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볼륨 데이타의 효율적인 영상 기반 렌더링

        최재정(Jae-jeong Choi),신영길(Yeong Gil Shin) 한국정보과학회 1999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26 No.3

        이 논문에서는 볼륨 데이타의 효율적인 영상 기반 렌더링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중간 영상 공간은 밀림 객체 공간에서 중간 영상이 위치하는 2차원 공간이다. 최종 영상 공간 대신에 중간 영상 공간을 이용함으로써 매핑이 좀더 간단해지며 점내점 매핑에서 기인하는 구멍을 없앨 수 있다. 중간 영상 공간 상에서의 매핑은 근원 화소의 깊이 값으로 만들어진 테이블을 가지고 쉽게 이루어진다. 또한 이 논문에서는 효율적인 객체의 표현을 위하여 델타트리에 기반을 둔 새로운 사진 트리를 제안한다. 트리 구조를 사용할 경우 인접한 영상들에 존재하는 중복 정보를 제거함으로써 압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안된 트리는 델타트리에 비해서 더 좋은 압축 성능을 보이며 빠르게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실험한 결과 256×256×256의 볼륨에서 비교적 좋은 질의 256×256의 영상을 1초에 25-40개 정도 만들어 낼 수 있다. This paper presents an efficient image-based rendering algorithm of volume data. We define an intermediate image space as a 2D space on which an intermediate image is located in sheared object space. Using intermediate image space instead of final image space, mapping becomes more efficient and holes coming from the point-to-point mapping can be removed. Mapping in intermediate image space is easily performed by looking up the table with the depth value of a source pixel. We also propose a new quad-tree that is based on delta-tree to efficiently represent volume. We can achieve the compression effect by eliminating the redundant information between adjacent images. The proposed tree shows good performance in terms of the compression ratio and rendering speed compared with the delta-tre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algorithm can generate 25-40 images per second without noticeable image degradation in the case of making 256×256 images with a 256×256×256 voxel data set.

      • 뇌정위 수술계획을 위한 다원 3차원 영상가시화 시스템의 개발

        최재정(Jae-jeong Choi),김혁(Jin Ge),신영길(Yeong Gil Shin)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Ⅱ

        뇌정위 수술(Stereotactic Surgery)을 컴퓨터 단층영상과 자기공명 영상 같은 3차원 영상을 이용하여 뇌병변의 위치를 입체적으로 정확히 파악하여 정장 뇌에 대한 손상을 최소화하며 병변을 수술하는 기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수술 받을 환자의 컴퓨터 단층영상과 자기공명 영상 등 다양한 종류의 3차원 볼륨 데이터를 전 처리한 다음 동일한 3차원 공간 내에서 정렬시켜 선택전 또는 동시적으로 3차원 영상을 가시화 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3차원 영상에서 뇌정위 수술의 삽입점과 목표점을 지정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하며 수술 경로에 따른 가상 수술의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수술 경로의 안전성을 검증할 수 있게 하였다.

      • 지도 자동 입력을 위한 교차로와 도로 정보의 추출

        김홍근(Hong-Keun Kim),최재정(Jae-Jeong Choi),신영길(Yeong-Gil Shin) 한국정보과학회 199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2A

        본 논문은 지도를 읽은 화상에서 지리 정보의 자동 입력을 위해서 교차로와 도로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자동 추출은 사람이 수동적으로 행할 때 드는 비용과 시간을 최소화하면서, 오류를 줄일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보였다. 본 논문은 지도를 입력으로 받아 최대값 필터링과 임계화를 통해 잡영을 제거하고, 다시 세선화를 이용하여 선 요소를 추출한 후, 교차로와 도로 정보를 추출한다. 아울러, 잡영 제거 단계의 불완전성으로 인해 발생한 잘못된 도로 세그먼트와 세선화 결과 발생하는 교차로와 도로 정보의 위치 오류를 효과적으로 보정하였다. 이러한 지리 정보 자동 입력 시스템은 여러 지리 정보 응용 시스템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 조기 위암에서 CT Gastrography를 이용한 위점막 표면 거리 측정

        최향희,유완식,염헌규,이재혁,최재정,김희수,정호영,Choi, Hyang-Hee,Yu, Wan-Sik,Ryeom, Hun-Kyu,Lee, Jae-Hyuk,Choi, Jae-Jeong,Kim, Hee-Su,Cleary, Kevin,Mun, Seong-Ki,Chung, Ho-Young 대한위암학회 2006 대한위암학회지 Vol.6 No.3

