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창원(正倉院) [쇼소인] 금속공예의 연구 현황과 과제

        최응천,Choi, Eungchon 국립문화재연구원 2018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1 No.3

        쇼소인[정창원(正倉院)]은 일본 나라시내(내량시내(奈良市內)) 토다이지[동대사(東大寺)]의 후원 쪽에 위치하는 목조(木造)로 지어진 단독의 창고 건물을 가리킨다. 이곳에는 나라시대로부터 소장되기 시작한 약 9,000여점에 이르는 다종다양한 미술품과 문서를 소장하고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정창원 유물이 주목받는 까닭은 8세기 일본의 공예, 조각, 회화는 물론 사산조 페르시아, 인도와 같이 실크로드를 통해 건너온 물품과 당시 통일신라와 중국 당대에서 유입된 유물을 동시에 살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수백여점에 달하는 생생한 문서가 잘 보존되어 있어 당시의 사회 제반 상황은 물론이고 문화 외교의 교류사 및 불교 교리의 변천까지 아우르는 역사적 고증 자료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가 주목하는 것은 이러한 정창원 소장 유물이 과연 어느 시기에 어느 곳에서 제작된 것인가에 관한 문제로서 이들 중에는 중국에서 만들어져 수입되거나 선물로 받은 것도 있겠지만 백제나 통일신라에서 만들어져 정창원에 소장된 유물이 다수 전해지고 있어 그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이처럼 중요성을 지닌 정창원 관련 연구가 그동안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 정리된 적이 없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내 외 학자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정창원 금속공예의 연구 현황을 살펴보고 최근 한반도에서 출토되고 있는 금속공예품을 통해 이들이 지닌 정창원 유물과의 연관성을 검토해 보았다. 나아가 정창원 조사와 연구에 대해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한지 정창원 조사와 연구의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정리한 내용이다. 1, 정창원 소장 유물 조사를 위한 국가 차원의 지원 및 창구의 일원화 2. 정창원 소장 유물의 체계적인 목록화 작업 및 데이터베이스화 3. 일본과 공동 조사 연구의의 적극적인 시행 및 정창원 관련 연구자의 초청 4. 정창원 유물과 국내 보물급 유물의 교류 전시 추진 5. 정창원 관련 서적의 출판과 지원을 통한 연구 저변의 확대. The $Sh{\bar{o}}s{\bar{o}}-in$(正倉院) is the detached storage building for Japanese treasures that belongs to $T{\bar{o}}dai-ji$ in Nara, Japan. The reason why $Sh{\bar{o}}s{\bar{o}}-in$ collections are drawing attention is that Japanese artifacts, sculptures, paintings, and other objects that were introduced through the Silk Road, such as Sasanian Persia and India, and those that were introduced from the Unified Silla and Tang China. In addition, hundreds of well-preserved documents of $Sh{\bar{o}}s{\bar{o}}-in$ collections play an important role as a historical reference material covering not only the social situation of the time but also the history of exchange of cultural diplomacy and the change of Buddhist doctrine. In particular, some of collections of $Sh{\bar{o}}s{\bar{o}}-in$ were made in China and may have been imported or received as gifts, but many of the artifacts made in Baekje and Unified Silla are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This paper examined the research status of $Sh{\bar{o}}s{\bar{o}}-in$ metal crafts of Korean and foreign scholars, and examined the association with the relics of $Sh{\bar{o}}s{\bar{o}}-in$ through metal crafts excav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The research on the future direction of $Sh{\bar{o}}s{\bar{o}}-in$ collections sh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Systematization of state-level support and single window for the research of $Sh{\bar{o}}s{\bar{o}}-in$ collections 2. Accurate listing and database of $Sh{\bar{o}}s{\bar{o}}-in$ collections 3. The positive implementation of joint research with Japan and invitation of researchers related to $Sh{\bar{o}}s{\bar{o}}-in$ collections 4. The exchange exhibition between the Korean National Treasures and the $Sh{\bar{o}}s{\bar{o}}-in$ collections 5. Expansion of the research base through the publication and support of books related to $Sh{\bar{o}}s{\bar{o}}-in$ collections.

