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역사회 보건간호 실습이 주민의 보건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가정방문의 효과에 대하여

        최인숙 최신의학사 1977 最新醫學 Vol.20 No.6

        This study is an attempt to evaluate the effects of nursing students' home visiting which was performed as a course of field experience in community health nursing by; 1. Comparing the level of change in women's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n health between the group who had received students' nursing care through home visiting and the other group who had not received home visiting. 2. Estimat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n health in 1974 and that of 1977 of total women, who had received home visiting and who had not received home visiting. In Sept. 1974, 137 housewives residing in Eungbong Apartment and 88 housewives residing in Eungbong-Dong area were interviewed regarding their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in four fields; maternal health, child health, family planning and the utilization of the community health center. In Feb. 1977, the same number of housewives were interviewed again according to the same questionnaire used in 1974. From 1974 to 1977 the women residing in Eungbong-Dong area received health service only when they came to the health clinic, while the women residing in Eungbong Apartment received health service in the health clinic and home visiting by the nursing student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mprovement rate of prenatal care in the group of respondents who had received home visiting is 15% greater than the other group. 2. Although even after students' service, the acceptance rate of prenatal care and of delivery by medical personnel was less than 50%, and this rate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3. The rate of respondents who had undesirable diet habits during pregnancy is not differential between the two groups. Between 1974 and 1977 there were 8.3% less women with wrong diet habits in the home visited group. During the same time there were 8.0% less women with wrong eating habits in the group which was not visited. 4. The increased rates of respondents who had fed the colostrum to their babies is more remarkable in the visited group, and of respondents who had used medical facilities when their children got sick is 9% higher in the visited group. 5. The improvement of the knowledge' and practice of vaccination is more evident in the group that had received home visiting. 6. The improvement rate of the knowledge about the types of contraceptives is more remarkable in the group who had received home visiting. However there were many women who had not use any contraceptive method (45.3%) when they were interviewed. 7. The use of the community health center is greater in the visited group. Between 1974 and 1977, there were 9% more women used the community health center in the visited group, while the same time there were 13% less women used that clinic in the non visited group. The well-baby clinic is the most frequently used area in the health center, 54.4% of the total number of women interviewed were used the well baby clinic.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의 전통문화교육 실태 및 유아교사의 인식

        최인숙,채진영,이강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2

        This study was conducted 1) to investigate the frequency of practice in order to see the actual condition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ccording to the type of ECEC workplace, and 2) to compare teachers’ perception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demographic background. Total 187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types of ECEC workplace tend to practice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once or twice every half-year,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frequency of practice regarding the subjects except traditional art.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eachers’ perception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according to their age, the period of working and types of workplace. Third, the result showed the knowledge degree of teachers in ECEC regarding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 also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age, the period of working and types of workplace.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전통문화교육 실태를 살펴보기 위해서 전통문화교육의 하위영역에 따라 실시빈도를 살펴보고 기관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유아교사의 전통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전통문화교육의 필요성 인식과 이해 수준을 확인하고 연령, 경력, 학력 및 근무기관유형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187부의 설문지가 분석되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유아교육기관에서 전통문화교육의 하위영역별 실시 빈도는 상/하반기 1~2회 실시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그리고 전통미술교육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기관유형별로 실시빈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개인특성에 따른 전통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에서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의 연령, 경력, 근무기관유형에 따라 전통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전통문화교육에 대한 이해 정도에서도 연령과 경력, 근무기관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육기관의 전통문화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여건을 조성하는데 필요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현대사회와 칸트의 윤리이론