        목적: 위암의 조기발견이 갈수록 많아져서 근래에는 수술 환자에서 조기위암의 비율이 50%를 넘고 있다. 그런데 조기위암은 수술 중 촉각이나 시각에 의해 인지되지 않는 경우가 드물지 않게 있으며 수술 전 위 내시경조차도 병변의 위치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여 술 중에 절제범위를 결정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저자들은 이 연구를 통하여 1) CT gastrography를 이용하여 해부학적 경계지점에서부터 조기 위암 병변까지의 생체내 실제의 표면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2) 개발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측정된 거리와 술 후 병리 표본에 의해 측정된 거리를 비교하여 수술에서의 유용성을 알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5년 9월까지 경북대학교 병원에서 술 전 복부 3차원 CT gastrography를 촬영하고 위 절제술을 시행한 60명의 조기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은 남자 45명, 여자 15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57.8세였다. 수술 전 컴퓨터 단층촬영은 5 Fr 비위장관을 통해 실내 공기를 흡입시킨 후 시행되었고 이 영상은 절편 두께 0.625 mm의 thin section과 kVp:120, mAs:200의 low dose radiation의 Protocol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표면거리 측정 소프트웨어를 Rapidia 2.8 CT 3차원 재구성 프로그램과 연동하여 3차원 볼륨 렌더링 및 조기 위암 병변에서 유문, 또는 분문까지의 표면 거리를 측정하였고, 술 후 병리 표본에 의해 측정된 거리와 개발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술 전 생체 내에서 측정된 거리 사이의 관계를 평가하였다. 결과: 병소와 유문, 또는 분문 사이의 거리에 대한 병리 표본과 CT gastrography로부터 측정된 거리간의 차이는 $5.04{\pm}2.97\;mm(range,\;0{\sim}11\;mm)$였으며 CT gastrography에 기초한 거리측정은 병리표본에 비하여 18명의 환자에서는 더 길었고 3명의 환자에서는 더 짧았다. CT gastrography로 측정된 술 전 생체 내 표면거리와 술 후 병리 표본에서 측정된 거리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0.995, P<0.01). 결론: 이러한 결과들은 해부학적 경계지점으로부터 조기위암 병변까지의 표면 거리가 CT gastrography에 의해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이 기법은 수술적 절제의 적절한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조기 위암의 술 전 위치 결정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Purpose: Recently, the incidence of early gastric cancer (EGC) patients is rapidly increased in Korea. However, they're often not perceptible by surgical palpation or inspec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1) to develope a software that can locate the tumor and measure the mucosal distance from an anatomic landmark to the tumor using CT gastrography and 2) to compare the distance measured by the developed software with the distance measured by the pathologic finding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4 and September 2005, sixty patients (male=45, female=15, mean 57.8 years old) estimated for EGC with preoperative CT scans and undergone gastrectomies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enrolled in this study. Preoperative CT scans were performed after insufflations of room air via 5 Fr NG tube. The scans included the following parameters: (slice thickness/reconstruction interval: 0.625 mm, kVp: 120, mAs: 200). 3D volume rendering and measurement of the surface distance from the pylorus to the EGC were performed using the developed software. Results: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the lesion to pylorus distances measured from pathologic specimens and CT gastrography was $5.3{\pm}2.9\;mm(range,\;0{\sim}23\;mm)$. The lesion to pylorus distance measured from CT gastrography was well correlated with that measured from the pathologic specimens (r=0.9843, P<0.001).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urface distance from an anatomic landmark to the EGC can be measured accurately by CT gastrography. This technique could be used for preoperative localization of early gastric carcinomas to determine the optimal extent of surgical resection.

      • KCI등재
      • 반려견 우울증 완화를 위한 자동 사료 급식기 관리 메커니즘

        조민동(Cho min dong),윤주현(Yoon Ju Hyun),강희준(Kang hee jun),이석현(Lee Seokhyun),정호균(Jung Ho Kyun),강유진(Kang Yu Jin),오승재(Oh Seung Jae),김연수(Kim Yeon Su),서정현(Seo Jeong Hyun),황세현(Hwang Se Hyun),최재정(Choi Jae Jeong) 한국정보기술학회 2022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2 No.6

        애견인과 1인 가구의 증가로 인해, 집에 홀로 있는 반려견이 늘어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 급성장한 통합형 펫테크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사료 자동 급식기에 스마트 공놀이 기능과 반려견 짖음 방지인 반려견 돌보미 기능을 추가하여 반려견이 홀로 있을 때 스스로 기기를 사용하여 공을 가지고 놀게 하거나 주인의 음성을 통해 감정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기능들로 우울증을 위험을 방지하고, 이 과정에서 데이터를 기록하여 건강을 점검할 수 있도록 제안한다. Increasing in dog owners and one-person households makes more dogs alone at home.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suggests an integrated pet-tech system. Adding smart ball game device and dog bark prevention device, called dog caretaker, to automatic feeding machine could control their minds by playing a ball on its own using the device when it is alone or hearing owner’s voice. With these features, the system may prevent dog depression and in this process, it is suggested by data recording to check dogs’ health.

      • 성별에 따른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 문제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최재정,김미연,박민지,유미숙 숙명여자대학교 아동연구소 2015 兒童硏究 Vol.27 No.1

        본 연구는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대인관계가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한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의 대학생 404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 대인관계, 우울증상의 척도였다. 분석방법은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내적합치도 계수(Cronbach a)를 구하였다. 본 연구문제를 여자 검증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과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 대학생은 사회적 회피와 헌신성이 우울증상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자 대학생은 실수 불안과 지배성, 비주장성이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학생과 남학생의 결과 차이에서 모두 우울 증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치심의 하위요인보다 대인관계문제의 하위요인들이 우울 증상에 보다 많은 영향을 미친다. 수치심보다 대인관계 문제가 우울 증상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는 남녀 대학생 모두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