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불교 포교를 위한 민족지 연구방법 활용에 대한 고찰 : 불교 포교의 관점에서 본 문화인류학

        최윤희(효석) 동국대학교 종학연구소 2020 宗學硏究 Vol.4 No.-

        불교포교사는 동시대의 사람들에게 붓다의 가르침을 전하는 일을하는 사람들이다. 포교사는 붓다의 가르침을 사람들에게 전하기 위해포교 대상의 문화와 특성을 먼저 연구해야 한다. 문화는 사람들이 정신작용을 통해 만들어낸 모든 제도와 사상, 물질을 통틀어서 말하는것이다. 포교 연구는 바로 현지조사를 통해 사람들로부터 답을 찾아내는 일이다. 현지조사는 낯선 장소에서 낯선 사람들을 만나는 것부터 시작된다. 포교사가 포교를 위해 낯선 사람들을 만났을 때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친근감 즉 라포(rapport)를 조성하는 일이다. 문화인류학자들은 라포를 조성하기 위해 사전에 현지인들의 언어를 습득하고 그들의 관습과 예절을 우선적으로 익힌다. 그런 후에 참여관찰과 면담을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질적 분석과 해석을 한다. 포교사와 문화인류학자는 추구하는 지향점과 방법론에서 유사한점이 많다. 포교사의 목표는 붓다가 설하신 고(苦)과 고로부터의 해방의 가르침을 널리 홍포하여 사람들을 행복하고 이익 되게 하는 것이며, 문화인류학자의 목표는 문화상대주의적인 관점으로 다른 문화를배우고 익혀 서로의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다툼을 줄여 화합하게하는 것이다. 본 소고의 목적은 문화인류학자들이 현지에서 활용하고 있는 민족지 연구방법들을 포교사가 어떻게 포교에 활용할까를 연구하기 위함이다.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해서 문화인류학적으로 어떻게 접근해야 하고, 포교일선에서 이러한 방법들을 어떻게 활용할수 있을지를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논문에서 포교와 문화인류학의 개념과 역사를 먼저 짚어보고, 포교를 위한 민족지 연구 방법을제시하고 난 후에 포교사와 문화인류학자의 역할을 비교분석하여 민족지적 연구방법이 포교에 적극 활용되어야 함을 고찰한다. A buddhist missionary is a person who works to convey the teachings of the Buddha to contemporaries. So the missionary should study the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of the mission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 people. Culture is all about the institutions, ideas, and materials that people have created through mental action. Missionary work research is the process of finding answers from people through field surveys. Field surveys begin when a missionary meets strangers in an unfamiliar place. When a missionary meets strangers for the mission, the first thing to do is to create rapport. Cultural anthropologists learn the language of the locals in advance and learn their customs and manners in advance in order to create the rapport. After that, data is collected through participating observation and interview, and qualitativ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are carried out. The missionaries and cultural anthropologists have a lot in common with the pursuits and methodologies. The goal of the missionary is to expose the Buddha's teachings of the suffering and the liberation from the suffering and to make people happy and profitable. The goal of cultural anthropologists is to learn different cultures from a cultural relativistic perspective and respect other culture, reduce contention and harmoniz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how anthropologists use the research methods that are being used locally by the missionary for mission work. The purpose is to study how to approach cultural anthropologically in order to broaden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es and how to use these methods on the frontline of mission. In this paper, we will examine the concepts and history of missionary and cultural anthropology first, and after presenting cultural anthropological methods for missionary work, we will compare and analyze the role of missionary and cultural anthropologist to examine how anthropological methodology can be used in missionary work.

      • KCI등재
      • KCI등재

        영어 이해/표현 영역 시행 순서의 변화가 시험 수행에 미치는 영향

        민호기(Min, Hoky),최윤희(Choe, Yoonhee),박용(Park, Yonghyo)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13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20 No.3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the change in order of the mode in the National English Ability Test (NEAT) influences the performance of the test takers. The same group of test takers (N = 41) were given two versions of the NEAT of the same difficulty, but with different administration orders with the interval of two days. The first version of the test was given in the order of the receptive mode (listening and reading sections) and the productive mode (speaking and writing sections), and the second version was given the other way around (the productive mode and receptive mode). The performance was compared between the two administrations. According to the series of paired t-test results, significant score difference was found only in the listening section. The test takers scored higher when the listening section was given first. In addition, the test takers' performance level was compared between the two administrations. The chi-square tests showed that the ratios of the performance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in each of the four sections.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