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고대 그리스 서사시와 유대인 성경의 정의·노동·전쟁 개념에 보이는 문화적 접변 -헤시오도스의 노동과 나날을 중심으로-

        최자영 ( Che Jayoung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2 서양고대사연구 Vol.31 No.-

        하블록에 따르면 헤시오도스의 이상적인 사회에서는 땅이 저절로 풍요를 가져다 준다. 그러나 그것은 자발적인 기능의 배분에 의해 이루어지는 유토피아이다. 헤시오도스에게 노동이 없는 낙원은 존재하지 않으며, 땅은 노동 없이 저절로 먹을 것을 주지 않는다. 크로노스가 지배하던 황금의 시대에도 노동은 있었으며, 다만 그것이 잘 배분되어져 있었을 뿐이다. 헤시오도스의 이상은 제우스가 아니라 그 아버지 크로노스의 치세인 황금 종족의 시대이다. 그리고, 그 후 상계하는 4 종족은 타락으로만 점철한것이 아니다. 4 번째 영웅 시대의 종족은 그 전보다 더 우수하고 정의롭다. 이들은 전쟁터에서 죽게 되는데, 전쟁의 원인도 일면 정의, 질서 등과 무관한 것이 아니다. 또 그 가운데 일부는 저 먼 땅 끝 축복의 땅으로 가서 크로노스의 치하에서 살고 있다. 판도라의 상자가 열린 다음 과로, 질병, 빈곤, 탐욕, 사기 등이 난무하면서 제우스가 정의의 수호자가 되었다. 그런데 이 제우스의 정의도 궁극적으로는 노동의 공정한 배분을 통하여 편안하고 즐겁고 풍요로운 생활을 실천하는 데 있다. 히브리인 성경에 보이는 가끔은 ‘무자비한’ 전쟁의 신도 공동체 존립에 필요한 가치관을 투영하고 있으며, 그 투쟁의 대상은 삶의 터전이 되는 땅, 생계에 필요한 양, 사랑하는 여인 등 경우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또 외적뿐 아니라 한 공동체 내부인의 반사회적 행위도 규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스 서사시와 성경의 연관성은 개인전의 형태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헤시오도스가 노동과 나날 에서 언급한 트로이아 전쟁은 개인전이 자주 이용되었는데, 이것은 중무장 보병같은 조직적인 군사력이 아직 발달되기전, 전체 집단의 희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한 장치였던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겠다. 개인전의 전사(promachos)들이 활약한 그리스의 서사시와 유대인들의 성경에 보이는 사회는 훗날 알렉산드로스 제국, 나아가 전 지중해를 석권하게 되는 로마제국과도 다른 점이 있다. 후자의 경우 직업 전사들인 용병의 조직적 군사력에 의지하여 군국주의와 전제적 권력을 지향한 위정자들이 대두되는 한편, 공동체가 붕괴되면서 사회계층의 분화, 사회적 불평등이 심화되기 때문이다. 헤시오도스의 『노동과 나날』에 나오는 판도라는 유대인 성경의 실낙원의 주제와 상당히 유사성을 갖는다. 판도라 때문에 모든 질병, 고통, 재앙, 노고 등이 인간을 피곤하게 만들었다. 낙원에서 쫓겨난 인간도 산고와 노고의 짐을 지게 되었다. 그러나 그 때까지만 해도 전쟁에 대한 언급은 없다. 결론적으로, 정의로운 삶은 노동에 의한 평화로운 삶과 밀접하게 연관된다는 점에서 헤시오도스의 『노동과 나날』과 『구약성경』은 공통점이 있음을 보게 된다. 다만 『구약성경』에서는 신의 정의가 개인 뿐 아니라, 그리스의 서사시에 비해볼 때, 공동체 집단을 대상으로 구체화되는 경우가 더 많다. 이것은 원심적인 권력 구조의 고대 그리스와 동방적, 가부장적 권력구조의 히브리 인들의 사회구조적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해가 가능하겠다. 그리스와 근동은 그 지리적 근접성으로 인해 상호간 문화차용이 없지 않았겠으나, 그 구체적 적용에 있어서는 사회적 환경에 따라 차이가 있다고 하겠다. E.A. Havelock supposed the ideal condition of the Golden Age of Hesiod as a spontaneous provider. It is a social utopia, however, of distributed functions voluntarily performed. It has to be kept in mind that Hesiodos never suggested the paradise without labour. Even in the Golden Age when Kronos governed, work should be carried out, but well divided to everybody. The ideal land of Hesiodos was not ruled by Zeus, but his father Kronos whose reign was of Golden Race of men. Four races following the Golden Age were not just on the process of uninterrupted degradation, as the fourth race of heroes, it is said, was superior and righteous. Even if considerable part of them were to die during the war, the cause of war more or less related to the realization of justice