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뉴 미디어 시대의 U-City (Ubiquitous city)디자인 연구-상암동 Digital media city 계획을 중심으로-

        최재희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5 한국디자인포럼 Vol.11 No.-

        정보통신과 디지털 기술의 변화가 진행되면서 물리적 공간과 디지털 공간이 결합된 새로운 공간개념으로 U-City(Ubiquitous City)가 주목받고 있다. U-City는 `모든곳에 동시에 존재한다.`라는 라틴어의 의미로 컴퓨터 칩이 내재되어 있는 사물이 스스로 상황을 인지하여 사람에게 가장 적합한 서비스를 자율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인간 중심의 행복함,윤택함,안전함과 편안한 생활을 준비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이다. 우리의 삶을 둘러싸고 있는 물리공간 속에 전자기술을 이식시켜, 시공간의 제약을 없애고 24시간 깨어있는 도시의 창조를 가능케 하는것이다. 미국을 비롯해 일본, 유럽등 세계각국은 U-City야말로 새로운 정보지식국가 패러다임이란 전제 아래 정부, 기업, 연구소가 U-City에 대비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전세계적 우위의 인터넷망 및 휴대폰 보급률등 유비쿼터스구현에 유리한 위치에 있다. 특히 상암동 디지털 시티(상암DMC)의 경우 2010년까지 조성되는 U-City로 멀티미디어, 소프트웨어 분야의 국내외 첨단 디지털 미디어 기업과 연구소가 집적되는 미래형 도시로 건설된다. DMC는 IT기술의 접목뿐 아니라 생태존중의 미래형 주거단지로서 다양한 형태의 주거형식을 도입하고 또한 녹지 네트워크 구축과 생물서식공간 확보로 종 다양성을 증진하는 한편 친환경 인프라 조성 및 교통처리 시스템을 도입한다. 이러한 예를 통해 의 개념과 특성 시범사례들을 살펴봄으로써 미래의 를 예측해 보고 이러한 환경변화에 맞춰 바뀌어지는 디자인 방향과 새로운 디자인경향에 대해 알아본다. With the development of IT and digital technologies, Ubiquitous City (U-City) is drawing people`s attention as a new concept of space that combines physical space and digital space. `Ubiquitous` is a Latin word meaning `Exist everywhere all the time.` Thus U-City means a system that prepares human centered environment for people`s happiness, richness and safety as computer chips embedded in the system recognize situations and provide people with optimized services autonomously. By implanting electronic craft into the physical space surrounding people`s life, the system removes the limits of time and space and creates a city that stays awaken 24 hours a day. Many countries including the U.S., Japan and European nations are preparing the age of U-City through cooperation among the government, enterprises and research institutes, assuming that U-City is the new paradigm of the information-knowledge state. Korea is in an advantageous position in implementing ubiquity based on its well-established Internet network and high popularity of mobile phones. In particular, Sangam Digital Media City (Sangam DMC), which is constructed as U-City until 2010, is a future city where domestic and foreign high-tech digital media companies and research institutes in multimedia and software will be amassed together. DMC is also a future-style residential complex that emphasizes not only IT technologies but also ecological environment, accommodating various types of residences, a green-zone network and habitats of animals and plants (Biotop) for biodiversity. In addition, the city introduces environment-friendly infrastructure and traffic control system. Based on the case,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U-City and forecasted the future of U-City. In addition, it investigated the trend of design changing in response to such an environmental transition.

      • KCI등재

        무용수업 참여 중학생이 지각하는 지도자 신뢰감과 무용몰입의 관계

        최재희 한국무용과학회 2013 한국무용과학회지 Vol.30 No.1

        본 연구는 무용수업 참여 중학생이 지각하는 지도자 신뢰감과 무용몰입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무용수업을 실시하고 있는 전북 소재 J중학교, S중학교, K중학교 1, 2학년들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d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였다. 총 349부를 배포・수집하여 신뢰성이 없거나 불성실한 자료 26부를 제외한 323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 방법은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인구통계학적인 특성에 따라 지도자 신뢰감의 하위요인 능력과 무용몰입의 하위요인 행위적, 인지적 몰입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지도자 신뢰감의 하위요인 성실성은 무용몰입의 하위요인 행위적, 인지적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rust of leader and dance commitment in middle school students. To achieve this purpos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ampled 323 dance participant from Jeonbuk.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self-administrated questionnaires which were used by preceding study. The factor analysis method was used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gend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rust of leader and dance commitment. to major, Jazz Dance particpants had higher trust of leader(integrity) on dance commitment(behavior commitment, Cognitive commitment). Second, trust of leader(integrity) had positive effects on dance commitment(Cognitive commitment). Third, trust of leader(integrity) had positive effects on dance commitment(behavior commitment).

