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충청지역 주요 수종의 수고-흉고직경 생장모델에 관한 연구

        서연옥 ( Yeon Ok Seo ),이영진 ( Young Jin Lee ),노대균 ( Dai Kyun Rho ),김성호 ( Sung Ho Kim ),최정기 ( Jung Kee Cho ),이우균 ( Woo Kyun Lee ) 한국임학회 201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0 No.1

        본 연구는 5차 국가산림자원조사(National Forest Inventory, NFI) 표본점 자료를 이용하여 충청도 지역에 분포하는 주요 수종에 대한 수고-흉고직경 생장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충청도 지역 고정표본지 내에서 수고와 흉고직경이 측정된 주요 수종의 총 임목 본수는 2,681본이었으며, 무작위로 생장모델의 개발을 위해 90% 자료와 모델타당성 검정을 위해 10% 자료로 나누어서 분석하였고, 본 연구에서 제시된 최종모형의 추정된 계수는 100% 자료를 이용하였다. 8개 주요 수종에 대한 생장모델들의 적합성 검정은 결정계수(R2), 추정치의 오차인 평균제곱근오차(RMSE), 평균편의(MD), 절대평균편의(AMD)와 직경급별로 평균편의(MD)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6개 주요 생장식의 결정계수는 모두 94% 이상의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으며, 특히 C-R 생장모델과 Weibull 생장모델은 다른 모델에 비해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직경급 30 cm 이하에서는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굴참나무, 신갈나무가 상대적으로 가장 작은 평균편의를 나타낸 반면, 직경급 30 cm 이상에서는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졸참나무가 큰 평균편의를 나타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된 6개 주요 생장식에서 추정한 수고를 임목자원평가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간재적을 분석한 결과, 직경급 30 cm까지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 30 cm 이상인 대경목의 경우 추정된 간재적은 큰 차이를 보이므로, 생장모델 선정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Six commonly used non-linear growth functions were fitted to individual tree height-dbh data of eight major tree species measured by the 5th National Forest Inventory in Chungcheong province. A total of 2,681 trees were collected from permanent sample plots across Chungcheong province. The available data for each species were randomly splitted into two sets: the majority (90%) was used to estimate model parameters and the remaining data (10%) were reserved to validate the models. The performance of the models was compared and evaluated by R2, RMSE, mean difference (MD), absolute mean difference (AMD) and mean difference(MD) for diameter classes. The combined data (100%) were used for final model fitt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se six sigmoidal models were able to capture the height-diameter relationships and fit the data equally well, but produced different asymptote estimates. Sigmoidal growth models such as Chapman-Richards, Weibull functions provided the most satisfactory height predictions. The effect of model performance on stem volume estimation was also investigated. Tree volumes of different species were computed by the Forest Resources Evaluation and Prediction Program using observed range of diameter and the predicted tree total height from the six models. For trees with diameter less than 30 cm, the six height-dbh models produced very similar results for all species, while more differentiation among the models was observed for large-sized trees.

      • KCI등재

        강원대학교 구내림 이용행태에 대한 설문분석

        최정기,구소영,조선아,원종현 江原大學校 森林科學硏究所 2003 Journal of Forest Science Vol.19 No.-

        본 연구는 강원대학교 학교 숲 이용자들의 행태를 분석하기 위하여 학생, 교수, 행정직원, 외부 방문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교 구내림 필요성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 학생이용자는 97%, 교수 이용자는 100%, 행정직원 91%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학교구성원의 80%이상이 구내림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구내림 장소로는 학생과 행정직원은 연적지, 교수는 예술대 뒷산으로 조사되었으며, 구내림 이용동기에 대한 질문에는 학교구성원 모두 산책을 위해서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구내림 만족도에 대한 설문에서는 학교 구성원 모두 보통수준으로 답하였으며, 체육시설에 대해서는 불만족스럽다라고 응답하였다. 구내림 개선사항으로는 구내림 보존 및 정비, 체육시설확대, 조깅코스개발, 약수 및 연적지 물 관리 등에 대한 의견이 도출되었다. 구내림의 외부 방문자들에 대한 설문에서는 대부분 50세 이상인 퇴직자와 전업주부가 학교 숲을 찾고 있으며, 방문자들은 주로 오전시간에 80%가 찾아오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혼자 방문하는 경우가 70%를 차지하였다. 방문목적은 건강을 위한 산책 및 약수물 이용을 위하여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이 이용하는 구내림 장소는 연적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내림에 대한 만족도는 대부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내림 개선에 대한 사항에는 체육시설 확대가 가장 많았으며 구내림 훼손방지, 산책로 및 벤치시설증대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behavioral pattern of student faculty, administration staff, and visitor by questionnaire about campus forest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In the question of the necessity of the campus forest, 97% of students, 100% of faculty and 91% of administration staff agreed with the necessity of the campus forest and 80% of university members use the campus forest. The most frequent site of the campus forest was the Yeon-Juk pond for students and administration staff and was the site behind the art building for faculty. The main reason for use of the campus forest was mostly a walk. About the questions dealt with one's satisfaction regarding the campus forest, most members evaluated the average level, and the facilities of physical training were evaluated if the unsatisfied level. The improvements for the campus forest were suggested about conservation of the campus forest, increasing of physical training facilities and the jogging courses, and managing the mineral water and pond. The visitors using the campus forests were mostly retied people or housewives elder than 50 years old. 80% of visitors visits mostly in the morning and 70% of the visitors comes to the campus forest by oneself. The main reasons for use of the campus forest were a walk and dipping the mineral water. The most frequent location was the Yeon-Juk pond for the visitors. Most visitors were strongly satisfied with using of the campus forest. In the questionnaire about improvements of the campus forest, the visitors suggested the increasing of physical training facilities, conservation of the campus forest, and establishing more walking roads and bea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