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 직관명 ‘史’에 대한 검토

        최일례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2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 No.63

        The official post of Silla Dynasty, Sa was almost over 40% of central government officials. The Sa was allowed to be appointed from Daesa(大舍) ranked as 12 to Seonjeoji(先沮知) ranked as 17 in all the official ranks of Silla Dynasty. There was no post that the Sa was appointed as the manager of central government offices. 史 was not appointed to a place that requires a high degree of academic knowledge, a place that requires a high degree of professionalism, a place that provides mainly men's physical labor, and a place where labor power of women were usually used or women were required. The Sa were increased, total of 52 staffs at nine government posts. Of those, 31 were added in the 10th to 20th year of King Moonmu.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countries, it was necessary to maintain the national system and operate the government department to effectively carry out the Silla-Tang War. In the process, the increase of the lower rank officials Sa, was a natural result. In ancient China, Sa had meanings of recording, a recorder, officers and a history book. In Silla Dynasty, it was used as the post name of petty official in central government(Sa in Dongsijeon under the regime of King Jijeung), followed by meanings of recording and history(a history book titled Guksa(國史) published under the regime of King Jinheung). Based on the results above, it was discovered that the Sa, an official post of Silla Dynasty, was usually alloted for man, a petty official who was in charge of indoor administration service, of recording[a recorder], handling, storing and transcribing documents at central government offices, and of entry and accounting of articles at posts they belonged to. 신라의 직관 史는 중앙 관원의 40%에 가깝다. 史의 임명 가능 관등은 신라의 17관등제에서 12등 大舍부터 17등 先沮知까지이다. 직관 史는 중앙 관부의 책임자로 배치된 곳이 단 하나도 없었다. 직관 史는 학문적으로 높은 식견을 요구하는 곳, 고도의 전문성을 요구하는 곳, 주로 남성의 육체적인 노동력을 제공하는 곳, 여성의 인력을 주요한 노동력으로 사용하는 곳, 여성이 직임을 맡은 곳에서는 배치되지 않았다. 직관 史는 9개의 관부에서 총 52명이 증원되었다. 그 중 문무왕 10년-20년에 31명이 추가되었다. 삼국통합 이후 국가체제의 정비와 나당전쟁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관부의 운용이 필요했고 그 과정에서 하부 관원 史의 증원은 당연한 결과였다. 고대 중국에서 史는 기록, 기록하는 사람, 사관, 역사서와 같은 의미였다. 신라에서는 史가 중앙 관부의 하위 관원(지증왕대 東市典의 史), 이후에는 기록, 역사(진흥왕대 역사서 國史 편찬)의 의미로도 사용되었다. 검토를 통해 신라에서 직관 史는 주로 중앙 관부의 내근직 남성 하위 행정 관료로서 해당 관부의 문서 작성[기록자] 및 소속 관부에서 관할하는 물품의 출납 및 회계를 담당한 관원으로 판단하였다.

