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반복측정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통계패키지의 고찰

        최은숙,박태성,문경미 한국통계학회 1998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 Vol.5 No.1

        최근 들어 반복측정 자료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면서 이러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통계패키지가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연속형 반복측정 자료를 분석할 수 있는 통계모형들을 간단하게 개괄해보고 SAS, BMDP, S-PLUS, SPSS, MINITAB과 같은 통계 패키지 중에서 이러한 통계모형들을 다룰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정리해보고 그 특징들을 고찰해보았다. 그 중에서 특히 SAS의 PROC MIXED와 BMDP의 5V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 KCI등재

        직장여성의 심혈관계질환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최은숙,윤순녕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004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Vol.1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ardiovascular risk factors, their interaction, degree of cardiovascular risk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related fcators in women workers.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in 529 employed women in 36 workplaces from October 25, 2002 to December 12, 2002. The survey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by occupational health nurses working at work sites. Result: The result were as followings; The female workers had about 2 cardiovascular risk factors. 82.1% were not exercising more than 3 times a week, 45.9% reported noise-exposure, 38.2% had higher perceived stress, 25.4% were shift-workers, 10.4% were long-time workers(over 60hour/ week), 4.4% were frequent drinker, 3.9% were current smokers. The rate of obesity in measured as BMI greater than 25 was 4.0%. Many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ere correlated. Job-related and health behavior-relate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were correlated statistically. Expose to noise, reported perceived stress were powerful predictors in their degree of cardiovascular risk.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rdiovascular prevention programs for women in workplace should be designed as a multifactorial approach, which include stress management and job-related risk factor management as essential components to be effective in addressing the needs of the population.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 대상 아리랑 관련 문화교육의 현황과 교육 내용 설계

        최은숙 한국민요학회 2015 한국민요학 Vol.45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heck the of current Status Arirang-related cultural education and to design its educational contents. To design educational contents, cultural types were considered, and the interest of learners were noted. To check the present situation of Arirang-related cultural education, the importance and contents of Arirang education were examined using Korean textbook and Korean cultural books. Few Korean textbooks and Korean cultural educational books referred to Arirang. Arirang maintains the position as the typical symbol of a Korean race. In 2015, it was registered as Kore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was already registered as UNESCO cultural assets. It is time for us to take notice of Arirang as a major topic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In the meantime, the Arirang-related contents even in the textbooks and books mostly dealing with Korean cultural education are nothing but a degree of knowledge delivery. Accordingly, not only are educational effects insignificant, but also the education is nothing more than a level of unilaterally explaining terms, so that it is difficult for such education to induce the interest of learners. In addition, it is also hard to give education which can appropriately make use of the identity of Arirang. Therefore, this paper, as contents of cultural education related to Arirang, proposed cultural forms and quality of Arirang, Arirang as cultural contents, comparison of Arirang with worldwide folk songs, the meaning of word of Arirang and its symbolic meaning, and a variety of educational contents through Arirang editorial. Also, it stratified those contents by cultural areas and level. As the necessity of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education is stressed, the discussion about publishment of teaching cultural materials and selection of education contents is being active. Considering these situations, it is the time to re-check our traditional culture that constitutes important educational contents of cultural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discussion mostly referring to Arirang in this paper can be important issues in this flow. 본고의 목적은 아리랑 관련 문화교육의 필요성과 현황을 점검하고 그것의 체계적이고 바람직한 교육내용을 설계하는 것이다. 체계적인 교육 내용을 설계하기 위하여 문화 유형을 고려하였으며, 실제적인 교육 내용을 설계하기 위해 학습자의 요구와 흥미를 주목하였다. 아리랑 관련 문화교육의 필요성과 현황을 점검하기 위하여 한국어교재 및 한국문화 관련 서적을 대상으로 아리랑 교육의 비중과 내용을 살펴보았다. 의사소통교육을 위한 한국어교재와 한국문화교육을 주로 하는 관련 서적을 통해서 전통문화 및 예술 부분을 주목한 결과 아리랑에 대한 언급은 미비함을 확인하였다. 아리랑은 대표적인 한국민족상징으로서 위상을 확보하고 있다. 그리고 2015년 한국국가중요무형문화재로 등재되었고, 이미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한국문화교육의 주된 제재로 아리랑을 주목해야 할 때이다. 한편 한국문화교육을 주로 다루고 있는 교재 및 서적에서조차 아리랑 관련 내용은 지식전달의 수준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유학생 중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과 일본 등 동아시아 학생들의 배경지식 정도에 머무르는 내용이다. 따라서 교육의 효과도 미비할 뿐 아니라 일방적 용어설명 정도의 수준에 그칠 수밖에 없어 학습자의 동기 및 흥미를 유발하기에 부족하다. 그리고 아리랑의 정체성과 장르성을 제대로 살린 교육도 이루어지기 힘들다. 이에 본고는 아리랑 관련 문화교육의 내용으로 아리랑의 문화형질, 문화콘텐츠로서 아리랑의 장르성, 아리랑과 세계민요와의 비교, 아리랑의 말뜻과 상징적 의미, 그리고 아리랑 사설을 통한 다양한 교육내용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내용을 문화영역별․수준별로 위계화 하였다. 한국어교육에서 문화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문화교재편찬 및 교육내용 선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문화교육의 중요한 교육내용이 되는 전통문화에 대한 재점검이 필요한 시기이다. 아리랑을 중심으로 한 본고의 논의가 이러한 흐름에 중요한 문제제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최은숙,김경숙 지역사회간호학회 2010 지역사회간호학회지 Vol.21 No.2