        최인숙 아시아교정포럼 2008 교정담론 Vol.2 No.2

        오늘날 우리들은 그 어느 때보다도 발전된 사회 속에서 살고 있다. 경제적 불황이 전 지구적 상황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그래도 인간의 생활이 현재와 같이 풍요로웠던 적은 없었을 것이다. 그런데 이와 반비례적으로 지구상에는 끔찍한 일들이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다. 물질적으로 풍족한 때 왜 이렇게 삭막하고 무서운 일들이 일어나는 것일까? 이에 대해 사람들은 대체로, 그것은 윤리의식의 문제라고 진단하면서 윤리의식의 고취를 부르짖곤 한다.그러나 여기에서 우리들이 깊이 생각해 보아야 할 문제가 있다. 우리들은 부단히, 그리고 쉽사리 ‘윤리의식’의 고취를 부르짖지만, 다른 한편으로 사람들은 ‘윤리’라는 말 자체에 부담을 느끼며, 때로는 이 말을 듣기 싫은 훈계나 잔소리 정도로 생각한다는 점이다. 이것은 사람들이 ‘윤리’가 각자의 삶 자체라는 것을 제대로 인식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다. 도덕적 정체성을 통해서 비로소 인간의 정체성, 개인의 정체성이 성립한다는 것을 확실히 인식한다면, 누구나 윤리의식을 정립하는 일을 자신의 삶의 중심문제로 여길 것이다.이러한 문제의식과의 연관에서 우리들은 칸트의 윤리이론을 깊이 천착하여 자신의 윤리의식을 정립하는 데 중요한 근간으로 삼을 수 있다. 칸트는 인간이 다른 동물들과 근본적으로 구별된다고 보았고, 그 구별의 근거는 바로 이성에 있다고 했다. 우리들은 또 다른 본성인 이기심, 본능에 따라 부단히 기울어지는 경향성을 갖고 있는데, 이러한 경향성의 방향을 전환하여 이성이 명령하는 방향으로 자신을 강제할 때 인간은 비로소 ‘인간’이 될 수 있다고 한다. 이때 ‘인간이 됨’은 이성에 따라 ‘도덕적 인간이 됨’을 의미한다. 즉 칸트에서 인간의 본질은 ‘도덕’, ‘윤리’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의 ‘본질’로서의 도덕이기 때문에 도덕적 본질을 통해서만 인간은 비로소 인간이 되는 것이다. 도덕적 본질이란 인간을 인간 자체로, 목적 자체로 대하며, 모든 인간을 나와 동등한 본질을 지닌 존재로 다루고자 하는 마음을 말한다. 즉 인간 자체에 대한 존중, 인격으로서의 인간 대우, 이것이 인간의 본질에 따라 대하는 것이다. 나 자신이나 타인을 단지 나의 수단이 아니고, 목적 자체, 인격 자체로 대하고자 하는 데에서 우리 사회에는 끔찍한 일이 덜 일어날 것이고, 인격 자체로 대하고자 하는 마음들이 연대함으로써 지구적으로도 안정과 평화가 점진적으로 보장될 것이다. 막강한 무기력이나 경제력에 의해서보다도. In the contemporary society, we live much better than in the earlier times. Nonetheless, the contemporary society is much worse than the preceding times. I. e., there are endlessly brutal, violent events in the global society. And the part which has the more power, economically, militarily, and diplomatically, tries to exercise the power so easily and carelessly against the weak. We couldn't extinguish the attempt entirely which the strong tries to exercise against the weak. But we could try to protect against the weak, with solidarity. Here, we need to learn how to make a solidarity. Now for us in order to make a solidarity, we need to study ethical theories. For ethical theories handle the problems of human beings according to their nature. Kant's theory among ethical theories deals with the nature of human beings so profoundly and simultaneously realistically. Kant argues that we all want to be handled as humans in themselves, e.g. goal in itself. Here, humans in themselves, goal in itself means the personality itself. Human beings shouldn't be handled as animals in general. We all know it in us, through our mind immediately. But we often 'argue' that our actual life needs to make good use of each other, and thus we make good use of others, and ourselves for our own interest, with apology that the life is not so eas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영유아 교사의 대인관계 유능성 및 주관적 안녕감이 정서표현성에 미치는 영향

        최인숙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2022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 Vol.1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competence, subjective well-being, and emotional expressivenes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on emotional expressiveness.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341 teachers of infants and toddl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I and G cities. The research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ICQ, ESS, PANA and SWLS scales. Results of the study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interpersonal competence, subjective well-being, and emotional expression, it was found that among subjective well-being,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in addition to negative emotion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ubjective well-being on emotional expression, it was found that the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in part.

      • KCI등재
      • KCI등재

        유아의 신체상 변화에 관한 단기종단연구: 유아의 신체인식과 관련요인

        최인숙 한국보육지원학회 2019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5 No.6

        Objecti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body perception of young children using a short-term longitudinal design, then to investigate the factors related to their body perception. Methods: Participants were 65 preschool children and their mothers that were recruited from five institutions. An 11-month, two-time point longitudinal design was used in which children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to examine the changes in body perception. At the second time point, children were assessed with an additional measure to investigate self-esteem, and their mothers also reported on maternal factors and children's media experience through a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correlations and ANOVA. Results: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ecline of children's negative body perception over time. Children’s media experi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egative body perception. Mothers whose children showed higher body mass index (BMI) sent more verbal messages about their child's weight reduction. In addition, children's negative body percep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hysical self-esteem. Fi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only the physical self-esteem according to the level of children's body perception. Conclusion/Implications: The findings would sugges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support intervention and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the body image of young children.