      • KCI등재

        중천왕대 고구려의 정치와 시조묘 제사

        최일례 호남사학회 2023 역사학연구 Vol.89 No.-

        Under the reign years of King Juncheon, Goguryo was still being outwardly threatened by Wei(魏) while it went through the ups and downs inwardly from royal rebellions and conflicts between Queen Yeon and the Lady Gwanna. King Jungcheon intended to make the Lady Gwanna a future queen. The queen worried that the Lady Gwanna monopolized king’s affection and induced and even threatened her to present to the king. The Lady Gwanna complained that the queen attempted to put her in a leather bag to throw in the sea, but as the complain was considered as a false charge against the queen, she was thrown to the west sea in a leather bag. It superficially looked a measure to prevent jealousy and complain against the queen and conflicts between powers, but it ulteriorly was derived from superiority and inferiority between powers. The fact that specific powers including queen, high rank officials and king’s sons-in-law were from Yeonnabu indicated Yeonnabu’s superiority during the reign of king Jungcheon. Under the 12th reign year, King Jungcheon went hunting to Dunul Valley and when Wei invaded Goguryo, he picked horse 5,000 soldiers and subjugated approximately 8,000 enemy troops at Yangmac Valley. During the reign years of king Dongchon, the former king, Hwandoseong was collapsed due to Gwangugeom’s invasion and the king run away to South Okjeo. For that reason, king Jungcheon’s achievements from the war against Wei was special. King Jungcheon moved from Dunul Valley in the west and won at the war of Yangmac Valley in the north because of products of ded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two areas. King Jungcheon gave a memorial service to the founder’s shrine in Jolbon next year to congratulate the victory and displayed Goguryo’s integrated power. For that reason, during the reign of king Jungcheon, the memorial service at the founder’s shrine was presented in 13 years of enthronement while most of the memorial services were presented in the early period of enthronement. 중천왕대는 대외적으로 위(魏)의 위협이 여전한 상태였다. 대내적으로는 즉위 초반부터 왕제들의 반란, 연씨 왕후와 관나부인의 갈등 속에서 부침하였다. 중천왕은 관나부인을 총애하여 장차 소후로 삼고자 했다. 왕후는 관나부인이 왕의 총애를 독차지할까봐 염려하여 위에 진상하라고 종용하고 관나부인을 위협하기까지 하였다. 관나부인은 왕후가 자신을 가죽주머니에 담아 바다에 던지려고 한다고 왕에게 하소연 했지만 왕후에 대한 참소로 여겨져 오히려 가죽주머니에 담겨 서해바다에 던져졌다. 표면적으로는 왕후에 대한 투기와 참소 그리고 세력간의 분열을 방지하려는 조치이지만 그 이면에는 중천왕대 정치세력간 우열이 작용한 때문이라고 본다. 왕후ㆍ국상ㆍ부마도위와 같은 특정 세력이 주로 연나부 출신이라는 것은 중천왕대 연나부세력의 우위를 보여준다. 중천왕 12년 왕은 두눌곡에서 사냥을 하였고, 위의 침공이 있자 5천의 정예기병을 선발하여 양맥의 골짜기에서 싸워 쳐부수고 8천여 명의 목을 베는 성과를 거두었다. 전왕인 동천왕대 관구검의 침입으로 환도성이 함락되고 왕은 남옥저로 달아나는 등 국가적 위기를 겪었었다. 그런만큼 중천왕대 위와의 전투에서 거둔 성과는 특별한 것이다. 위의 침입에 맞서 서부의 두눌곡에서 이동한 중천왕이 북부의 양맥곡에서 승리할 수 있었던 것은 두 지역의 헌신과 협력의 산물이다. 그래서 중천왕은 그 다음해에 졸본으로 가서 시조묘에 제사하면서 위의 침입을 성공적으로 격퇴한 것을 축하하고 통합된 고구려의 힘을 과시하였을 것이다. 바로 그 이유가 대부분의 시조묘 제사가 즉위 초반에 거행된 것과 달리 중천왕대에는 재위 13년만에야 행해졌던 이유일 것이다.

      • KCI등재

        삼국사기 지리지에 보이는 고대 호남지방 武州의 郡縣 편제 양상

        최일례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1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 No.58

        This study speculated on the aspect Guns(郡) and Hyons(縣) of Muju(武州), one of nine districts of ancient Shilla, were organized. However, as for the a site of Muju,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quantity, class change and concentrated arrangement of Guns and Hyons between Muju of Shillla recorded in the Samguksagi(三國史記) Geography Section(地理志)3 and the Mujinju(武珍州) of Baekje in the Samguksagi(三國史記) Geography Section(地理志)4 It was recorded that the Muju of Shilla had 14 Guns while the Mujinju of Baekje had 15 Guns. As for the way of military arrangemen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istricts Chisogun(治所郡, the place with an administrative office) was concentrated between Shilla edition and Baekje edition. In the Shilla Edition, to the north of Muju, 1 Gun(Jangseonggun) was added, and to the plain area of South, 1 Gun(Bannamgun) was added. However, in the Baekje edition, four Gun were arranged in Seungju, Nagan, Bosung and Bokne of Bosung that correspond to the southeastern area of Muju. In the Shilla edition, Neungju was abolished. As for the Jindogun case, in the Baekje edition, the entire island area was arranged into a single Gun. However, in the Shilla edition, Injindogun that had been the administrative office of the island was served as a subordinate Hyon of Muangun. Considering the distance between Muan and Jindo,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us, it was assumed that the basic reasons why the organization of Gun-Hyon was different according to periods and records were for ruling goals of Baekje and reorganization of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according to the ruling goals of Shilla after the three states had been un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further research will focus on more specific background. 신라의 9주 중 무주의 군현 편제 양상을 살폈다. 그런데 무주라는 동일한 공간이 삼국사기 지리지3 신라편 무주와 지리지4 백제편 무진주 기록간에 군현 숫자, 군현 격의 변경 및 군현의 집중 배치 지역에서 차이가 있었다. 신라편 무주는 14군, 백제편 무진주는 15군이었다. 군의 배치에서는 치소군의 집중 지역이 달랐다. 신라편 무주에는 북쪽에 1개군 추가(장성군), 남쪽 평야지대에 1개군(반남군)이 추가되었다. 반면 백제편 무진주에는 동남쪽에 해당하는 승주, 낙안, 보성 복내, 보성 지역에 4개 군이 배치되었다. 신라편에서는 그 중 보성 복내가 폐지되었다. 진도군은 백제편에서는 섬 지역 전체가 1개의 군으로 편제되었다. 반면 신라편에서는 이전 섬의 치소였던 인진도군이 무안군의 속현으로 변했다. 무안과 진도간의 거리를 고려하면 납득하기 어려운 구조이다. 이렇듯 두 기록간 무주라는 동일 공간의 군현 편제 양상이 변화했던 근본적인 원인은 백제 당시의 통치 목적, 삼국 통합 후 신라의 통치 목적에 따른 지방 행정 제도 개편의 결과였을 것이다.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더 세부적인 배경은 추후 연구에서 밝혀보겠다.

