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日·韓學生の敬語使用についての一考察 : 性別·年齡別を中心に 성별·연령별을 중심으로

        崔貞善 대구산업정보대학 1998 논문집 Vol.12 No.1

        敬語란 廣義的으로는 待遇表現을 가리키며, 協議的으로는 尊敬語를 가리키기도 하는데 일반적으로 待遇表現 가운데 上向關係에 바탕을 두는 특정표현 형식을 말한다. 그래서, 보통 敬意를 표현하는 방법에 따라서 尊敬語, 謙讓語, 丁寧語의 세가지로 나뉘어지고 있다. 한국어의 경어표현은 문화적 또는 사회적인 면에서 언어적으로 나타나는데, 문법현상이면서 윤리적 규범의 성격을 지니는 점이 경어의 現象이다. 이러한 한국어 경어의 체계는 문법적인 요인과 문화적인 差異, 사회환경 또는 화자의 심리적 태도 등에서 조화되는 대인관계의 본질과 실제라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사회적 환경에 따라서 그때그때 경어사용의 관계도 다르게 표현되는 경우가 많았다. 본 논고에서는 경어를 사용할 때의 기준으로서 성별·연령별의 경어사용에 대해 살펴 보았다. 주로 성별을 중심으로 분류하여 조사대상자는 남·여학생 순으로 했으며, 연령은 20대를 토대로 했다. 그래서, 이들의 조사를 살펴보았는데, 양국 학생들 모두가 남학생 보다 여학생 쪽이 경어사용이 높게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양국어의 경어사용은 계속 변화되고 있고 話者와 聽者 등의 話題의 인물에 대해 양국어의 경어가 다른 점도 나타나고 있는데, 이러한 점에 대해서 앞으로의 좋은 연구과제가 되리라고 여겨진다.

      • 日本語の複合動詞に關する考察 : 「~合う」と「~合わせる」の對照 「~合う」와「~合わせる」의 對照

        崔貞善 대구산업정보대학 1996 논문집 Vol.10 No.1

        本稿는 日本語를 外國語로 學習하고자 할 때 흔히 겪는 어려움의 하나인 日本語 複合動詞의 習得에 있어서의 效果的인 學習을 위한 方案의 하나로써 많이 使用되고 있는 「~合う」와 「~合わせる」의 意味와 用法을 對照·分析하여 意味와 用法의 差異와 올바른 使用法을 提示함으로써 日本語 學習의 效率的인 方案提示를 위한 硏究이다. 日本語 複合動詞의 수많은 形態中에서 많이 使用되면서 學習者에게 混沌을 초래하는 後項이 「~合う」와「~合わせる」로 構成되어 있는 複合動詞의 形態를 辭典과 여러 가지 文學作品 그리고 敎科書 등에서 쓰이고 있는 意味와 用法을 調査ㆍ分析하여 共通点과 差異点에 관하여 對照·分析 記述하기로 한다. 調査ㆍ分析에 의하면 「∼合う」의 意味는 自動詞로서는 「함께 ∼하다」「하나가 되다」,「서로 ∼하다」로 나타나고, 他動詞로서는 「합하여 하나가 되다」, 「중복되다」와 같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合わせる」의 意味는, 自動詞로서 쓰일 때는 「마침 그 장소에 있다」, 「서로 이야기 하다」와 같은 要素를 띠고, 他動詞로서는 「잘 맞도록 하다」, 「알고있는 것과 비교하여 생각하다」, 「끌어당겨서 합하다」와 같은 것으로 使用됨을 알수 있었다.

      • 『비둘기의 날개』 : 삶과 예술의 문제와 덴셔의 아이러니 the Question of Art and Life and Densher's Irony

        최정선 한국 헨리제임스 학회 2001 헨리 제임스 연구 Vol.- No.6

        In Henry James's The Wings of the Dove,the later part of the work is mainly about Densher's consciousness. Critics have pointed out that Densher was saved by Milly through the education of his conscience.This criticism underlines Densher's inner drama of soul in its struggle in the light of morality. This article tries to shed light on Densher's irony.His irony is that he cannot recognize Milly's dynamic transformation in the question of life and falls in love only with Milly's memory. For this aim, this article first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Milly and Kate. Milly is related to henry james's biographical aspect and his artistic self. She is like an daydreaming artist, full of imagination. Kate has the talent for life and perceives that society is based on manipulation and exploitation. Then it explores Densher's growth as an artist. He becomes an artist,enlarging his imagination. He becomes like Milly. However, it shows at last that Densher's choosing Milly between Kate and her is due ot his not knowing Milly's transformation which makes her become like Kate,a manipulator. This leads to his misunderstanding the relation between art and life. Here is Densher's irony and this demonstrates james's sense of complexity and ambiguities of life