      • KCI등재

        운문사(雲門寺) 소장 불교공예품의 현황과 특징 고찰

        최응천 ( Choi Eungchon ) 한국불교미술사학회(한국미술사연구소) 2018 강좌미술사 Vol.50 No.-

        운문사에 소장된 공예품 가운데 작압전 출토 사리장엄구 일괄은 1987 년 10 월 작압전 해체 복원 당시 이곳에 봉안되어있던 석불좌상의 대좌 아래에서 발견된 것이다. 납석제 유개원합, 청동제 사리병, 숭덕칠년명 유제 뚜껑, 영락통보, 원형대소환옥, 소석편으로 구성되었다. 납석제 유개원합에 새겨진 명문을 통하여 사리합은 당시 탑에 2 과의 사리를 안치하고자 통일신라 경문왕 5 년인 865 년에 봉안된 것으로서 납석제로 제작된 점에서 통일신라 9 세기 중엽에 만들어진 일련의 신라 하대 사리기와 연맥을 같이한다. 안치된 청동제의 사리병은 고려 초기에 그 예가 많다는 점에서 이 사리병의 제작 시기에 대해서는 좀 더 검토가 요구된다. 또한 숭덕 7 년의 명문을 지닌 유제 뚜껑을 통해 조선시대 1645 년에 작압전에 대한 세 번째의 중수가 이루어졌으며 시주를 했던 10 명의 명단과 대목의 인명이 확인되어 조선중기 이후 운문사 중수 공사의 세세한 일면을 파악할 수 있다. 영락통보 동전이 함께 발견되는 것은 단순한 공양구라기 보다 중수 당시의 기념적 유물을 함께 넣은 것으로 짐작된다. 특히 운문사 사리기를 보호한 석조 사리외함이 운문사 작탑과 유사한 분황사 전탑 사리기 외함과 달리 백제식의 지하식 사리 장엄 방식을 따른 점에서 원 작압전의 건축 시기가 지금 알려진 것보다 훨씬 앞설 가능성도 제기된다. 운문사 공예품 가운데 가장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청동 항아리는 지금까지의 용도와 달리 뚜껑 위에 장식된 독특한 화염 보주형으로 미루어 사리기 내지 경통처럼 사리와 관련된 보관용기로 쓰였을 가능성을 제시해 보았다. 여기에 1067 년에 중수되었다는 명문의 내용은 이 화염보주를 중심으로 이루어진 것이라 추측되며 몸체는 그 이전에 만들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통일신라에 제작되었을 가능성이 있음을 밝혀보았다. 이 밖에 운문사 옥등은 비록 명문은 없지만 고려 후기의 작품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불연은 바닥에 기록된 조련기의 분석을 통해 1688 년에 중하연으로 만들어진 것임을 알 수 있으며 연을 제작한 사람은 화원 정심(淨心)이란 승장으로 파악되었다. 당시 연을 만들 때 조역승 200 여명이 동원된 사실을 기록하여 운문사의 사세 뿐 아니라 불사에 많은 승려들이 동원되고 있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전패는 조선후기 명문 있는 불전패와의 비교를 통하여 17 세기 후반쯤 제작된 삼전패(三殿牌) 가운데 하나일 가능성을 제시해 보았다. 또한 묵서명이 기록된 1682 년에 이말남(李唜男)에 의해 만들어진 목조 대경함과 1688 년에 만들어진 목조경상은 조선 후기 사찰 목공예품의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명문이 남아있지 않은 운문사 대종의 제작 시기는 19 세기 전반에서 중엽 쯤, 목어 역시 그와 유사한 19 세기 정도로 편년되었다. 운문사의 불교공예품은 비록 그 수량은 많지 않지만 통일신라의 사리장엄구와 청동 항아리와 같은 우리나라 공예사 연구에 빼 놓을 수 없는 매우 귀중한 작품이 남아있다는 점에서 운문사가 지닌 비중을 증명해 준다. The Sarira reliquaries of Unmunsa temple was founded in October 1987 under the pedestal of the seated Buddha at the time of the demolition of Jakapjeon hall. This sarira reliquaries consist of the bowl with lid made of agalmatolite, bronze bottle, the lid with inscription 'Chongde 7th, Yongle Tongbao(永樂通寶), and the small stone. According to the inscriptions on the bottom of the lid, this sarira reliquaries was enshrined to put two sarira in the stupa in 868, the fifth year of the reign of king Gyeongmun. It is likely that the bronze bottle inside stupa was made in the Goryeo period.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third renovation of the Jakapjeon hall was carried out in 1645 through the lid with inscription 'Chongde 7th. The Yongle Tongbao(永樂通寶) was considered to be the monument of the renovation. The most important bronze jar of all the buddhist crafts has been used as a sarira reliquary or a container related to sari like a sutra case. The inscriptions ‘had been repaired in 1067’ on the shoulder of the body shows that the repair was carried out centered on the flame ornament, the body was made in the Unifed Silla. The jade lantern of Unmunsa temple is supposed to be made in late Goryeo period. Of all the wooden crafts the buddhist palanquin that has a inscriptions was made in 1688. The man who made the buddhist palanquin was a monk craftsman, Jeongsim, and the two hundreds monk were joined to make a palanquin. The buddhist tablet of Unmunsa temple is supposed to be one of the three tablets for royal family made in 17th century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buddhist tablet with a inscriptions. Also the wooden sutra container made in 1682 and the wooden sutra table made in 1688 which were made by Lee Malnam. It is assumed that the big buddhist bell of Unmunsa temple without inscriptions made in the middle of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through the style comparison. It is also estimated that the wooden fish was made around the same time. Although the Buddhist artifacts of Unmunsa temple are not much in quantity, the works of Unmunsa temple is still very valuable in the history of Korean crafts such as the sarira reliquary of Unified Silla and bronze jar which proves the importance of Yunmuns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