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해상도 영상지도 생성을 위한 NDVI 기반 위성영상 융합 기법

        최재완,변영기 한국국토정보공사 2012 지적과 국토정보 Vol.42 No.2

        The pansharpening is an essential processing for applying the satellite imagery to various remote sensing applications. However, most pansharpened images by most image fusion algorithms have several problems, such as the spectral distortion or declination of spatial informations. Especially, some pansharpening method, such as LCAP, may need a high computational cost. In this paper, the similarity between the NDVI image and local fusion parameter of LCAP are analyzed, and then, we made a new local fusion parameter based on NDVI image of multispectral image. In the experiments using KOMPSAT-2 and QuickBird, it is shown that our method have a lower computational cost than LCAP method, while image by our method has a similar fusion quality to result by LCAP. 영상융합은 위성영상을 원격탐사의 다양한 분야에 활용하기 위하여 수반되어야 하는 전처리 과정의 하나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영상융합 기법들에 의해 생성된 융합영상들은 분광왜곡 및 공간해상도 저하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특히, LCAP와 같은 일부 알고리즘들은 많은 처리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NDVI 영상과 LCAP 내에서 사용되는 지역적 융합계수의 유사성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영상 융합기법을 제안하였다. LCAP 융합기법의 처리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NDVI 영상을 기반으로 지역적 융합 계수를 생성하였다. KOMPSAT-2 및 QuickBird 위성영상에 본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 LCAP에 비하여 향상된 처리속도를 가지면서, 유사한 융합성능을 보였다.

      • KCI등재후보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발전 방안 탐색 : 센터 전담교사와 학교현장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한 핵심집단면담 연구

        최재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0 특수교육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anagement for improvement of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To establish this purpose, the focus group interview of 10 staffs of 8 centers and 10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schools in Seoul, Gyeonggi-do and Incheon was applied to this study. As a result of detailed qualitative analysis of interview, two categories, to establish the basis of center and to make the cooperation system were found. The four sub categories of to establish the basis of center were (1) to expand the publicity about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2) to find out the support nee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 schools, (3) to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staffs and teachers of centers, (4) to establish the efficient administrative system of centers. The two sub categories of to make the cooperation system of centers were (1) to expand the cooperation system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2) to use local resources and cooperate with relevant institutions and professionals.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centers more efficiently, the following efforts will be needed. First, the publicity about centers will be needed. Second, the system to support students with disabilities of various Inclusion settings through the lifetime will be needed. Third, the experienc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ll be needed to be stationed in the centers. Fourth, special education support centers should use local resources and cooperate with institutions and professionals of community. Fifth, the school inspectors should admit the autonomy of centers and support more actively. Last,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uld be cooperative with centers. 본 연구에서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발전 방안에 대한 센터 전담교사와 현장 특수교사의 의견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 경기 및 인천지역 8개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전담교사 10명과 센터 운영에 협력한 경험이 있는 학교현장의 특수교사 10명을 대상으로 핵심집단 면담을 실시했다. 면담자료를 질적분석한 결과, 이들의 의견은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반 확립’과 ‘협력체제 마련’이라는 두 개의 범주로 정리되었다.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반 확립’과 관련된 하위주제는 (1)센터기능과 역할 홍보, (2)특수교사들의 지원요구 파악, (3)센터 내 전담교사의 역량 강화, (4)센터의 체계적인 행정체제 확립이었고, ‘협력체제 마련’과 관련된 하위주제는 (1)전담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 (2)지역자원 활용 및 전문가들과의 협력체제 마련으로 확인되었다.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발전을 위해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첫째, 특수교육지원센터의 기능 및 역할에 대한 홍보를 확대해야 한다. 둘째, 센터는 다양한 통합환경에 배치된 장애학생을 지원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어야 한다. 셋째, 센터에는 유경력 특수교사가 전담교사로 배치되어야 한다. 넷째, 센터는 지역 자원을 적극 활용하고, 지역 내 전문가들과의 협력체제를 마련해야 한다. 다섯째, 장학사는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자율성을 인정하되, 센터의 운영에 적극 협력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현장의 특수교사들은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에 보다 협력적인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펄스레이저 증착법에 의해 성장된 ZnO 박막의 특성 관찰

        최재완,지현진,정창욱,이보화,김규태,Choi, Jae-wan,Ji, Hyun-jin,Jung, Chang-Uk,Lee, Bo-Hwa,Kim, Gyu-Tae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11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Vol.24 No.2

        The semiconducting material of ZnO in II-VI group was well known as its good application for photo electronics, chemical sensors and field effect transistors due to the remarkable optical properties with wide energy band gap and great ionic reactivities. Up to now the growth of a good quality of ZnO film has been issued for better performances. Even though there were many deposition methods for making ZnO films, pulse laser deposition methods have been preferred for high crystalline films. In this report, the ZnO film was also created by pulsed laser deposition technique which also showed high crystalinity. By controlling several factors when deposited,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optimal condition for ZnO film formation. Mainly, oxygen partial pressures and growth temperatures were changed when ZnO films were synthesized and followed the characterization by HRXRD and AFM.