      • 日·韓兩國學生の敬語實態に對する調査分析 : 性別·學年別を中心に 성별·학년별을 중심으로

        최정선 대구산업정보대학 2000 논문집 Vol.14 No.1

        敬語를 배운다고 하는 것은 知識으로써 단순히 배우는 것만이 아니라, 日常 生活 가운데 實踐하면서 몸에 익혀가는 性質을 갖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敬語 使用이라는 「行動」이 생기는 것은 사람의「意識」이 行動에 나타나 우리들 내부에 存在하는 것이다. 敬語使用에 대한 調査 方法은 여러 가지가 있다. 文法的인 側面, 文化的인 差異, 말하는 사람의 心理的態度, 上下關係, 親疎關係등 여러면 가운데 本槁에서는 일본어에서 가장 많이 基本的으로 使用되는 性別을 中心으로 하여, 男·女學生順으로 하고, 現在大學生들의 學年別, 男女別 敬語行動에 관해 韓·日比較考察하였다. 그래서, 이들의 調査를 살펴보았는데, 日本人 學生가운에 친한 사람에게 말할 때 男學生은 敬語의 例도 많이 나타났는데 비해, 女學生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 면을 볼 수 있었다. 過去의 敬語調査 가운데는 보통 女學生쪽이 男學生보다 敬語 使用率이 높게 나타났는데에 비하면, 現在는 다소의 差異点도 있는 것을 알수 있었다. 韓國人學生가운데 男學生과 女學生의 比較를 보면, 全體的인 實態調査에서 女學生 쪽이 敬語使用이 높게 나타났다. 大石氏의 全體的인 文章과는 다르지만, 敬語를 使用하는 語彙는 같은 語彙로써 韓國人 學生가운데서 男學生은 29.9%이고, 女學生은 50.7%로 나왔으며, 日本人 學生가운데서는 男學生은 36.8%이고, 女學生은 35.6%로 나타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러한 兩國語의 使用은 時代의 變化와 더불어 話者와 聽者간의 對話도 정중스럽고 부드러운 면이 강한 言語의 使用쪽이 넓어져 간다는 것을 認識할 수 있다고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런 觀点에서 생각해 볼 때 敬語에 대한 杜會全般的인 分野의 硏究도 期待가 되리라고 여겨진다.

      • 現代日本語の敬語の構造分析

        崔貞善 대구산업정보대학 1994 논문집 Vol.8 No.-

        本稿는 세계 다른 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一般的인 現像이 아닌 日本語에서 나타나는 體系的인 敬語形式과 使用法을 調査ㆍ分析하여 表現方式과 使用法의 構造的인 特徵과 特性을 究明하여 日本語를 硏究하려고 하는 學習者들에게 올바른 言語學的 情報를 提供하여 정확한 敬語法에 관한 學習이 효율적이고 능률적으로 성취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올바르고 예의 바른 言語를 구사할 수 있는 能力을 培養함에 그 目的이 있다. 또한 敬語는 體系化되어 있기 때문에 日本語의 敬語體系가 기본적으로 어떠한 構造를 이루고 있는가를 調査ㆍ分析ㆍ記述 함으로써 일본어의 特質을 밝힌다. 日本語는 話者, 聽者, 話題의 人物인 對象에게 敬意를 나타내는 점에서 敬語表現의 要素가 기능을 다한다는 觀點에서 「尊敬語」「謙讓語」「丁寧語」의 세가지 要素를 인출할 수 있다. 日本의 敬語法을 構造言語學的 見地에서 現代敬語法의 기본체계와 表現形式을 硏究對象으로 하여 日本語敬語法의 기본적 特質을 調査分析 하는데에 초점을 두고 있다. 日本語敬語法의 기본적인 特質을 調査ㆍ分析하고 記述하는 것을 주로 構造言語學的 方法論에 입각한다. 이러한 分析으로 敬語法에 있어서 尊敬語는 接詞에 의한 表現形式과 派生에 의한 表現形式이 발달되어 있고 謙讓語는 派生에 의한 表現形式이 發達되어 있으며, 丁寧語는 助動詞에 의한 表現形式이 발달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산지의 사면유형을 고려한 산지전용허가기준에 관한 연구

        최정선,곽두안,권순덕,백승아 한국지리정보학회 2018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1 No.4

        우리나라 국토의 약 64%를 구성하고 있는 산지는「산지관리법」에 의거하여 산지전용허가기준에 따라 전용이 허가된다. 현행 산지관리법에서는 산지전용허가를 위한 지형기준으로서 평균경사도(25°이하)와 표고(5부 능선 미만) 기준을 정의하여 재해로부터 취약한 필지의 전용을 규제하고 있다. 그러나 경사도는 전용하고자 하는 필지 내의 평균경사로 정의하고 있기 때문에 지형의요철(凹凸)과 같은 사면형태를 고려할 수 없어 실제적인 재해위험성을 판단하기가 곤란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지형분류기법(Catena)의 적용가능성을 분석하고, 산지전용허가기준의 개선 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철형 및 직선 사면과 같이 물질의 이동이 활발한 사면유형을 재해위험성을 지닌‘위험사면’으로 선정하였다. 전라북도 남원시를 대상으로 실제 산사태발생지의 지형을 분석한 결과, 상기 유형이 약 57%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나, 선정한‘위험사면’ 의 실제 산사태 발생 위험성을 확인하였다. 현행 산지전용허가기준을 적용했을 때 산지전용이 가능한 필지의 사면유형 분석과 실제 남원시에서 산지전용이 허가된 필지에 대한 분석에서도‘위험사면’의 비율이 모두 50% 이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사면유형과 관련된 산지전용허가기준을 마련함으로써‘위험사면’에서의 산지개발 및 이용을 방지해야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산지전용허가가 가능한 필지 내‘위험사면’의 비율을 제안함으로써 산지전용허가기준의 개선을위한 사면유형 기준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Mountainous areas are 64% in Korea and are allowed to be used by the permission standards of the「Mountainous Districts Management Act」. In the act, slope and elevation criteria are defined to regulate the use of vulnerable land parcels to disaster. However, the standards cannot represent topographical variation in a land parcel such as terrain relief. Therefore, the applicability of slope type standard as a permission standard was tested using Catena in this study. Based on the theoretical grounds, two slope types were analyzed as‘risky slope’with disaster risk. The slope types of landslides in Namwon City were analyzed that‘risky slope’types were distributed about 57%. This study analyzed the forestland parcels that could be used when applying the current permission standards and the parcels that were already used in Namwon City. The ratio of the‘risky slope’in the parcels was more than 50%.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mountain development in‘risky slope’by establishing permission standard related to slope types.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ed the ratio of ‘risky slope’in the parcel for the permission standard for forestland use conver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