or revenge. Moreover a few of them got to be assigned to the isles of the blest at the ends of the earth. There the glebe yields them its fruit twice a year under the reign of Kronos. Zeus came on stage as a protector of justice, just after the box of Pandora opened and hard labour, disease, poverty, avarice and malice got disseminated. Then, the ultimate purpose of his justice was to realize the convenient and abundant life by fair division of labour. Inexorable wars and punishment described in the Bible used to speak for the standard of values necessary for the survival of community. The purpose of war could be getting back territory, sheep, or woman. Moreover, not only the enemy of outside but, now and then, anti social behaviors in a community should be checked by the sway of God or gods.. The similarity between the Greek epics and the Bible could be found in the group of people, ‘promachoi’, fighting in front of the main body of troops. In the Works and Days Hesiodos referred to the Trojan War, where individual warriors, ‘promachoi,’ were frequently described. The ‘promachoi’ seemed to be a device averting mass sacrifice, prevailing in the stage military forces in full kit (hoplites) were not fully developed. The society of the Greek epics or the Hebrew Bible the ‘promachoi’ played more or less a role were dissimilar to those of the Empire of Alexander or Rome. In latter cases, militarism and despotic political power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professional mercenary forces, and the values of community got deteriorated and social differentiation and inequality intensified. The story of Pandora in the Works and Days of Hesiodos is quite similar to that of lost paradise in the Bible. Every disease, pain, disaster and hard labour from the box of Pandora put the humankind into the yoke. In similar way, those banished from the Paradise got shackled by the pain of delivery and hard labour. In both cases, however, war was not referred to. In conclusion, common factors could be found in Hesiodos’ Works and Days and the Hebrew Bible, as in both cases the justice of humankind was ultimately connected with the peaceful life committed by work. In the Bible, however, the justice of the God used to be realized against a whole community for having betrayed the God's will, which was utterly unfamiliar to the ancient Greek society. This difference, it could be said, originated in the different social structures, as the oriental Hebrew was more patriarchal and group oriented than the Greek of decentralized social structure. There could be interrelations beween Greece and the Near East as they were geographically contiguous, but practical applications in detail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ir own social circumstances.