      • KCI등재

        4~5세기 고구려의 王室 神聖化 관념에 대한 검토

        최일례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21 한국고대사탐구 Vol.39 No.-

        The Goguryeo’s royal reverence idea was derived from the sacred lineage perception on founders. The Jian Goguryeo Tablet, King Gwanggaeto Tablet, and Moduru Stele that were built approximately in the 4th and 5th centuries have a lineage perception that founders of Goguryeo are offsprings of the heavenly gods and grandchildren of the water god. The important thing is that the idea of reverence to the Goguryeo royal family was not found in all the records of the 4th and 5th centuries. In the memorial inscriptions of the Anak #3 Tomb and Deokheungri Tobm that were built in the similar periods only personal achievements are recorded. Also, the Chungju Goguryeo Tablet that was assumed to have been written in the 5th century is an official record of Goguryeo, but there was no information on sacred lineage of Goguryeo founders. Chumo, founder of Goguryeo, ran from North Buyeo and was settled in Biryusu. During the process, Gyerubu that was represented by founder Chumo took the initiative away from Sonobu[=Yeonnobu=Biryubu] that was a dominant power of natives in Jolbon. In the process Gyerubu expanded its initiative, it was assumed that they would labor at securing legitimacy as a representative of the League and efficient control of the people. It was also revealed from the fact that Goguryeo kings themselves gave sacrificial rites to primogenitors of league member countries for integration with the League during the general meetings. On every October, Goguryeo kings themselves gave sacrificial rites to all of the gods including Ryongseong, Ilsin, Kahansin, Kijasin and Susin. Chinese people considered that there were lots of Eumsa(sacrificial services given by those who did not have right to serve) in Goguryeo because the Goguryeo kings gave sacrificial rites to the subjects of sacrificial rites that were not seen as the same ancestors to them. In particular, Sonobu, a previous royal power, established an independent royal ancestor’s shrine in the middle 3th century to give a sacrificial service to their founders. It means that the Gyerubu sovereignty did not secure its exclusive initiative even at that period. Then in the 4th and 5th centuries, Jian Goguryeo Tablet and King Gwanggaeto Tablet as official records of Goguryeo and even personal inscriptions declared the sacred idea that Goguryeo’s founder is the son of Habaek, the son of Lord of Heaven. King Gwanggaeto kept tomb keepers from being traded, which means that influential parties’ acquisition of tomb keepers was strictly limited. At the time when Goguryeo sovereignty was strengthened, the sacred lineage idea of Goguryeo royal family was also emphasized. In conclus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sacred lineage idea reflected the situation of the period when Goguryeo sovereignty was expanding its exclusive initiative over influential parties and achieved its absolute superiority. 고구려의 왕실 존숭 관념은 시조에 대한 신성한 출자 인식에서 출발한다. 4~5세기 무렵 작성된 「집안고구려비」, 「광개토왕비」, 「모두루묘지명」에는 고구려의 시조가 하늘[天神]의 자손이며 물[水神]의 외손이라는 신성한 출자 인식을 담고 있다. 중요한 것은 4~5세기의 모든 기록물에서 고구려 왕실에 대한 존숭 관념은 보이지 않는다. 비슷한 시기에 작성된 안악3호분과 덕흥리고분 묘지명에서는 개인의 행적을 위주로 묘지명을 작성하였다. 또한 5세기 경에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높은 「충주고구려비」 역시도 고구려의 공식적인 기록물이지만 고구려 시조의 신성한 출자 정보는 없다. 고구려 시조 추모는 북부여에서 도망하여 와서 비류수가에 정착하였다. 그 과정에서 시조 추모로 대표되는 계루부는 졸본을 중심으로 토착해 온 선주민의 지배세력 소노부[=연노부=비류부]를 누르고 주도권을 장악하였다. 계루부가 주도권을 확장해 나가는 과정에서 연맹체의 대표[왕]로서 정통성 확보와 민에 대한 효율적인 지배를 고심하였을 것이다. 이는 연맹체와의 통합을 위해 각 연맹체의 시조신에 대한 제사를 國中大會 기간에 고구려 왕이 직접 지내는 것에서도 드러난다. 고구려 왕은 매년 10월이면 靈星, 日神, 可汗神, 箕子神 등과 隧神에 대한 제사를 모두 그리고 몸소 제사지냈다. 중국인들의 눈에 동일한 조상으로 볼 수 없는 제사 대상을 더군다나 고구려의 왕이 직접 제사지내는 것을 두고 고구려에는 淫祀가 많다고 하였다. 특히 前 왕실세력인 소노부는 3세기 중엽에도 여전히 독자적인 종묘를 세우고 자신들의 시조에 대한 제의를 유지하고 있었다. 해당 시기까지도 계루부 왕권이 배타적인 지배력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였음을 반영한다. 그러다가 4~5세기 무렵 고구려의 공식적 기록물인 「집안고구려비」, 「광개토왕비」와 개인의 묘지명에까지 고구려의 시조가 ‘天帝之子 河伯之孫’이라는 왕실에 대한 신성 관념을 천명하고 있다. 그리고 광개토왕은 왕릉의 수묘인에 대한 매매 금지를 발령함으로써 유력세력의 수묘인 취득을 강력하게 제한하는 모습을 발견할 수 있다. 고구려 왕권이 강화된 시기 고구려 왕실의 신성한 출자 관념 역시도 강조되고 있는 양상이다. 결과적으로 고구려 왕실의 신성한 출자 관념은 고구려 왕권이 유력세력에 대한 배타적인 지배력을 확보해 나가던 그래서 왕실의 절대적 우위를 설정했던 시대상의 반영으로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거득공의 ‘潛行 國內’와 武珍州 吏 안길의 ‘供妻’에 담긴 역사적 맥락 검토