        Purpose: The study evaluated the determinants of caregiving self-efficacy among dementia caregiv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from dementia sufferers and caregivers by nurses or social workers caring for dementia sufferers at health centers during July to September 2007.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using SAS Version 9.1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caregiving selfefficacy. Results: Factors affecting caregiving self-efficacy were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age of dementia sufferer. Conclusion: To increase dementia caregivers' self-efficacy, there is a need to reduce difficulties of dementia caregivers in caring BPSD and increasing the ADL level of dementia sufferers by providing guidelines of care and intervention programs for BPSD and ADL management.

      • KCI등재
      • KCI등재

        일상생활활동에 대한 뇌졸중 환자 능력과 보호자 인식의 비교

        최은숙,박주헌,고준,박도훈,이승희,홍기훈,이춘엽 대한작업치료학회 2016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4 No.4

        목적 : 본 연구는 일상생활활동에 대해 환자의 능력과 보호자의 인식을 비교해봄으로써 뇌졸중 환자가 점차 독립적인 생활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효율적인 재활중재가 필요함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부산, 대구, 거제에서 재활치료 중인 뇌졸중 환자 및 보호자 각각 95명을 대상으로 한글판 수정바델지수(Korea Modified Barthel Index; K-MBI)를 이용하여 일상생활활동 평가를 실시하였다. 환자의 능력에 대해 연구자가 직접 관찰하고, 보호자의 인식에 대해 보호자가 충분한 설명을 들은 후 문서에 기입하도록 하였다. 환자의 능력과 보호자의 인식 비교를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 일상생활활동에 대해 환자의 능력과 보호자의 인식을 비교해본 결과 보호자가 인식하는 것보다 환자의 능력이 더 좋은 경우 환자의 능력은 78.65±14.55점, 보호자의 인식은 70.89±15.35점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p<.05), 보호자가 인식하는 것보다 환자의 능력이 더 좋지 않은 경우에도 환자의 능력은 69.63±9.82점, 보호자의 인식은 76.11±10.72점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5). 결론 : 연구결과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능력과 보호자가 생각하는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능력 간에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환자의 독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 방안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real ability of stroke patients with the awareness of their caregiver in terms of the patients’ ADL ability. Methods : For the present study, the Korean Modified Barthel Index(K-MBI) was used. It was executed for 95 stroke patients and caregivers. The researchers observed the ADL of the patients, and caregivers filled out a document.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 When the real ADL ability of a patient is better than the awareness of the caregiver,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was shown. For the real ADL ability of the patient,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s are 78.65±14.55, and for the awareness of the caregiver,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s are 70.89±15.35. When the awareness of the caregiver is better than the real ADL ability of the patien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5) was shown. In this case, for the real ADL ability of the patient,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s are 69.63±9.82, and for the awareness of the caregiver,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s are 76.11±10.72. Conclusion : The results show that the real ADL ability of a patient and the awareness of their caregiver are different. We suggest that a further study is needed to come up with detailed measures for improving the independence of the patients.