      • KCI등재

        아렌트와 소렐의 폭력론 비판 : 대안으로서의 고대 그리스 시민사회

        최자영 ( Che Ja-young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6 서양고대사연구 Vol.45 No.-

        아렌트는 다수의 동의에 기초한 정당성 있는 권력을 소수의 폭력에 대조되는 개념을 설정했다. 또 당트레브는 ‘적법한’ 혹은 ‘제도화된 강제’는 강제(즉 비합법적 폭력)이기를 멈춘다고 함으로써 합법적 제도화된 강제의 개념을 제시했다. 그러나 필자는 그냥 ‘소수의 폭력’을 지양해야 한다고 할 것이 아니라 그 소수의 폭력을 가능하게 하는 정치 사회적 환경에 대한 반성이 따라야 하며, 무엇보다 먼저 소수의 폭력 행사를 가능하게 하는 군대 경찰 등 사회의 조직적 무력에 대한 반성이 있어야 한다고 본다. ‘적법’ 혹은‘제도적 강제’의 개념은 설득력이 없는 것이다. 법이라는 것 자체가 불평등한 경향이 있을 수 있고, 제도화되었다고 다 정당화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나아가 비정치적, 생물학적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개인적 폭력을 사회의 제도적 폭력과 혼동하여 같은 비중으로 다룬다면 사회적 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조직적 폭력에 기초한 정당성 없는 소수의 전횡이 가능한 사회적 환경에 대한 반성조차 할 기회를 상실하게 된다. 그리고 사회, 경제, 정치적 불평등의 구조를 가중시키는 데는 소수의 폭력이 큰 역할을 해왔으며 그 폭력의 현실적 근거가 바로 군대와 경찰 등의 조직적 무력이라고 본다. 한편, 다수의 동의에 기초한 정당성 있는 권력과 소수의 폭력 간의 갈등을 문제의 핵심으로 본 아렌트의 주장과 달리, 소렐은 집권적 국가권력에 대해 반성하고 그에 대한 대안으로 노동자 계급의 ‘생디칼리즘’ 운동을 지지했다. 그러나 그가 지지하는 ‘생디칼리즘’도 집권적인 권력구조 하에서는 한갓 꿈에 지나지 않으나 분권적인 구조의 환경에서 적중할 공산이 크다. 이런 원심적 권력구조는 합법적 조직적으로 이루어지는 사회적 폭력을 제거했을 때만 가능하다는 점을 피력하였다. 나아가 권력의 분산은 위정자들 혹은 정치조직 간의 문제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일상의 시민들에게까지 권력이 분배되어야 함을 뜻한다. 이것은 자신의 이익은 다른 누구도 아닌 자기 자신이 가장 잘 도모할 수 있다는 평범하고 자명한 이치에 입각한 것이다. 필자는 한 대안의 실제 모형으로서 원심적 권력구조의 고대 그리스 시민국가의 구조를 살펴보았다. 그리스 도시국가의 자유 시민이 갖는 사회구조의 의미는 권력이 중앙에 집중되어있지 않았고 또 군대, 경찰 등의 조직적인 무력이 구비되어 있지 않았다는 점이다. 문제는 권력구조에 관련한 것일 뿐, 지역이나 국가 규모의 대소와는 무관하다. 국가규모가 크므로 권력이 집중되어야 한다는 논리는 궤변에 불과할 뿐으로 성립되지 않는다. 또 시민의 자유가 노예노동을 기초로 가능했다든가, 혹은 남성 시민과 달리 여성은 종속적이었으므로 고대 그리스 도시국가는 진정한 민주주의 사회가 아니었다는 식으로 호도하는 것은 사실 자체도 바르게 인식되지 못한 것일 뿐 아니라 문제의 핵심을 엉뚱한 데로 돌리는 것이다. 시민과 노예의 사회적 지위는 항상 배타적인 것이 아니라 경우에 따라 중첩적일 수도 있고, 또 여성도 시민으로 불렸다. 위정자들의 권력 자체가 발달하지 않았던 원심적 권력구조에서 여성은 사회경제적 권리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Hannah Arendt defined power as a rightful outcome originated in the agreement of the majority, which is opposite to the violence executed by any arbitrary minority. And d'Entreves justified his concept of ‘legal’, ‘institutionalized’ enforcement, which ceases, according to him, to be actual illegal violence. In my opinion, however, it is not enough to say simply that any minority's violence has to be ceased as Arendt did. Instead there should be reflective consideration on the political and social environments which permitted the minority's violence. Above all, there should be reflective consideration on the mechanism of legal, organized military or police power of the modern state, which causes the minority's violence to be actualized. ‘Legal’ or ‘institutionalized’ power does not guarantee justness. To the contrary, legality itself could motivate inequality. Furthermore, un-politically, biologically and individually committed violence has to be differentiated from the violence executed by social, institutionally organized power. This is why, if these two kinds of violence are confused so as to be equivalently dealt with, we lose the opportunity to reflect upon the evil practices of social violence committed by the authority of law or organized military power, and unjust violence committed by the minority as well, the very things which happened to promote social inequality. On the other hand, in contrast to Arendt whose argument concerned the antithesis of the rightful power of the majority and the unjust violence of the minority, G. Sorel criticized the concentrative power of the modern state, and supported the movement of ‘syndicalism’ of the laborers as an alternative. In my opinion, however, his ‘syndicalism’ turns into nothing more than a dream under the centralized mechanism of power. This could only be properly operated within a very decentralized structure, and the latter does not refer only to decentralization of political organization, but also to the intensification of each citizen's rights. A decentralized structure could only be actualized by restraining the violence committed by every kind of organized social power, military or police, under the authority of law. And the dispersion of power has to be extended down to the level of each citizen, who regards best his own interests first. From this point of view, the citizen state of ancient Greece has to be reconsidered as an alternative. The ancient Greek city-state which granted free citizenship did not have a central government, with neither military nor police forces being organized. It is a kind of sophistry to argue that the modern state is bigger in scale than the ancient Greek city-state, so that direct democracy does not apply to the modern situation: the key point does not concern the scale but its power structure. Indeed it is not only a false recognition, but tends to distort the essence of the problem to suppose that citizens enjoyed liberty by the exploitation of slave's labor, or that the women were subject to the men, so that the Greek states were not a really democratic societies. The social classes of citizenship and slave were not absolutely exclusive, but could be alternated with each other. And women also enjoyed citizenship, as they had socal and economic rights in the decentralized Greek society.

