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 · 일본 중학교 영어 교과서의 문화 비교 연구

        최정인(Jeungin Choi) 새한영어영문학회 2015 새한영어영문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Vol.2015 No.10

        A Comparative Study of Culture on the Korean and Japanes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This paper explores cultural aspects of Korean and Japanes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based on the critical pedagogy. Specially, this study investigates cultural prejudices of the English textbooks in Korea and Japan following to the high frequency cultures, their sights and attitud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in Korea still have cultural hegemonies just as centralism of the self culture, orientalism and cultural toadyism. Also Japanes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reveal centralism of the self culture. The findings are discussed compared to both of the English textbooks in Korea and Japan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provided.

      • KCI등재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영어 총칭적 표현 인식 및 사용에 관한 연구 - 명사구를 중심으로 -

        최정인 ( Choi Jeungin )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科學硏究 Vol.44 No.-

        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영어 총칭적 명사구의 표현에 대한 서로 다른 쓰임을 어떻게 이해하고 사용하는지 영어 원어민 화자와 비교하여, 영어 총칭적 명사구의 습득 양상을 그 쓰임에 맞추어 구체적으로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는 93명의 한국인 영어 학습자와 20명의 영어 원어민이 참여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영어 능력은 TOEIC 점수에 따라 상위 그룹과 하위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총칭적 명사구의 다양한 쓰임을 정확히 논의하기 위하여 PMT(picture matching task: 그림 매칭 과제)와 FCET(forced-choice elicitation task: 5지선다형 과제)를 동시에 적용해보았다. PMT의 결과, 한국인 고급 영어 학습자의 경우 불가산 총칭 명사구에 대한 총칭성은 높게 나타난 반면 단수 총칭 명사구에 대한 총칭성은 다소 낮게 나타났으며, 한국인 초급 영어 학습자의 경우 불가산 총칭 명사구에 비해 악기, 과학기사, 기술, 인간그룹, 복수 총칭, 단수 총칭 명사구 모두 낮게 나타났다. 또한 FCET의 결과, 영어 능력이 낮은 한국인 영어 학습자일수록 명사구의 형태에 따라 영어 총칭적 표현의 사용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총칭적 표현의 인식 및 사용에 있어 관사 사용의 중간 언어 특징을 구체적으로 보여줄 뿐 아니라 향후 올바른 총칭 관사 교육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준다. This study examined the generic expressions of English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by examining whether Korean English learners can distinguish the differences in generic expressions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of noun phrase. Ninety three Korean students and twenty native English speak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nglish proficiency evaluation of Korean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was divided into advanced and beginner learners by TOEIC scores. We employed two different tasks, a picture matching task(PMT) and a forced-choice elicitation task(FCET). PMT and FCET were implemented for both native English speakers and Korean English learners. As a result of examining PMT, it was confirmed that Korean English learners had lower awareness of English generic expressions than native English speakers. Moreover, the beginners with low English ability showed more difference than the advanced learners with high English ability. In addition, FCET showed that the use of English generic expressions differed somewhat depending on the type of noun phrases. This study showed the perception and use of English generic expressions by Korean English learners according to the type of noun phrases.

      • 시간 제약 유무에 따른 등급 함축 문장의 해석 차이

        최정인 ( Jeungin Choi ) 현대영미어문학회 2023 현대영미어문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23 No.-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time constraints on the evaluation of scalar implicatures for Korean English learners. Seventy-two Korean students and twelve native English speak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English proficiency of the Korean learners was evaluated through TOEIC scores and they were divided into advanced and beginner learners. A sentence evaluation task (SET) was employed and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e with a time constraint and one without, two weeks apar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Korean EFL learners and native English speakers in their interpretation of scalar implicature sentences in the untimed task. However, in the timed task, Korean English learners were found to be less able to draw discourse inferences from scalar implicature sentences than native English speakers. Furthermore, beginner learners with low English ability showed more difficulty than advanced learners with high English ability. By examining Korean English learners' ability to interpret scalar implicatures with and without time constraints, this study not only provides insight into previously unexplored time constraint differences in L2 learners' interpretation, but also explores the effect of time constraints as an experimental tool in psycholinguistics.

      • KCI등재SCOPUS
      • KCI등재SCOP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