        최일례 한국고대학회 2023 先史와 古代 Vol.- No.72

        This study investigated Geodeuk-gong’s ‘Domestic Tour Incognito’ in the regime of King Moonmu and ‘offering wife’ by Mujinju An-Gil who were encountered during the travel. As An-Gil recognized that Geodeuk-gong who was making a secret visit to Mujinju was a special person, he gave a warm reception to him. Even An-gil offered one of his wives and concubines to him. In Baekje period, women’s chastity was seriously considered as much as a wife who committed an adultery was made to be a slave of the husband. However, as An-gil promised that he would take care of her for his whole life if she allowed herself to sleep together with the guest, he made an active suggestion to sleep together with the Geodeuk-gong. An-gil who had strong political and financial power as much as he had three wives was considered as an influencer of Mujinju, Baekje’s territory. However, after Baekje collapsed, Mujinju was controlled by Shilla. Influential power including An-gil considered that they had to make an active union with Shilla’s central power because they wanted their status and power to be guaranteed. At that time, as Geodeuk-gong was considered as a person who could lead them to keep a close ties with Shilla’s central power, An-gil treated him very kindly and even offered one of his wife to him. Shilla also needed to secure a base to end the turmoil and achieve effective control of Baekje. It was assumed that at the time when Geodeuk-gong made a secret visit to Mujinju, Shilla would make close ties with Baekje’s existing power represented by An-gil. The point that An-gil treated Geodeuk-gong kindly and offered one of his wives to him indicated that such close ties between them was achieved. Then, it was assumed that Shilla would achieve an effective control of old Baekje area with Mujinju as a base. When An-gil made a visit to Shilla’s central government for Sangsoo(administrative work), Geodeuk-gong made a kind treatment of him and even King Moonmu gave a large Somokjeon(30myo) below Mt, Seongbu to him for Mujinjoo Sangsoo. In conclusion, their encounter was not coincidental. That An-gil offered one of his wives to Geodeuk-gong could not be considered only in the level of a Baekje’s custom, a patriarchal product and bribe. their encounter was a process that Shilla cut into old Baekje area and Mujinju’s existing power represented by An-gil began to seize power over local area through close ties with Shilla’s central power. 문무왕대 거득공의 ‘國內 潛行’과 그 과정에서 만난 무진주 吏 안길의 ‘供妻’에 내재한 역사적 맥락을 살폈다. 안길은 무진주에 잠행 온 거득공이 ‘異人[특별한 사람]’임을 알고 극진하게 대접하였다. 심지어 안길은 그의 처첩 중 1인을 거득공에게 공처하였다. 백제의 풍속은 간통한 여성은 남편 집의 여종[婢]으로 삼을 정도로 여성의 정절을 중요시 하였다. 그렇지만 안길은 처첩에게 손님과 동침하면 평생토록 함께 살겠다는 약속까지 하면서 손님과 동침할 것을 적극 제안하였다. 안길은 3명의 처첩을 거느릴 정도로 권력과 경제력을 가진 인물로 옛 백제 땅 무진주의 영향력 있는 재지세력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백제 멸망 후 무진주는 이제 신라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안길을 비롯한 유력 재지세력들이 이전과 같은 지배적인 신분과 권력을 보장받기 위해서는 신라 중앙과의 적극적인 유대가 필요한 때였다. 바로 그즈음 잠행을 떠난 거득공이 무진주에 이르렀고, 안길은 거득공이 신라 중앙과의 긴밀한 관계 맺기를 가능하게 할 인물이라고 생각하여 그를 극진하게 대접하고 공처까지 하였던 듯하다. 신라 역시도 옛 백제 지역의 혼란을 종식시키고 실질적인 지배를 달성하기 위한 거점 확보가 필요하였다. 거득공이 잠행나왔던 당시 무진주의 안길로 대표되는 재지세력과의 긴밀한 연대를 구축하였다고 여겨진다. 그런 점에서 안길이 거득공을 극진하게 대접하고 공처한 것은 무진주와 신라 중앙간의 긴밀한 연대가 구축되었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후 신라는 무진주를 거점 삼아 그 이북의 옛 백제 지역에 대한 실질적인 지배를 해 나갈 수 있었다고 보여진다. 그래서 안길이 상수를 위해 신라 중앙을 방문했을 때 거득공이 극진하게 대접하고, 또한 문무왕까지도 성부산 아래의 30묘에 달하는 광대한 소목전을 무진주 上守를 위해 내렸던 것이다. 결국 안길과 거득공의 만남은 결코 우연한 사건이 아니었다. 안길이 거득공에게 공처한 사건 역시도 단순히 백제의 풍속, 가부장적 산물, 뇌물의 차원으로만 바라볼 수 없는 것이었다. 안길과 거득공의 만남과 그 이야기 속의 여러 사건들은 당대 신라가 옛 백제 지역을 잠식해나가는 과정이면서 또한 신라에 복속된 안길로 대표되는 무진주의 재지세력이 신라 중앙과의 인연을 매개로 지역사회의 주도권을 장악해 나가는 과정이 담긴 것이었다.