      • KCI우수등재
      • KCI등재

        Interchanges and Conflicts between the Carthage-Phoenicians and the Greeks in the Ancient Mediterranean World

        Che Jayoung(최자영)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10 서양고대사연구 Vol.26 No.-

        기원전 5세기 페르시아 전쟁, 펠로포네소스 전쟁 등을 기회로 하여 지중해 세계에는 군사조직의 비중이 증가하게 되었다. 군국주의의 팽배는 다음 차례 로마의 패권의 성장에 기여하게 된다. 포에니 전쟁에서 로마가 카르타고를 제압한 것이 그 결정적 계기가 되었으며, 지중해는 로마의 패권에 기초하여 의무, 법, 질서, 나아가서는 획일적 기독교가 지배적인 사회로 발돋움하게 된다. 로마가 지중해의 패권을 장악하기 전, 지중해의 상권을 장악한 것으로 알려진 카르타고??페니키아 인과 그리스 인의 이해관계는 획일적인 민족성으로 구분 대립한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소규모 도시(폴리스)로 나뉘어져 있던 이들은 구체적인 경제적 이해관계 혹은 정치체제 및 이념으로 대립했다. 그런 가운데 그리스 인과 카르타고??페니키아 인들은 복잡한 이합집산의 양상을 연출하였다. 한 지역의 도시 공동체가 언제나 하나의 단일한 종족으로만 구성되었다고 규정하기도 어려우며, 서로 간에 자연스럽게 혼혈이 이루어졌다. 이런 현상이 가장 명백하게 노정되는 것이 로마의 패권이 성립되기 전의 시켈리아와 그 주변 지역이다. 로마 패권의 성장은 종족적으로 로마 인의 지중해 팽창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로마가 주도하는 군국주의(imperium)의 사회적 확산, 또 그에 기초한 사회적 불평등의 확산을 뜻하는 것이라면, 그 전의 지중해 사회는 군사적 조직이 사회에서 갖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은 만큼 덜 획일적이었던 것으로 규정할 수 있겠다. 이런 사회에서는 소규모의 갈등이 개진된 것이 사실이나, 그 대신 교류와 평화가 차지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더 크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겠다. 다시 말하면, 포에니 전쟁(264~146 B.C.)으로 로마가 지중해의 패자로 등장하기 전의 지중해는 여러 종족과 도시들이 서로 교류하고 갈등하는 장이 되었으며, 다핵성, 다양성, 자유의 가치관이 후대보다 더 강했던 것이라 하겠다. 군사조직에 기초한 로마의 지중해 통일은 현실화되었으나, 그것을 필연적인 역사의 흐름으로 보기 어렵다. 카르타고와 로마의 패권 다툼에서 로마가 아니라 카르타고가 승리했더라면, 로마 대신 카르타고의 패권이 지중해에 등장하게 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카르타고가 가지고 있었던 소규모 도시국가, 시민이 갖는 자유의 원리가 여전히 획일적 군국주의, 의무, 법, 질서를 대신하여 지중해 세계에 존속했을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다.