      • KCI등재
      • 활자 종류별 척도 검토에 의한 한글활자 기준척도 연구

        최재완,하중규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008 디자인지식저널 Vol.8 No.-

        본 연구는 미터법에 의한 한글활자의 척도를 검토하기 위하여 납활자 시스템과 Cold Type System을 기준으로 한글활자의 유형별 척도를 고찰하였다. 90년대 이후 한글 활자의 척도는 국제규격인 포인트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포인트 시스템은 인치법 도량형을 기준으로 한 것이어서 미터법 도량형 국가에서는 혼란의 소지가 많고, 그 자체만으로도 문제가 없는 것이 아니다. 활자에서 인치법 도량형을 기준으로 할 것인가 미터법 도량형을 기준으로 할 것인가는 활자의 주변 매체와 상관성을 살펴보아야 한다. 특히 폰트 개발에서 인치법과 미터법은 갭이 크다. 본 연구에서는 8가지 한글활자 유형을 대상으로 각기 상이한 척도를 포인트식과 미터법으로 각각 환산하여 상관값을 환산표로 제시하였다. 더욱이 활자는 유형, 종류, 크기에 따라 고유한 호칭과 척도가 있으며, 제작방식과 재생방식에 따라서도 척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미터법에 의한 한글활자의 척도는 사진식자활자에서 사용된 ‘급(Gup)'이 유일하였다. 한글활자는 외국활자 척도를 따라 원용할 것이 아니라 우리 실정에 맞는 활자 척도를 시급히 마련하여 운용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larify the Hanguel(Korean character) typeset measurement upon the metric system between Hot Type Typeset System and Cold Type Typeset System, recognized in a various typeset measurement scale. The Point has been stood upon as a Hanguel typeset measurement system in the first of the 1980's. The Point system is a typeset designation by the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the system is standardized according to the Inches system that has been sometimes confused on the Metric system Nation. The system has two kinds of typeset measurement, it has been could solve one of challenging puzzles itself. Furthermore, it is a very important factors for the typeset to standardi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tric system and the Inches system, typographic reproduction media. In the font graphic design and development, typeset measurement scale between the Metric system and the Inches system find out a unbridgeable gap. In order to gain the typeset measurement scale gap and to confirm numerical indexes, eight typeset prototype were measured and analyzed a coefficient of correlation Line to Inches, Line to mm, Point to Inches, Point to mm and mm per eight typeset prototype. It has a different measurement scale reproduction method between production method. It was confirmed that the 'Gup(g:^b : 급, 級)' was a sole Hanguel typeset measurement scale upon the metric system. In this research emphasis was put on the study of the Hanguel typeset measurement scale its connection with the Metric system.

      • KCI등재후보

        통합학급의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을 위한 학급차원 또래교수 연구에 대한 고찰

        최재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9 특수교육 Vol.8 No.1

        본 연구에서는 1994년부터 2008년까지 국내외 특수교육 및 관련 학술지에서 통합학급의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학급차원 또래교수를 실시한 실험연구 19편을 분석하였다. 우선 연구대상, 중재과목, 실험설계, 독립변인, 종속변인을 중심으로 개괄적인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는 학업성과, 사회성, 행동변화의 세 가지로 나누어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에 미친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논문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학급차원의 또래교수 연구는 다양한 장애유형의 경도 정신지체 학생을 위주로 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쓰기나 읽기와 같은 기초학업교과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그 외에 수학, 과학, 체육 교과 시간에서도 연구가 실행되었다. 셋째, 연구 방법 면에서는 통계분석이나 단일대상연구 설계가 활용되었다. 넷째, 학급차원 또래교수를 실행하는 절차에 있어 수정이 가능하고, 자기관리, 초인지 전략, 고정시간 지연법 등 다른 중재전략도 함께 실시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학급차원 또래교수는 통합학급의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 사회성, 행동개선에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결론에 따라 학급차원 또래교수의 추후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reviewed recent 15 years' 19 experimental studies on classwide peer tutoring for all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without disabilities in the inclusion classroom. First, participants, course, research design, independent variable, dependent variable were analyzed, and the effectiveness of academic, social, and behavioral achievement were reviewed.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have a variety of disabilities and the level of intellectual disability was mainly mild. Second, many studies were implemented in basic academic subjects such as spelling and reading, and each two study was implemented in mathematics, science, and physical education. Third, statistical analysis and single-subject design were widely used for research design. Fourth, the procedure of classwide peer tutoring could be adapted, and other interventions such as self-management, meta cognitive strategies, and constant time relation could be included in it. Fifth, classwide peer tutoring was founded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academic, social, and behavioral achievement for all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without disabilities in the inclusion classroom. Finally, the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