      • KCI등재

        <<삼국사기>> 지리지3 武州와 <<삼국사기>> 지리지4 武珍州에 소속된 군현의 변동 배경 검토

        최일례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23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 No.69

        Mujinju recorded in Baekje Section of the Samguksagi Geography 4 was organized into 14 Guns and 44 Hyons while it was recorded to include 15 Guns and 43 Hyons in Shilla Section of the Geography 3. As it was discovered that there were a few changes between the two different data in quantity, standing and position, the data and background were examined. Firstly, it was recorded that Wolhnagun in the Baekje Section had 1 Gun and 6 Hyons while it had 3 Guns [Yeongamgun, Gapseonggun and Bannamgun] and 6 Hyons. Gapseonggun in Jangsug included Jinwonhyon and Samgyehyon nearby. Bannamgun had Yarohyon and Gonmihyon nearby as the jurisdictional Hyon. Bannamgun had good geographical conditions for trade with China at the west sea coast through the Yeongsan River channel. Gapseonggun and Bannamgun were raised to the Gun position to efficiently govern neighboring Hyons in consideration of their geographical positions. Secondly, Mujinju of Baekje Section ad 4 Guns in Boseong and Sunchon in the southeastern area while it had 3 Guns in the record of the Shillla Section. However, after the unification, dense deployment of the military defense power was not needed anymore. Thirdly, Jindo Island had 1 Gun[Injindogun] and 2 Hyons[Dosanhyon and Maegurihyon]. However, in the record of Muju in the Shilla Section, it had 1 Gun[Dasanhyon→Noisanhyon] and 1 Hyon[Maegurihyon→Chomtamhyon] and 1 Hyon[Injindogun→Jindohyon] under Muangun, which was unusual. Noisangun which was a strategic route located in front of Jangsando was more profitable in trade with China than the route in Jindohyon. Therefore, it was assumed that the position of Noisangun was raised to Gun and Jindohyon was reorganized as a Sokhyon. In that point, it was suggested that the record of Jindohyon as a Sokhyon of Muangun was incorrect.

