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en Thousand Consecutive Gastrectomies for Gastric Cancer: Perspectives of a Master Surgeon

        최윤영,조민아,권인규,손태일,김형일,최승호,정재호,형우진 연세대학교의과대학 2019 Yonsei medical journal Vol.60 No.3

        As radical gastrectomy with lymph node dissection is currently the best strategy to cure gastric cancer, the role of the surgeon remainsquite important in conquering it. Dr. Sung Hoon Noh, a surgeon and surgical oncologist specializing in gastric cancer, hastreated gastric cancer for 30 years and has conducted over 10000 cases of gastrectomy for gastric cancer. He first adapted an electrocauterydevice into gastric cancer surgery and has led standardization of surgical procedures, including spleen preserving gastrectomy. His procedures based on patient-oriented insights have become the basis of the concept of enhanced recovery aftersurgery. He has also contributed to improving patient’s survival through adoption of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he proved thebenefit of adjuvant chemotherapy after radical D2 gastrectomy for stage II/III gastric cancer in clinical trials, updating treatmentguidelines throughout the world. Dr. Noh also opened the era of precision medicine for treating gastric cancer, as he developedand validated a mRNA expression based algorithm to predict prognosis and response to chemotherapy. This article reviews hiscontribution and long history of service in the field of gastric cancer. The perspectives of this master surgeon, based on his profoundexperience and insights, will outline directions for integrative multidisciplinary health care and how can surgeons preparefor the future.

      • KCI등재

        사회불안장애에 대한 이미지 재구성 치료와 강화된 이미지 재구성 치료의 효과 비교

        최윤영,권정혜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2021 인지행동치료 Vol.21 No.2

        본 연구에서는 사회불안장애에 대한 이미지 재구성 치료(IR 단독)와 강화된 이미지 재구성 미래심상치료(IR 미 래심상)의 치료효과를 비교 검증하였다. 사전평가와 면접을 통해 임상적 수준의 사회불안을 경험하는 참여자 를 선발하였고, 총 63명이 IR 단독치료(n = 22), IR 미래심상치료(n = 24), 무처치 통제집단(n = 17)에 무선할 당 되었다. IR 단독집단(n = 22)은 심상면접을 포함한 총 4회기의 IR 치료를 받았고, IR 미래심상집단은 심상 면접을 포함한 총 2회기의 IR 치료와 2회기의 미래심상치료를 4주간 받았다. 두 치료집단에 치료 종결 및 3개 월 후 자기보고식 검사를 실시하였고 무처치 통제집단에 사전 및 사후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두 치료 집단 모두 치료 후 사회불안, 부정적 자기개념, 사후반추에서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고, 사회불안 수용행동, 자 기기억 긍정정서에서 유의한 개선을 보였으며 3개월 후에도 효과가 유지되었다. 치료 전후 사회불안 증상에 대한 신뢰로운 변화 및 임상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살펴본 결과, IR 단독치료에서 치료 후 치료 반응자 비율은 86.4%(3개월 후 100%), 임상적으로 유의한 변화의 비율은 58%(3개월 후 83.3%%)에 이르렀고, IR 미래심상치료 에서 치료 후 치료 반응자 비율은 91.7%(3개월 후 100%), 임상적으로 유의한 변화의 비율은 95.5%(3개월 후 100%)로 효과가 향상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두 치료집단 모두에서 치료적 이득의 공고화 및 장기적인 임상적 유용성을 시사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we compared the treatment effects of Image Rescripting(IR only) and enhanced Image Rescripting with positive self-future imagery(enhanced IR FI) on social anxiety disorder. IR only and enhanced IR FI for social anxiety disorder were compared with no-treatment control. Study 1 examined the effects of IR and enhanced IR FI on social anxiety disorder. A total of 63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IR only, enhanced IR FI, and no-treatment control group. The IR only group received a total of four sessions of Image Rescripting once a week, including an imagery interview. The enhanced IR FI group received two sessions of Image Rescripting, including an image interview and two sessions of the positive self-future imagery therapy. The two treatment groups completed the self-report test after each treatment and three months later. The No-treatment group completed the self-report test at pre-evaluation and after four week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social anxiety symptoms, negative and positive self-concept, post-event rumination, social anxiety acceptance behavior, and positive self-memory emotion. In the IR only group, the treatment effects were improved. After treatment, the percentage of treatment respondents(Reliable Change; RC) was 86.4% and clinically significant change(CSC) was 58%. After three months, the RC rate was 100% and the CSC rate was 83.3%. In the enhanced IR FI group, the RC rate was 91.7% and the CSC rate was 95.5%. After three months, the RC rate and CSC rate were both 100%. These results suggest that both treatment groups have a long-term clinical utility and a consolidation of therapeutic benefi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RC and CSC between the two groups.

      • KCI등재

        생도생활 스트레스와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윤영 한국임상심리학회 2021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7 No.2

        본 연구에서는 육군사관학교 생도가 경험하는 생도생활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매개하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자기자비가 조절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육군사관학교 생도 1,054명을 대상으로 생도생활 스트레스 요인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 우울 척도, 자기자비 척도를 실시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도생활 스트레스,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우울, 자기자비 간 상호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매개효과 검증결과, 생도생활 스트레스가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정적으로 부분매개하였다. 셋째,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우울 간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검증결과, 자기자비는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유의한 상호작용을 나타냈다. 넷째, SPSS PROCESS Macro (version 3.5)를 이용하여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생도생활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를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이 매개하고,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 우울의 관계가 자기자비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고 생도 정신건강 향상과 적응 및 후속 연구의 시사점에 대해 논하였다.

      • KCI등재

        모유수유와 유아기 우식증과의 관련성: 국민건강보험공단 영유아 구강검진 자료 분석

        최윤영,Choi, Yoon-Young 한국치위생학회 2021 한국치위생학회지 Vol.21 No.2

        Objective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breastfeeding on the occurrence of early childhood caries in Korean infants and toddlers. Methods: Data on oral examinations of infants and toddlers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were analyzed. The study subjects wer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both the first, second, and third oral examinations and the first general health examination in 2008-2017 (n=142,185). Based on the responses to the questionnaire,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breastfeeding, formula feeding, and mixed feeding groups. The participants were monitored for the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caries in three sequential oral examinations. Results: Based on the oral examination results conducted at 54-65 months old, the decayed-filled teeth index of the breastfeeding group was the highest (2.03±3.08), followed by the mixed (1.96±3.03) and the formula feeding groups (1.82±2.91). The Cox proportional hazard regression model including all the variables showed that the risk of developing dental carie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formula (hazard ratio [HR], 0.85) and mixed feeding groups (HR, 0.91) than in the breastfeeding group. Conclusions: Breastfeeding children have a higher risk of early childhood caries; therefore, oral hygiene education and regular dental check-ups are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