      • KCI등재

        민화와 일러스트레이션의 기능적 역할에 관한 연구 - 민화의 유형별 상징성을 중심으로 -

        최인숙,남용현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0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1 No.24

        현대사회에서 전통민화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서 명맥을 유지해오고 있다. 그것은 많은 학자들에 의해 민화가 재평가되고 새롭게 시도 되어 지고 있기 때문이다. 민화연구가들에 의해 민화를 활용하여 대중에게 소개되는 서적과 전시회 등을 현대사회에서 흔히들 볼 수 있다. 민화의 화법은 역원근법으로 서양화법의 명암(明暗)과 투시원근법(透視遠近法), 일점원근법과 동양화의 원근법인 삼원법과도 다르다. 또한 민화는 은유와 환유, 직설화법, 과장과 생략, 사실과 상상이 어우러진 민화의 표현 양식도 다양하다. 200년전 민화는 종이뿐만 아니라 벽, 문, 장롱, 반닫이, 문틀, 여인의 옷고름과 치마, 꽃신 등 어디에나 등장했다. 그리고 그것이 갖는 상징적 의미도 각각 다르다. 이처럼 시대정신을 반영하면서도 다양한 표현 체계와 그려지는 대상에 따라 달리 해석되는 상징성을 가지고 있다. 민화의 분류별 상징적 표현 기능과 일러스트레이션과의 기능을 비교분석을 통하여 민화의 상징성을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단계를 모색하는데 의의를 들 수 있다. Traditional folk painting in today’s society are keeping the tradition according to changes of the times because they are reevaluated and newly attempted by many scholars. Today’s folk painting researchers often introduce books and exhibitions to the public by using folk tales. Drawing methods of folk paintings are different from shade and projection perspective of Western painting, linear perspective developed after the Western Renaissance, and a Samwon(three ways) method that is perspective of Oriental painting. In addition, folk paintings are various in terms of expression forms in harmony with metaphor and metonymy, a direct technique, exaggeration and omittance, and truth and imagination. Folk paintings were everywhere on the paper, wall, door, wardrobe, cabinet, doorframe, women’s coat string, skirt and flower shoes, and each of them have different symbolic meaning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ims to seek for the stage to use symbolic expressions of folk paintings practically by comparing and analyzing symbolism differently interpreted according to different objects of folk paintings, which reflect the spirit of the age yet have various expressions and objects, with illustration.

      • KCI등재

        TV광고의 발상과 표현 관계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

        최인숙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6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7 No.46

        본 연구는 광고가 지닌 표현의 표층을 따라가면서 문법을 찾아내고 그 문법이 심층적으로 어떤 메시지와 연결되어 있는지를 알아 내는 묵적을 지닌다. 그레마스의 기호학적 분석의 틀을 빌어와 이를 영상광고에 적용함으로써 연구의 목적을 달성 할 수 있었는데, 기호학적 분석은 겉으로 보이는 광고의 표현 이전에 어떤 발상이 존재하며 그 발상이 어떤 경로를 통하여 표현에까지 이르는지 알려주기 때문이다. 분석대상인 ‘아줌마가 간다’는 문법이 이중적으로 구성되어 복잡한 양상을 띤다. 이런 복잡한 광고를 분석함으로써 향후에는 단순한 문법을 지닌 것부터 복잡한 것까지 분석가능토록 유도한다. 분석광고는 ‘아줌마’를 광고 문법의 주어로 만들어 이야기를 이끌어가지만 실은 아줌마를 주어로 만든 또 다른 주어인 ‘제품’이 문법 자체를 이중으로 속박하고 있다. 즉 주어와 주체가 서로 다른 것이다. 광고의 메시지는 ‘아줌마가 간다’가 아니라 관절염이 있는 아줌마임에도 뛰어가게 만드는 것은 ’제품‘이라는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이런 메시지에 따라 디자인의 조형(색채, 구성)이 정체성 있게 배열되어 있다. 광고의 표현은 표현구조의 심층에 존재하는 발상의 움직임에 의해 구성된다는 것이 본 분석의 결론이다. 발상의 운동이 문법을 만들고, 문법이 내러티브를 만들며, 그것이 다시 디자인 표현을 만드는 것이다. 발상에 집중하여 디자인을 분석함으써 본 연구는 발상과 표현 사이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었으며 광고 메시지의 정체성을 언제라도 분석, 추출해 낼 수 있으며 향후 광고 제작에 일목요연한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회를 기대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how the relations existing between idea and expression in TV commercials. The basis of this study was to apply the semiotical analysis guideline of Greimas to the commercials of which ideas are embeded on their visual expressions, that is to say, deep meaning on the surface. Through an analysis on a Korean TV commercial('Azuma Goes, 2002), we are finding that the expression that exists after commercial idea utterances is not independent fron its idea, the ideology that exist prior to individual will or commercial expression. The commercial showed deeply that the product's value existed on the surface of the Azuma's which had not important message in comparaison with the product's. Commercial signification, therefore, is not producing a new meaning free from its socio-economic context, but merely transformation of meaning as a given one by ideologies into another meaning. In conclusion, the semiotic constraint on commercial expressions(utterances) is always the ideological constraint on human sign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