole brain (GM + WM + CSF) ratio.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AAP use and the GM/WM ratio (odds ratio, OR = 1.18, 95% confidence interval, CI 1.01-1.38, p = 0.037), while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AAP use and the WMH/whole brain ratio (OR = 0.82, 95% CI 0.27-2.48, p = 0.73). Conclusions The GM/WM ratio could be a biological marker for the prediction of AAP use and BPSD in patients with dementia. It was more likely to increase as dementia progress since atrophy of WM was more prominent than that of GM over aging.

      • KCI등재
      • KCI등재

        고구려고고학 연구 120년

        최종택(Choi Jongtaik) 고구려발해학회 2015 고구려발해연구 Vol.53 No.-

        고구려고고학 연구는 20세기 초 일본인에 의한 만주지역 답사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고구려고고학 연구동향에 대해서는 여러 편의 논고가 발표되었으나, 지역과 시기 및 주제별로 제한된 범위의 연구 성과들을 검토한 것으로 120여년에 달하는 기간 동안의 연구동향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 글에서는 1895년 도리이 류조의 랴오뚱반도 조사 이후 2014년까지 국내외에서 행해진 연구 문헌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시기별 연구경향을 분석하였다. 글에서는 19세기말 이후 고구려고고학의 연구동향을 네 개의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제 1기(1895년~1945년)에는 일본인이 연구를 주도하였으며, 고분과 성곽 등 새로운 자료의 획득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제 2기(1946년~1973년)에는 북한과 중국 현지인에 의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 시기에는 북한의 연구자들이 연구를 주도하였는데, 적석총과 봉토분의 구조형식과 편년 등 연구의 기본적인 틀이 마련되었다. 제 3기(1974년~1994년)는 중국의 연구자들이 연구를 주도하였는데, 적석총의 기원과 구조형식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이 제시되었다. 또한 고분과 성곽 등 전통적인 연구주제 외에도 건축 및 유물 등으로 연구가 확대되었으며, 현재 논의되고 있는 대부분의 주제에 대한 개설적인 연구가 이루어졌다. 제 4기(1995년~2014년)에는 남한과 중국 연구자들이 연구를 주도하였는데, 2000년대 이후 남한 연구자들의 활동이 두드러지게 증가하였다. 이 시기 남한과 중국에서 양질의 고고자료가 확보되었고, 주제별 연구 성과를 집대성한 개설서들이 발표되었다. 또한 이 시기에는 연구주제가 다양화되었고, 새로운 연구자들이 대거 등장하였는데, 이러한 점에서 향후의 연구 전망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고구려고고학 연구는 시작부터 일제의 식민지 지배로 인한 왜곡을 겪었으며, 광복 후에도 남북의 분단, 중국의 동북공정 등 학문외적인 요인의 영향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동안 많은 연구 성과가 축적되었지만, 여전히 학문외적 요인이 고구려고고학 연구에 장애가 되는 것 또한 엄연한 사실이다. 학문외적인 장애요인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이 마땅치 않은 것 또한 사실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북한을 비롯한 국제적인 학술교류와 함께 연구주제의 다양화 및 새로운 연구방법론의 개발 등 다음 시대를 맞이할 노력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oguryo Archaeology had begun with the field survey by Japanese scholar in the early 20th Century. Various articles on the research trend of Koguryo Archaeology have been published, but the reviews are limited to the asserted research results which cannot not cover the entire history of Koguryo Archaeology spanning 120 years. This article is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f all the Korean and overseas studies from the first survey on Liaotung Peninsula by Dori Ruyzo in 1895 until 2014, and analyzed the shift of the research trends over time. The four phases in the development of Koguryo Archaeology can be identified since the end of 19th Century AD. In the first phase (AD 1895-1945), the research were led by the Japanese scholars and they focused on acquirement of basic dataset such as tombs and fortresses. The second phase (AD 1946-1973) is the period led by North Korea and local Chinese scholars. The North Korean researchers played a leading role and established the basic research format such as typology of the stone piled tomb and mound tomb structure and chronology. The third phase (AD 1974-1994) is the period led by the Chinese scholars, providing various explanations regarding the origins of the stone piled tomb and their structures. Research fields had expanded to include new subjects including architecture and artifacts added to the list of traditional research subjects such as tombs and fortresses. Thus a framework of current research subject and formula was established at that time. The forth phase (AD 1995-2014) is the burgeoning period of Koguryo Archaeology led by South Korean scholars and Chinese scholars, but the South Korean researchers were more actively engaged since 2000. High-quality datasets were acquired, and the various introductory books on each research subject were published. The fact that the research subjects were diversified and new researchers had participated, can be positively assessed for the development of future Gogyryeo archaeological research. Developmental path of Koguryo Archaeology had been overshadowed from the beginning due to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research has been highly constrained by external non-academic factors such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 and the Northeast Project of the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Despite the mass of research data so far accumulated, such external factors have restricted the development of Koguryo Archaeology. Although it would be a hard task to overcome these weaknesses, the efforts such as the international collaborative academic project involved with North Korea and South Korea, diversification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exploring new research methods have to be constantly made for the next generation of Koguryo archaeological research.