      • KCI등재

        전문무용인이 인지하는 즉흥무용의 교육적 효과탐색

        최재희,송지환,김대진 한국무용학회 2011 한국무용학회지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즉흥무용의 교육적 효과를 탐색하기 위하여 질적 방법을 통해 전문무용인들이 생각하는 풍부한 경험적 자료를 이끌어 내고 양적인 방법으로 정보의 개념적 조직화와 구조화를 통해 체계적으로 해석하는 개념 도 연구법을 적용하여 전문무용단체 C무용단 (J시에 소재)의 정단원 5명을 대상으로 ‘즉흥무용을 통하여 습득되 어진 교육적 효과는 무엇인가’에 대한 브레인스토밍으로 아이디어를 수집하고 분류하여 유형화 시켰다. 그 결과 “창의성”, “집중력”, “사회성”, “자기발견”, “시・공간의 인지”, “순발력”의 6개의 군집이 형성되었다. 각 군집간 의 중요성에 대한 우선순위는 ‘창의력(M=6.15)’, ‘집중력(M=6.08)‘, ’사회성(M=6.07)’, ‘자기발견(M=5.90)’, ‘시·공간 의 인지(M=5.80)’, ‘순발력(M=5.69)’ 순으로 나타났다. 즉흥무용의 경험적 수업형태는 상상력 개발과 창의력을 향 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 스스로에게 내재된 자유로운 잠재의식을 일깨우며 집중력 및 시・공간의 인지 를 통하여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요구되는 상호관계까지도 경험되도록 한다. In an attempt to search for educational factors of improvisation dance, efforts were made in this study to derive rich empirical data from experts by employing qualitative methods on the one hand, and to apply concept mapping by which information is systematically interpreted through conceptual systematization and structuralization by using quantitative methods on the other hand. For this objective, brainstorming was used to collect, classify and typify the ideas of 5 dance experts (members of C Dance Troupe in J City) about 'what are the educational effects acquired from improvisation dance?' From the brainstorming, 6 clusters could be formed: "creativeness", "concentration", "sociality", "self-discovery", "awareness of time and space" and "instantaneous reactionary force". 'Creativeness' (M=6.15) was found to have the foremost importance among the clusters, followed by 'concentration' (M=6.08), 'sociality' (M=6.07), 'self-discovery' (M=5.90)’, 'awareness of time and space' (M=5.80) and 'instantaneous reactionary force' (M=5.69) in order. The improvisation dance class given in an empirical way could not only promote imaginative power and improve creativeness but also awaken free subconsciousness dormant within a person as well as help him or her experience mutual relationship as required in connection with others through concentration and awareness of time and spac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UAV를 활용한 정밀지형기반의 낙석위험성 분석

        최재희,김남균,최봉진,전병희 한국방재학회 2020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20 No.4

        본 연구에서는 도로에 인접한 절개지 사면에서 RocFall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낙석의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연구지역은 강원도삼척시 소재 대학의 통학로로 이용되는 도로에 인접한 사면으로, 면적은 774 ㎡, 평균 경사는 약 43°인 급경사로 사면하부에는피암터널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역을 대상으로 무인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 UAV)을 이용하여 3D 포인트 클라우드를기반으로 3차원 지형자료를 생성하였다. UAV 이용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정사영상과 고해상도 수치표고모델(Digital Surface Model, DSM)을 생산하고, 이 자료들은 낙석지역의 위험성 평가에 이용되었다. 기존의 수치지도를 이용하여 생성된 Digital Elevation Model (DEM)을 이용한 지형추출에 비해 UAV를 이용한 지형추출은 낙석의 도약높이, 운동에너지 해석에서 보다현장의 실제 상황에 가까운 결과를 도출하는데 효과적이었다. 산지의 낙석위험성 평가에 UAV를 활용한 3차원 지형자료구축의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risk of rockfall on incision slopes adjacent to roads was evaluated using the RocFall program. The study area was a slope adjacent to the road leading to a university campus in Samcheok-si, Gangwon-do, with an area of 774 m2 and an average slope of approximately 43°. A rock shed was installed at the lower zone of the slope. A 3D model of the terrain was generated based on point cloud data gathered using a UAV (unmanned aerial vehicle). Fast and accurate orthoimages were captured by UAV and high-resolution digital surface models (DSMs) were produced; these data were used to assess the risk of rockfall. Compared to terrain extraction using a digital elevation model (DEM) generated from an existing digital map, terrain extraction using a UAV was more effective in deriving results close to the actual situation in the field, especially for the analysis of rockfall jump height and kinetic energy. The necessity of constructing 3D topographic data using UAVs to predict rockfall disasters in mountainous regions was confirmed.

      • KCI등재
      • KCI등재

        국내의 기록물 평가론 연구 동향 - 회고와 전망 -

        최재희 한국기록관리학회 2011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1 No.1

        This paper surveyed the research trends in archival appraisal science in Korea. All 33 articles from 4 relevant academic journals articles were analysed on the basis of quantitative measurement and thematic sorting. The number of the articles by the record managers or archivists working at the public bodies has especially decreased for some time past. A distinguishing feature was a decline in interest in the present appraisal system and methodology. Correspondence between practice and academic theory be required for the future development in archival appraisal. 이 글은 국내 기록관리 학술논집에 발표된 논문을 정량적, 내용별 분석을 통해 기록물 평가론 연구동향을 파악하려 했다. 정량적 분석에서는 논문 게재 시기와 연구자 정보가 주요한 분석도구였으며, 내용적 분석은 해외 이론에 대한 소개와 현실 적용, 기록물 보유일정표에 해당하는 기록물분류기준표, 기록관에서의 재평가, 민간기록물 평가의 4개 주제로 나누어 진행했다. 전체 33개 논문을 분석한 결과, 평가를 주제로 한 논문의 수가 줄어들고 있으며 기록관리 실무를 담당하는 연구직의 참여가 크게 줄어들었고, 내용적으로도 현재 기록물 평가에 대한 문제점 지적이나 대안 제시와 같은 논의가 감소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이론과 실무의 조응을 통해 평가 영역의 활성화와 다양한 기반 확대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