      • KCI등재

        페리클레스 시민권법 제정의 정치·재정적 의미 - 폴리스와 그 하부구조 간의 구조적 권력관계의 변동을 중심으로

        최자영 ( Che Ja-young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6 서양고대사연구 Vol.47 No.-

        본고에서는 시민권법이 폴리스 차원에서 만들어졌다는 점에 주목하고, 전통의 가문, 형제단, 데모스 등과 다른 폴리스의 정치-재정적 차원에서 새로운 기능을 추구하려 했다는 점에 그 의미 규명의 초점을 두었다. 즉, 가문(oikos)을 하부단위로 한 폴리스가 그 가문의 존속, 혹은 그 혈통의 순수성을 보호하기 위해 시민권법을 만든 것이 아니라, 오히려 즉, 시민권법은 폴리스 차원의 정치적 입법으로서 혈연이나 의제적 혈연조직 등의 전통성과 무관하게, 무관할 뿐만 아니라 그와 대립적인 기능의 도입으로서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페리클레스는 시민권법은 양부모를 다 시민으로 두는 자에 한하여 참정권을 부여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그는 시민권법을 제안하여 통과시켰을 뿐 아니라 처음으로 배심원 공직에 봉사하는 자들에 대한 수당제를 도입했던 것으로 전한다. 필자는 이 수당제의 도입이 시민권법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지다고 본다. 시민권이 없는 이방인이나 거류외인 등은 그에 상응하는 세금을 납부해야 했으므로, 시민권 없는 사람이 증가함으로써 국가의 수세액이 증가하고, 그 수세의 증가는 배심원 등의 보수로 지급되는 재정적 원천이 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이는 폴리스의 전통적인 하부조직의 기능과는 대조적으로 폴리스 자체의 기능의 증가와 맞물려있으며, 폴리스 차원의 재정의 필요와 직결되는 것이다. 페리클레스 시민권법 도입이후에도 폴리스의 참정권이 아닌 폴리스 하부구조에서는 전통의 시민 개념이 존속했다. 시민권은 폴리스가 아니라 여전히 가문(oikos), 프라트리아 (형제단), 데모스 등 전통의 사회범주 내에서 갖는 권리에 의해 부여되는 것이었고, 참정권 뿐 아니라 사회경제적 권리에 준하는 시민권은 여전히 유효한 것이었다. 여성도 남성과 같이 시민권자로 규정되는 것은 거류외인이나 이방인이 아니라는 점에서 의미가 큰 것이다. 시민권을 가진 여성은 이방인세나 거류외인세를 내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이렇게 시민권의 개념은 참정권을 행사하는 자에게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일원적, 획일적이 아니라 다중적이었다. 히네트가 아테네 급진민주정으로 정의한 기원전 5세기 후반의 아테네 민주정치제도는 지역과 중앙의 권력구조에서 볼 때 상대적으로 중앙 도시자체의 기능의 강화로 정의할 수 있다. 다만, 그 폴리스 차원의 권력구조의 증대가 근현대국가의 그것과 다른 점은 권력행사의 주체가 전문적 상임정치가 혹은 위정자라고 부를 수 있는 사람들이 아니라 여전히 민회의 민중이었다는 것이다. This paper brings focus onto the fact that Pericles’ Citizenship Law (451 B.C.) was introduced as a politico-financial policy on the level of polis. which targeted a function without precedent, and deviated from those having been attributed to the traditional sub-structures of polis, i.e. family (oikos), brotherhood (phratria), demos or tribe. Citizenship Law was not predestined to protect the continuity of traditional family group or Athenians’ purity of blood, but to improve the initiatives of polis rather than its sub-structures. It is said, according to the Athenian Constitution of Aristotle, that owing to the large number of citizens an enactment was passed on the proposal of Pericles confining franchise (i.e. eligibility for taking part in the affairs of polis) to persons of citizen birth on both sides. Then, in addition to the Citizenship Law, Pericles instituted payment for the jury-courts. In my opinion, these two institutions, Citizenship Law and payment for public services, were closely connected with each other. Aliens and resident aliens should pay taxes suited to each situation, and the increase of non-citizens by the application of Citizenship Law was disposed to augment the sum of the amount of taxes, which could be financial sources of payment for the jury-courts. In this respect, the introduction of Citizenship Law corresponded to the intensification of polis’ own initiatives as well as its financial necessities. Even after the introduction of Citizenship Law without precedent, traditional qualification for citizenship continued to work. Basically, Athenian citizenship originated not in the authority of polis, but in the initiatives of its sub-structure social categories, family (oikos), phratria (brotherhood), demos (kind of administrative district), etc., and not only political franchise but socio-economic levels of rights were still available to enable securing citizenship. It is a kind of life and death question whether a woman was a citizen or not, as female as well as male had to be affiliated to the class of citizens, in order not to pay taxes imposed on aliens or resident-aliens. The concept of citizenship was not standardized but of multiplicity, as it does not refer exclusively to political franchise, Hignett defined Athenian polity in the second half of the 5th century B.C. as a radical democracy. In my opinion, however, it has to be to be re-defined as a polity with relatively intensified political power on the level of polis itself, when reflected from the view point of the power-structure between the polis as a centralized core and its sub-structures as decentralized bases. It should be noted here that, dissimilar to the contemporary modern state where standing politicians take the leading roles, in the radical democracy of ancient Athens, the central power of polis was mostly reserved for the people holding shares in the Athenian Assembly (Ekklesia).