      • KCI등재

        남한지역출토 고구려 토기 연구의 몇 가지 문제

        최종택(Choi, Jong-Taik) 백산학회 2004 白山學報 Vol.- No.69

        Since the late 1980s, field campaigns for Koguryo fortress sites located in the South Korea region have uncovered quite a number of Koguryo potteries, and the new pottery data which had not been available in South Korea have drawn serious scholarly attention. As is well known, most of archaeological researches on Koguryo have been concentrated on typological and chronological studies of tombs along with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mural tombs. In these circumstances, there is no doubt that the newly reported Koguryo potteries in the South Korea region will provide a significant turning point in the archaeological study of Koguryo. In this article, I attempt to provide a synthetic opinion on the study of Koguryo pottery based on critical review of scholarly discussions on the Koguryo pottery, in particular manufacturing techniques, composition of pottery types and chronology. As of today, a total of 1,611 Koguryo potteries of 24 kinds have been reported in South Korea, and most of them are considered to be used in daily life with a few exceptions. Some distinctive manufacturing techniques of the Koguryo pottery are identified and reported such as forming techniques (clay paste, wheeling and trimming after coiling), flat bottom, and brushing marks. A comparative study of the rim shapes of pots and jars revealed that potteries from Mongchon Earthen wall site was temporally ahead of those from Mt. Acha (峨嵯山) and the neighboring area. In addition, based on typological studies of a few kinds of pottery showing apparent change in the pottery shape such as Long-necked pottery with four ears, Ball shaped pot, and steamer, Koguryo potteries from Mongchon Fortress site was dated to the second half of the 5th century and those from Mt. Acha was dated to the late 5th century ~ middle of the 6th century. These dates based on the analysis of pottery correspond to the dates of the sites based on historical circumstances.