      • KCI등재
      • 간호사를 위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과정 개발

        최은숙,김현숙,이소우,유양숙,Choi, Eun-Sook,Kim, Hyun-Sook,Lee, So-Woo,Yoo, Yang-Sook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 2006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Vol.9 No.2

        목적: 호스피스 완화간호 실무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간호사를 위한 호스피스 완화의료 기본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함이다. 방법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국내외 호스피스 완화의료 7개 교육과정의 내용을 비교하였으며, 전국의 호스피스 완화의료 기관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162명에게 우편으로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결과: 1. 국내외 교육과정에서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는 내용은 호스피스 완화요법의 이해, 삶과 죽음의 이해, 말기 환자의 통증 및 증상관리, 기관견학 및 실습, 호스피스 병동 운영의 실제, 가정 호스피스, 건강사정(신체사정), 치료적 의사소통, 아동 호스피스, 호스피스 운영관리, 호스피스 완화의료 팀, 호스피스 완화의료의 윤리와 법, 심리적 사회적 영적 돌봄, 임종 관리, 사별가족관리 등이었다. 2. 간호사의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교육 요구도가 3.5점 이상인 문항은 34개였다. 교육 요구도가 높았던 문항은 '죽음의 이해 ', '죽음에 대한 태도와 반응', '통증의 이해와 평가' 등이었고, 이전에 교육받은 경험이 많았던 문항은 '통증 및 증상완화', '호스피스의 윤리와 법', '호스피스 협력 및 홍보체계 구축'이었다. 3. 17개 내용을 강의, 토론 및 증례 등의 교육방법을 통하여 이론교육 48시간과 실습교육 30시간, 총 78시간의 기본 교육과정 을 구성하였다. 결론: 앞으로 개발된 교육과정으로 교육을 시행하여 효과를 평가하고, 호스피스 완화의료기관 실무자들의 교육 요구도를 정기적으로 파악하여 실무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표준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basic curriculum for the nurses who work at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ttings. Methods: Seven curricula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or the nurse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were reviewed, and Education Need for hospice and palliative care was surveyed from 162 nurses by mailing the questionnaires to hospice palliative care settings. Results: 1. The curricula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or the nurse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in common include 'understanding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understanding of lift and death', 'pain and symptom management for person with terminal disease', 'on-the-spot study and practical training', 'management of hospice and palliative ward',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t home', 'physical assessment', 'therapeutic communication skills', 'children's hospice',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terdisciplinary team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ethics and law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psychological, social and spiritual care', 'care of the dying', 'bereavement care', etc. 2. The scores above 3.3 were marked for 34 items in education Need Survey. The highest scores were given in the order for the items 'understanding of death and dying', 'attitude and response to death and dying', 'understanding and assessment of pain' etc. respondents marked that they have been trained for 'pain and symptom management', 'ethics and law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building the system for cooperation and publicity activities in hospice' etc. 3. The basic curriculum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or the nurses requires 78 studying hours for 17 subjects, comprising 48 hours of theory education and 30 hours of practical training. The education methods are lectures, discussions, and case studies. Conclusion: The efforts of developed basic curriculum should be evaluated after educating nurs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standard curriculum and regularly update it based on the result of education Need Survey for actively working nurse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set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