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대 말을 철석같이 믿었었는데… 거짓말 거짓말 거짓말”

        최윤형(Choi, Yoonhyeung),변혜민(Byeon, Hyemi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7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9 No.2

        식품 위해에 대한 소비자의 불안 심리와 건강에 대한 높은 관심도를 활용하여 무첨가를 전면에 내세운 무첨가 표기 광고가 다양한 식품군에서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언론과 소비자단체의 비판을 받아온 일부 무첨가 표기 광고의 소비자 오도 가능성 및 기만성에 주목하고 무첨가 표기 광고의 기만성을 실증 실험 연구를 통해 검증해 보았다. 광고의 기만성 정도에 따라 실험물을 2개 수준으로 조작하여(1유형: ‘3無첨가’ + ‘더 건강한’ 표기; 2유형: ‘3無첨가’ 표기; 3유형: 통제군) 살펴본 결과, 기만성이 가장 높게 조작된 광고에 노출된 참가자들이 타 그룹에 비해 제품신뢰도, 제품 안전성, 구매 의도 및 프리미엄 가격 지불 의도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그리고 심리적 불안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한편, 개인 변인인 광고의 기만성 인지와 건강 관심도가 높을수록 소비자들이 광고를 더 객관적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무첨가 표기 광고의 기만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데 의미가 있으며 이 연구 결과를 토대로 기만 광고의 규제 및 처벌 기준 강화, 그리고 식품 표시 제도의 정책 변화를 촉구하는 준거 자료가 될 수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Consumer interest groups and media have pointed out potential problems involving the practices of food advertisements that falsely claim that their products do not contain artificial additives. Unfortunately, there is insufficient empirical support for this argument to ask for regulation of such practice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test whether the potentially deceptive practices of food advertisement indeed deceive consumers. The secondary purpose is to test whether individual variables such as health consciousness and consumer awareness can keep consumers from believing deceptive advertisements. The result confirms our hypotheses. Consumers who were exposed to food advertisements in this study were found to perceive the advertised products more favorably than did those in the control group. Individual variables also were found to affect the outcomes; consumers with a higher awareness of deceptive advertisement and who were health conscious perceived advertisements more objectively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문화를 고려한 위기커뮤니케이션 위기 책임성이 모든 것을 설명하지 않을 때

        최윤형 ( Yoonhyeung Choi ) 한국PR학회 2017 PR연구 Vol.21 No.1

        Multinational corporations (MNCs) are facing an increasingly challenging business environment. Most significant is such firms` failure to understand the cultural context of host nations as such failures could cause crises. This study brings a cultural context to situational crisis communication theory (SCCT) by exploring variables that influence crisis response decision making in Korea. In-depth interviews with ten public relations managers working for the top 20 Korean food companies revealed that-contrary to what SCCT suggests-factors other than responsibility influence crisis response decision making. In particular, anti- chaebol sentiment, public opinion, and media influenced crisis responses, often overriding crisis responsibility considerations.

      • KCI등재

        확진보다 무서운 낙인? 유행시기별 코로나19 보도 헤드라인에 나타난 낙인 양상 분석

        오준혁(JunHyeok Oh),이보윤(BoYoon Lee),최미연(MiYeon Choi),최윤형(YoonHyeung Choi) 한국광고홍보학회 2023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5 No.1

        한국의 사회동향 조사(2020)에 따르면, 대다수 국민은 코로나19 확진보다 코로나 낙인에 대한 두려움이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본 연구는 이러한 감염병 낙인 문제에 초점을 두고 코로나19 발생 첫1년(2019년 12월 31일~2021년 1월 31일)의 기간 동안 주요 일간지 헤드라인에 나타난 코로나19 보도를 내용 분석하였다. 해당 시기 주요 사건, 방역 정책, 정부 메시지, 감염자 및 사망자 수 등 맥락을 포함한 5개의 유행시기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전체 분석 헤드라인 중 66.5%에서 낙인 표현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고 낙인 표현은 전 유행시기에 걸쳐 꾸준히 60%이상의 높은 빈도를 보였다. 가장 빈번히 사용된 낙인 요소는 공포감유발(53.6%), 라벨링(28.9%), 책임귀인(16.2%), 표시(1.3%) 순으로 나타났으며 낙인 표현의 주된 대상 및 내용은 유행시기별 주요 사건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전체적인 방역 정책의 변화, 정부 메시지 등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채 특정 집단에게 코로나19 관련 낙인 표현이 집중된 패턴이(예: 신천지, 이태원 관련, 교회) 확인되기도 했다. 본 연구는 감염병 보도에서 반복되는 낙인요소를 비교적 긴 스펙트럼으로 맥락을 고려하여 분석했다는 점, 그리고 법적 · 자율적 규제의 필요성을 환기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According to the Korean Social trends(2020), it was seen that majority of people feared the stigma of getting infected with COVID-19 more than the fear of being infected. This study analyzes the headlines of news reports of major daily newspapers during the first year of outbreak. Results showed that 66.5% of the healines analyzed in this study used expressions associated with stigma, and this pattern appeared around 60% through the entire epidemic period. Most frequently used stigma factors were Peril(53.6%), Labeling(28.9%), Responsibility(16.2%), and Mark(1.3%). In particular, the patterns of stigmatization related to COVID-19 were concentrated on specific groups(e.g., Shincheonji, Itaewon, churches) without considering the contexts such as changes in the overall quarantine policy and government’s message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