      • KCI등재
      • KCI등재

        남한지역 고구려유적 연구현황과 과제

        최종택(Choi Jongtaik) 고구려발해학회 2014 고구려발해연구 Vol.50 No.-

        1979년 중원고구려비 발견이후 구조적으로 고구려 고분과 유사한 고분이 남한지역에서 간헐적으로 조사되었다. 1988년 몽촌토성에서 고구려 유적과 유물이 조사되면서 남한지역 고구려 유적에 대한 조사가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1994년에는 한강북안의 아차산 일원에서 20여개소의 고구려 보루가 확인되었고, 1997년부터는 발굴조사가 시작되었다. 1999년에는 임진·한탄강유역과 양주분지에서 다수의 고구려 관방유적이 확인되었으며, 이후 금강유역에서도 고구려 산성이 발굴되었다. 최근 2000년대 이후 고구려 토기가 부장된 고분의 조사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일부 고구려 고분군의 주변에서는 취락유적이 조사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남한지역 고구려유적의 조사현황을 살펴보고, 고구려 남진의 물적 증거인 고분과 관방유적에 대한 그간의 연구 성과를 검토한 후 향후의 연구를 전망해보았다. 남한지역에서 고구려유적이 조사되고 연구된 것은 비록 짧은 기간이었지만 상당한 연구 성과를 거둔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남한지역에서 조사된 가장 이른 시기의 고구려 유물은 파주 주월리유적에서 출토된 구형호 등으로 4세기 후엽 또는 4세기말로 편년된다. 그 다음으로는 세장방형묘실의 횡혈식석실분으로 5세기 중엽 경에 해당된다. 5세기 후엽에는 장방형 묘실의 횡혈식석실분이 축조되었으며, 아울러 몽촌토성과 대모산성, 남성골산성, 월평동유적, 은대리성, 당포성 등도 이 시기에 해당된다. 이후 6세기 전반에는 한강 북안의 아차산일원에 고구려 보루가 축조되어 551년까지 존속한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양주분지와 임진·한탄강유역의 보루들도 대체로 5세기 중반 이후에 축조된 것으로 이해되나 폐기시점에 대해서는 추가의 연구가 필요하다.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를 통해 볼 때 고구려는 4세기 후반 이후 북한강 상류와 남한강상류를 통해 충주지역으로 진출하였는데, 연천 강내리고분군과 춘천 방동리 2호분 및 충주 두정리고분군과 같은 세장방형 고분은 고구려의 충주지역 진출 및 영역화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475년 한성공함이후 고구려군은 몽촌토성에 주둔하고 진천과 청원, 대전으로 진출하였으며, 점령지에 대한 영역화를 시도했던 것으로 이해되는데, 5세기 후엽 이후의 장방형고분들은 이러한 영역화 과정에서 축조된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 고분들 인근에서 고구려의 취락유적이 속속 조사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볼 때 고구려가 남한지역에 대한 영역화를 적극적으로 시도하였으며, 일정기간 지속되었던 것으로 이해된다. It was only after the excavation of Mongchon Earthen Wall in 1988 that the artifacts and sites of Koguryo were appreciated in South Korea for the rfsit time. Thereafter, A series site surveys identified a number of fortifications at M. tAcha, and the excavation of a fortress No. 4 since 1997 has accelerated the study of Koguryo archaeology. Since then, a number of fortresses and pottery data have been additionally identified and reported in Han River Valley, Yangju Basin, Imjin River and Geum River Valleys. These new archaeological data provided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the archae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guryo sites and allowed the chronology of Koguryo pottery in South Korea. They also greatly helped to understand a series of historical events which had occurred in South Korea area from the 4th to 7th century in terms of archaeological perspective. Meanwhile, In 1981 a Koguryo-type stone chamber tomb was reported at Bangdong-ri in Chuncheon, for the first time in South Korea. Since then, a number of tombs, which are similar to the Bangdong-ri tomb in structural features, were found in South Korea. In these tombs, however, few artefacts were found which are typically found in Koguryo-type tombs. Subsequently, little progress has been made in studying this type of tombs in South Korea. It is since the second half of the 2000s that the cases, in which Koguryo pottery was found in that type of tombs, increased in number. As a result, the existence of Koguryo tombs in South Korea was confirmed. The tombs, which have a long-rectangular shaped chamber and a coffin placed directly on the fire-hardened chamber-floor without a platform for coffin, are dated to the mid 5fth century. The tombs with a rectangular-shaped chamber are dated to the late 5th century. At the same time Mongchon Earthen Wall, Namseonggol Fortress, Eundaeri Fortress and Dangposeong fortress were constructed in the late 5th century. In the early 6th century, Mt. Acha Fortresses were constructed and lasted to 551. Most of fortresses in Yangju Basin and Imjin River Valley were constructed after the middle 5th century. But it is not clear that at the time of disused. This chronology, together with historical circumstances, suggests that the tombs with a long-rectangular shaped chamber were constructed in relation to the expansion of Koguryo to central Korea in the mid 5th century, and that the tombs with a rectangular-shaped chamber were made after Hanseong had fallen in 475. Settlement or fortress sites found around the areas, where tombs are located, indicate the possibility that Koguryo tried to govern the lower area of the Han River and the upper areas of the Bukhan and Namhan Rivers, as part o tfheir territory.