      • KCI등재
      • KCI등재

        고대 동부 지중해 세계의 시민병·용병·상비(의무)병의 사회·정치적 의미 분석

        최자영 ( Che Ja-young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구 한국서양고대사학회 ) 2014 서양고대사연구 Vol.37 No.-

        용병과 시민병은 존립 기반은 물론 지향하는 바, 즉 전쟁의 목적이 무엇인가에 있어서 서로 간에 상당한 괴리가 있다. 전자는 보수를 받기 위해 싸우는 것이고, 대의나 대상이 무엇인지 하는 것은 크게 문제가 안 되며 침략적, 호전적인 경우가 적지 않다. 더한 질곡은 용병의 발호가 그들 상호간의 끝없는 권력 투쟁과 갈등을 야기하게 되는 위험이 있다. 반면 시민병은 전쟁을 직업으로 하지 않고 최소한 자신의 재산과 생명을 지키기 위해서 싸우는 것이므로, 많은 경우 그 주요 목적이 불가피한 방어전에 그치므로 무력의 증강이나 사회적 갈등을 초래하는 것이 아니다. 파커는 초기 참주와 후기 참주를 구분하여 전자는 개인의 신변을 보호하는 것이나 후자는 영토 확대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전자가 아니라 후자에 대해서만 호전적(military) 혹은 군국주의(militarisn)라는 용어를 적용한다. 그러나 필자가 보기에 무력의 적용이라는 원리적 측면에서 볼 때 전자도 후자와 크게 다른 점이 없으며, 오히려 후자는 전자의 선례가 확대 적용된 것일 뿐이다. 참주의 호위병은 시민 출신이라 하더라도 시민병이라고 하기 어렵다. 군역의 대가로 참주로부터 보수를 지급 받는다면 방어를 스스로의 의무로 하는 시민병이 아닌 것이다. 그리고 만일 그들이 보수 없이 강제로 차출되었다고 한다면, 전제 왕권 하의 의무병과 같은 것이니 그도 역시 시민병인 것으로 규정하기 어렵다. 기원전 4세기에 들어 마케도니아에서는 시민병이나 용병이 아닌 새로운 종류의 상비군이 조직되었다. 필리포스 2세의 군사개혁은 군사력을 강화하나 비싼 보수를 주어야 하는 용병이 아니라 다소간에 강제적으로 차출되는 의무병을 중심으로 하여 상비군을 조직하는 것이었다. 이것은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자유민과 예속민의 중간 지위에 있는 병사들로 전제적 왕권하에 있는 페르시아 인과 공통점이 없지 않다. 시민병, 용병, 그 외 강제 차출되는 상비군이 혼합되었던 것으로 상비군에게는 당연히, 용병은 경우에 따라, 무기 등이 국가에서 지급되었던 것이라 하겠다. 이렇게 고대 그리스의 시민병을 오합지졸로 폄하하고 보수를 노리는 직업용병을 효율적인 조직과 전술을 가진 것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할 것이 아니다. 권력과 영토의 확장을 꾀하는 전제적 왕권 하에서 강제적으로 차출되는 상비군은 민중의 자유를 억압하고 세금을 착취하는 것이었다. 특히 참주와 그 권력의 유지에 봉사하는 용병은 민주파와의 갈등은 물론 그들 간의 상호 충돌을 야기함으로써 사회를 맹목적으로 호전적, 침략적, 만성적인 전쟁과 분열의 상태로 몰아갈 위험이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나아가 고대 그리스 용병의 횡행을 공급-수요의 원칙에 준하는 경제적 현상의 하나로 간주하려는 현대적 해석은 전쟁을 부득이한 사회 현상으로 정당화하고, 또 권력과 재물을 지향한 인간 탐욕에 대한 반성을 무디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Mercenary soldiers of the Ancient Greece used to be hired by the Tyrants. Parke made a distinction between the tyrants of the earlier and the later period, defining the former as a private bodyguard, and the latter as a force for territorial expansion. And he applied the term military or militarism just to the latter. In my opinion, however, both tyrants of each period do not have any great difference in the principle of exploiting military power for gaining power or territory, and the latter is an extended application of the former. The bodyguard of tyrants is not equal to citizen soldiers. The bodyguard used to get pay from tyrants. And, in case citizen soldiers become bodyguard of tyrants, they should not be regarded as citizen soldiers anymore but mercenary, as the former themselves used to be obligated to bear the expenses for weapon, without getting pay. In the 4th century a new kind of standing army in duty, different from citizen soldiers or mercenary, was created in Macedonia. The military innovation of Philippos II aimed at consolidating military power, by organizing standing army in duty by coercive conscription rather than mercenary for whom wages more or less should be paid. These Macedonian soldiers could be situated in the middle of free men and slaves, and they have commnon elements with the Persians under despotic ruler. Macedonian soldiers were of hybrid composition, that is, citizen soldiers, mercenary and the standing army by forced conscription, and among these standing army, and sometimes mercenary, too, used to be supplied with weapons by employer. Citizen soldiers should not be disparaged as a disorderly crowd, and mercenary aiming at rewards should not be positively appraised as a group efficiently organized and highly skilled. The former was not professional warriors, waging war mostly in inevitable cases for protecting their own lives and properties, while the latter was frequently to incur chronic war state and social conflict, even conflict among themselves. The standing army in duty under the despotic ruler of Macedonia or Persia, who aimed at power and territorial expansion could be sustained by oppressing poeple's freedom and imposing taxes. Contemporary interpretation on the point of supply and demand for the explosion of mercenary in the ancient Greece in the 4th centuury tended to justify the war waged by mercenary as an economically inevitable phenomenon, and nullify the reflection against human avarice towards unlimited power and estate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고대 아테네 정당방위,합법적 살인사건 재판 -델피니온에 대한 일고(一考)-