      • KCI등재

        백제 개로왕의 여성 節行觀에 담긴 역사성 검토

        최일례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9 한국고대사탐구 Vol.31 No.-

        This study examined history of King Gaero period with a theme of the perspective on chastity of women the king talked to Domi. It was understood that the king suggested that women’s integrity is not reliable because it may be easily changed and it has a certain intention. Baekje in the King Gaero’s period suffered from wars with Goguryeo and he was active in overseas policies to gain a breakthrough. He sent ambassadors to Song Dynasty in the southern area to request official ranks and Bukwei Dynasty in the northern area to request military supports to defeat Goguryeo. He also sent his brother named Gonji to Japan. The problem is the record that Gonji got married to King Gaero’s wife and took her with him. It was recorded that she delivered a baby while she was going to Japan. 『Ilbonseogi』 records that the baby was King Muryong. However, 『SamgukSagi』 and 『SamgukYusa』 record that King Muryong is the second son of King Dongsung, one of Gonji’s sons. Whatever the reason was, King Gaero’s wife was remarried with Gonji although her husband was alive and it was far from women’s chastity. Therefore, King Gaero put an emphasis on that women’s integrity is not valuable to gain his dignity and position as a king. Furthermore, to solve the problem that might occur to the prince to be delivered during the trip in respect to orthodoxy of royal lineage, he was active in distributing the discourse that women’s chastity is not important. 백제 개로왕이 도미와 나눈 여성의 절행관을 매개로 개로왕대 역사에 접근해 보았다. 개로왕이 여성의 절행을 변하기 쉬운 그래서 믿을 만하지 않다는 주장에는 어떤 의도를 내포하였다고 이해하였다. 개로왕대 백제는 고구려와의 전쟁으로 시달리고 있었고, 그에 대한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 적극적인 대외정책을 추진하였다. 남조 송에는 사신을 보내 관작을 요청하였다. 북조 북위에는 사신을 보내 고구려 정벌을 위한 군사를 요청하였다. 왜에는 동생 곤지를 보냈다. 문제는 왜에 사신으로 간 곤지가 개로왕의 부인과 혼인하고 동행하였다는 기록이다. 당시 개로왕의 부인은 출산이 얼마남지 않은 상태였고 왜로 가는 도중에 출산하였다고 한다. 『日本書紀』에는 태어난 아이가 무령왕이라는 전승을 보인다. 반면 국내측 기록인 『三國史記』와 『三國遺事』에서는 무령왕이 곤지의 아들인 동성왕의 둘째아들이라는 전혀 다른 정보를 전한다. 이유가 무엇이건, 개로왕의 부인이 남편 개로왕이 생존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곤지와 혼인했다는 그 자체는 여성의 절행과는 거리가 멀다. 그래서 개로왕은 먼저 자신의 개인적인 처지와 국왕으로서의 위신을 세우기 위한 방편으로 여성의 절행이 실상은 큰 가치를 지니지 않는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개로왕의 부인이 재혼한 후 왜에 가는 도중에 낳은 왕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왕계보의 정통성에 대한 시비거리를 해결하기 위해 여성의 절행이란 것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는 담론을 적극적으로 양산하여 유포시키고자 하였던 것으로 예상하였다.