      • KCI등재
      • KCI등재

        연천 무등리보루군의 가치와 활용방안

        최종택(Choi, Jongtaik),양시은(Yang, Si-Eun) 고구려발해학회 2018 고구려발해연구 Vol.62 No.-

        본 논문은 연천 무등리보루군의 역사ㆍ문화적 가치를 바탕으로 유적의 정비 및 활용 방안을 검토해본 것이다. 무등리보루군은 임진강변에 위치한 보루 중 발굴조사를 통해 그 구조와 성격에 관한 기본 자료가 확보된 유일한 유적이다. 특히 고구려 기와 건물지 즉 행정 관청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1보루와 완전한 형태의 고구려 찰갑과 더불어 고구려 제철장 및 곡물 창고가 있었던 군수기지로서의 2보루는 행정관청과 군수기지라는 고구려 변경 지역에서의 치소 및 병참 운영 체계를 연구하는데 단초를 제공해주고 있다. 또한 무등리보루군은 독특한 축성기법으로 인해 고구려 보루에 대한 축성 연구뿐만 아니라 임진강 일대의 고구려 관방 체계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하는데도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이처럼 역사·문화적 가치가 충분한 무등리보루군은 역사교육의 장으로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연천군 관내의 여러 고구려 유적과 연계하는 다양한 역사탐방루트는 물론이고, 임진·한탄강의 수려한 자연경관 및 이미 개발된 안보관광루트나 둘레길(평화누리길) 탐방과 연계하는 프로그램 개발도 필요하다. 또한 지역에서 성공적으로 정착한 전곡선사박물관과의 적극적인 활동 연계나 유적 인근의 관광시설에서의 홍보 등을 통해 유적의 자연스러운 방문을 유도함으로써 무등리보루군의 조사 성과와 역사적 가치를 알릴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이 밖에도 향후 남북관계 개선을 염두에 두고, 고구려유적을 매개로 한 남북교류 방안 등도 미리 준비해둘 필요도 있다. 이상 제시된 활용 방안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해서는 무등리보루군을 국가사적으로 지정하는 행정조치가 선행되어야할 것이며, 이후 체계적인 발굴조사와 관련 연구를 통해 유적과 유물에 대한 성격을 보다 분명히 함으로써, 그 역사적 의미를 더욱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 This paper is a consideration of the utilization plan of Mudeungri forts in Yeoncheon based on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Mudeungri forts are the important site where basic data on structure and character were obtained through excavation. It is assumed that fort no. 1 had a roof tile building that served as the administrative office and fort no. 2 was a logistical base with a grain warehouse and iron refinery. These forts provide important data for studying administrative locations and logistical systems in the Koguryo border area. And These forts are also important to study the construction techniques of the Koguryo forts. Mudeungri forts, which have sufficient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like this, need to be used as a place for histor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variety of programs like as a variety of historical routes linked to Koguryo sites in Yeoncheon as well as the beautiful natural scenery of the Imjin and Hantan rivers and the Peaceful Nuri-gil. It is also necessary to seek ways to promote the investigation results and historical values of the Mudeungri forts by increasing the opportunity to visit the site through active links with Jeongok prehistory museum or promotional activities. In order to promote the above-mentioned utilization plans, it is necessary to precede the administrative measures to designate Mudeungri forts as a national historic sit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