        최자영 ( Ja Young Che ) 대구사학회 2004 대구사학 Vol.76 No.-

        It had been said that just/lawful homicide was assigned to the Delphinion court in Ancient Athens. That is, the Delphinion judged cases in which the litigants in dispute accepted that a homicide be just/lawful. D. MacDowell, however, suggested that the Delphinion decided the case in which the two opposite parties did not agree to legitimacy of a homicide, and a court was assigned on the basis of the defendant`s claim. Then, according to him, the concept of illegitimacy refers to both voluntary and involuntary homicides. In my opinion, however, there were at least three different kinds of just homicide, each of which was assigned to a different court from the other. The first was related to premeditated, but allegedly just homicides for revenge. Then, the Areopagos judged whether a homicide for revenge be just or not. The second referred to involuntary/inevitable/just homicides such as for self-protection, which used to be assigned to the Palladion. The third concerned involuntary/lawful homicides, of which the Dephinion was in charge. Legitimacy was based on written laws specifying some circumstances of homicide which were to be recognized as just. It was closely connected with homicide by instantaneous reaction, even if the offender had intention of killing or injuring the other at the moment. Legitimacy does not apply, if a homicide was under strong suspicion of premeditation. I suppose that the Delphinion judged the case which seemed in high probability unpremeditated. Then, the lawful homicides judged in the Delphinion could be divided into two sorts. The first was that both of litigants agreed to legitimacy, and the second, they did not. In the latter, even if the plaintiff disputed legitimacy of a homicide, the basileus for the moment accepted high probability of legitimacy and the court was to decide whether a homicide be lawful or not, and whether the killer be culpable or not, which was a criminal trial. In the former, however, the court was held for compensation as well as purification, which were rather civil affairs. In addition, the MacDowell`s view that the court was assigned on the basis of defendant`s claims does not look to be sound. Even if defendant insisted legitimacy of his action, the decision of basileus as well as the claims of plaintiff sometimes told much on assigning court for a homicide. When the basileus supported the plaintiff insisting that a homicide be premeditated, the case used to be submitted to the Areopagos, not the Delphin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