      • KCI등재

        『삼국사기』열전 소재 ‘설계두전’에 관한 몇 가지 의문

        최일례 호서사학회 2023 역사와 담론 Vol.- No.108

        설계두는 신라인이지만 당에서 활약한 인물이다. 설계두는 골품제 때문에 신라에서는 출세할 수 없음을 한탄해왔다. 그래서 몰래 당으로 건너갔다. 설계두는, 645년 당 태종이 고구려 遠征에서 위험에 처했을 때, 크게 활약하고 죽었다. 당 태종은 설계두를 애도하면서 “외국 사람이 나를 위해 종사하다 죽었다”고 하면서 그의 공로를 인정하여 대장군직을 내려주었다. 그런 설계두가 왜 『삼국사기』 열전에 그것도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이들을 대상으로 한 열전 7권에 입전된 것인지, 그 의문을 풀어보고자 하였다. 검토의 결과 『구당서』, 『신당서』, 『자치통감』과 같은 중국측의 사서에는 645년 당군과 고구려군의 주필산 전투에서 몇 가지 누락된 사실이 발견되었다. 그리고 더러는 과장된 것도 있었다. 645년 당군이 안시에 도착하자 고구려는 15만 명의 지원군을 보냈다. 고구려군의 군진이 40리에 걸쳐 있는 것을 본 당 태종은 두려운 기색을 보였다. 당시 두려운 기색을 보인 당 태종의 반응과 그리고 주필산 전투에서 당 태종이 지휘하던 6군이 고구려군에게 제압되어 위험에 빠졌을 때 설계두가 적진 깊숙이 들어가 싸우다 죽었고, 그에 대하여 당 태종이 고마워하였으며, 직접 御衣를 벗어 설계두를 덮어주고 대장군 직을 내려주었던 일들이 누락되어 있다. 해당 내용은 『삼국사기』열전에 처음으로 기록되어 있었다. 비록 주필산 전투가 당의 승리로 종결되었지만 공명심이 강한 당 태종에게는 고구려군을 두려워하고 제압당했다는 것은 치욕이었다. 또한 고구려군에게 유린당한 당군의 전적 역시도 용납하기 어려운 치욕이었다. 그러한 치욕을 은폐하는 과정에서 주필산 전투에서 당 태종과 당군에게 불리한 정보들은 회피하였다. 그로 인해 설계두가 위험에 빠진 당 태종을 구하는 과정에서 전사했던 사실조차도 중국의 역사서에 기록되지 못했을 것으로 이해하였다. 『삼국사기』 찬자들은 설계두의 충절과 용맹을 기록하였다. 그리고 자국사에 어두운 고려의 지식인들이 기억하기를 바랬다. 그러나 『삼국사기』 열전 속에서 설계두의 행적이 기록되고 회자되는 순간, 역설적이게도 당 태종의 실패했던 고구려 원정을 자연스레 소환되게 하였다. 결국 『삼국사기』 열전 7권에 충을 위해 목숨을 바친 설계두를 배치함으로써 당 태종의 무모한 정복욕과 공명심을 비판하였다. 이는 또한 당 태종의 패배를 直書하지 않은 중국 측의 서술 태도를 비판하고 중국의 비겁함을 꾸짖는 『삼국사기』찬자의 역사 의식이었다. SeolGye-Du was actively engaged in Tang Dynasty although he was a Shilla person. He lamented over his tragic life that he could not succeed in life because of the Kolp'eum System of Silla. So he secretly went to Tang. When King Taejong of Tang Dynasty was in danger from the Goguryeo expedition in 645, he played a great role and died. As King Taejong of Tang Dynasty mourned SeolGye-du and said “A foreigner died while working for me” and acknowledged his contribution, gave him a position of Great General.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y SeolGye-du was introduced in vol. 7 of the Biography which recorded those who had been dedicated for the country, in particular in the Biography of 『Samguksagi』.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in Chinese historical books including 『Gutangseo(舊唐書)』, 『Sintangseo(新唐書)』 and 『Jachitonggam(資治通鑑)』, there were a few missing parts involved in the Battle of Mt. Jupil between Tang Dynasty and Goguryeo. Even a few things were exaggerated. In 645 when Tang soldiers arrived at Ansi, Goguryeo sent 150,000 reinforcements to them. King Taejong of Tang Dynasty was afraid to see that military camps of Goguryeo extended to 40Ri(1Ri=0.4Km). The reaction of King Taejong of Tang Dynasty who showed signs of fear upon seeing the power of the Goguryeo army at the time, and in the Battle of Mt. Jupil when the 6th Army commanded by King Taejong of Tang Dynasty was overpowered by the Goguryeo army and so King Taejong of Tang Dynasty was in danger, SeolGye-du sacrificed his life and died fighting, the fact that King Taejong of Tang Dynasty was so grateful for the incident that he personally took off the royal robe, covered it for him, and gave him a position of Great General is omitted. They were first recorded in the Biography of 『Samguksagi』. Although Tang won in the Battle of Mt. Jupil, the ambitious King Taejong of Tang Dynasty felt disgraced as his military force was overpowered by Goguryeo military force. War record that Tang military force was abused by Goguryeo military force was also disgraced to accept. In the process to conceal the disgrace in the Battle of Mt. Jupil, disadvantageous information was missed. Therefore, even the fact that SeolGye-du dedicated himself to save king Taejong in danger was not recorded in Chinese historical books. Compliers of 『Samguksagi』 recorded SeolGye-du’s loyalty and bravery. And They wanted intellectuals of Goryeo who were ignorant of history to remember it. However, at the moment that SeolGye-du’s behaviors were recorded in Biography of 『Samguksagi』, the King Taejong of Tang Dynasty’s failure of expedition to Goguryeo was naturally recalled. In conclusion, as SeolGye-du who had dedicated his life for faith was recorded in vol 7. of 『Samguksagi』, his thoughtless ambition and lust for conquest were criticized. It was historical consciousness of compliers of 『Samguksagi 』 who criticized Chinese cowardly attitude that did not honestly record King Taejong's defeat.

      • KCI등재

        고구려 新大王의 즉위와 시조묘 제사 親行

        최일례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2019 한국학연구 Vol.70 No.-

        King Sin the Great(新大王, meaning a new king) acceded to the throne through an extreme means of killing King Cha the Great(次大王, meaning the second great king) and the royal authority was considerably lost. He considered many things strategically for higher royal authority and organic solidarity. He gained support from the Yeonnabu(椽那部) power by appointing Myeonglimdapbu(明臨荅夫) as a minister and making him control Yangmaek(梁貊) even though he killed King Cha the Great. Meanwhile, he enforced a political solidarity with Sonobu(消奴部), a native power of Jolbon(卒本), as force that could check the Yeonnabu. However, he had to value the royal family of Gyerubu(桂婁部) over all the other things. Although the Gyerubu already became a royal family for 200 years from Jumong(朱蒙) as a founder to King Sin the Great, Sonobu, an ex-royal family, was holding memorial services to the founder's shrines at Jolbon even in the late 3rd century. Therefore, it was necessary for King Sin the Great to boast a superior type of memorial service to Sonobu. King Sin the Great was enthroned as the 8th king of Goguryeo(高句麗), the Gyerubu royal power formally gained the ancestral tablets of the past seven tombs. That is, the past memorial services to founders' shrines were ceremonies to recover the royal authority that fell as ex-kings were killed through appearance of the seven kings' tombs. In conclusion, it was understood that Goguryeo was able to make a stable government while maintaining a political balance between Yeonnabu and Sonobu. 신대왕은 차대왕의 시해라는 극단적인 계기로 즉위하였고, 왕실의 권위는 상당부분 실추되었다. 신대왕은 왕실의 권위를 고양하고 나부세력과의 유기적인 연대를 위한 여러 전략적인 고려를 하였다. 차대왕을 시해한 명림답부를 처형하지 않고 오히려 국상으로 삼고 양맥의 관할을 맡겨 연나부세력의 지원을 얻었다. 다른 한편으로는 연나부를 견제할 수 있는 세력으로서 졸본의 토착세력인 소노부와의 정치적 협력을 추진하였다. 그렇지만 계루부 왕실을 우위에 두어야 했다. 시조 주몽 이후 제8대 신대왕에 이르기까지 이미 200년이 되도록 계루부로 왕실이 교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버젓이 3세기 후엽에도 졸본에서는 前 왕실세력인 소노부가 종묘제사를 지내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신대왕은 여전히 종묘제사를 지내는 소노부보다 더 우월한 제사 형식을 과시할 필요가 있었다. 신대왕은 제8대 고구려 왕으로 즉위함으로써 계루부 왕권은 형식상 신대왕 이전 7대묘의 신위를 갖출 수 있게 되었다. 즉 신대왕대 시조묘 제사는 천자 7묘의 외양을 통해 前 왕이 시해된 현실에서 추락한 왕실의 권위를 회복할 수 있는 의식이었다. 이러한 노력으로 신대왕대 고구려는 연나부와 소노부와의 견제와 균형을 유지하면서 안정적인 정국 운영을 주도해 나갈 수 있었던 것으로 이해하였다.

      • KCI등재

        삼국사기 열전 인물 ‘黑齒常之’의 입전에 대한 검토

        최일례 호남사학회 2024 역사학연구 Vol.95 No.-

        흑치상지는 백제 멸망 후 당에 귀부하여 당이 토번과 돌궐을 경략하는 과정에서 큰 성과를 거두었지만 끝내는 반역을 도모했다는 무고로 죽게 되었다. 흑치상지가 아랫사람을 부리는 것에 은혜가 있었고 그로 인해 평판이좋아서 사람들은 그의 억울한 죽음을 슬퍼하였다. 이상의 내용은 구당서 와 신당서 그리고 삼국사기의 열전에 실려있다. 그러나 흑치상지의 행적은 그 성격을 간단히 정리하기 어렵다. 흑치상지는 ‘백제인으로 태어남→백제 멸망 후에는 당에 항복→다시 백제 부흥운동 활동→다시 당에 항복→백제 부흥운동세력 공격→당의 이민족 정벌전에서 무장으로서 큰 활약→무고죄로 억울한 죽음’을 당한 것으로 정리된다. 백제사의 입장에서 보면 흑치상지는 백제 부흥운동군을 궤멸시킨 인물이며 이는 결코내세울만한 행적으로 보기 어렵다. 바로 그런 흑치상지가 삼국사기 열전 4권의 충신, 명장 유형의 인물로입전된 것에는 여러 고려점이 반영된 것으로 보았다. 먼저 자료적인 측면에서 다수의 중국 사서에 그의 행적이 수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흑치상지는중국측 사서인 구당서와 신당서의 열전 인물로 입전되었고, 이외 자치통감, 책부원구 등의 사서에서도 무장으로서 세운 공훈들이 기록되었다. 다음으로는 자국을 배반하고 중국 왕조에 충성을 다하였지만 결국 억울한죽음을 맞이한 것을 보면서 자국사에 대한 애정과 권계를 나타내고자 의도한 것으로 이해하였다. Heukchi Sangji, after the fall of Baekje, surrendered to the Tang dynasty and achieved great success in Tang's campaigns against the Tibetan Empire and the Turks. However, he ultimately met his end due to a false accusation of plotting rebellion. Heukchi Sangji was known for his benevolence in treating his subordinates, which earned him a good reputation and caused people to mourn his unjust death. These accounts are recorded in the Old Book of Tang and the New Book of Tang biographies, as well as in the SamgukSagi biographi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simply summarize the actions of Heukchi Sangji. His life can be outlined as follows: born as a Baekje citizen → surrendered to Tang after the fall of Baekje → participated in the Baekje restoration movement → surrendered again to Tang → attacked the Baekje restoration forces →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as a military leader in Tang's campaigns against foreign tribes → met an unjust death due to false charges of treason. From the perspective of Baekje history, Heukchi Sangji is seen as a figure who annihilated the Baekje restoration army, which is hardly considered a commendable deed. The inclusion of Heukchi Sangji in volume 4 of the SamgukSagi, under the category of loyal ministers and renowned generals, reflects several considerations. Firstly, from a documentary perspective, his deeds are recorded in numerous Chinese historical texts. Heukchi Sangji appears as a biographical figure in the Old Book of Tang and the New Book of Tang, and his military achievements are also documented in other texts such as the ZizhiTongjian and the CheokbuWeonku. It was then understood as an intention to express love for one's own history and to offer a cautionary lesson by illustrating how someone who betrayed their own country and remained loyal to the Chinese dynasty ultimately met an unjust dea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