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반도 거주 일본인의 패전 직후 단체 활동

        최영호 동의대학교 인문사회연구소 2010 인간과 문화 연구 Vol.17 No.-

        본 논문은 식민지 시기 한반도에 거주하던 일본인의 단체활동으로서 패전 직후에 한반도에서 결성된 ‘세화회’와 그 후속으로 일본에서 결성된 ‘조선인양동포세화회’의 존재와 활동을 소개하는 것이다. 특히 세화회의 기관지《인양동포(引揚同胞)》의 내용에서, 한반도에서 일본으로 귀환한 사람들의 주된 관심사가 무엇이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때 1946년 4월부터 10월까지의 기간에 한하여 기관지 내용을 조사했다. 이것은 그 시기가 귀환 직후 시기이기도 하고 귀환자의 다양한 관심사가 단체에 제기되는 시기이기도 했기 때문이다. 그 후로는 다른 지역에서 귀환한 사람들의 단체와 연계하여 일반적인 권익 추구 활동에 전념해 나갔다. 1946년 11월 ‘귀환자 단체 전국연합회’가 출범하자 세화회는 그 단체의 산하에 들어갔고 세화회 회장 호즈미 신로쿠로(穂積真六郎)는 이 단체의 이사장으로 연합회 활동에 주력함으로써 되었다. ‘세화회’의 단체 활동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귀환자들이 일본에 귀환한 직후에 품고 있던 주요 관심사는 한반도에 남아있는 일본인의 조기 철수 문제와 한반도에 두고 온 재산의 보상 문제, 그리고 귀환자들의 일본 정착을 위한 권익 보호 문제 등이었다. 주요 관심사를 본 논문에서는 (1) 북한 지역에 남겨진 일본인과의 접촉 문제, (2) 귀농 문제, (3) 관공서 관리의 처우 문제, (4) 한반도 재산 문제, (5) 재정 문제, (6) 호적과 국적 문제, (7) 자격증 및 학력 인정 문제, (8) 치료와 요양의 문제로 나누어 기관지 내용에서 각각 실증해 냈다. 귀환 과정에서 세화회가 남긴 ‘회보’에서는 과거의 식민지 지배에 대하여, 조선 사람과 고락을 함께 해 왔다는 인식, 식민지의 시절과 자연을 그리워하는 인식, 식민지 지배와 결별의 현실을 받아들이려는 인식, 식민지 지배를 미화하는 인식과 함께 일부 식민지 지배를 반성한다는 인식을 엿볼 수가 있다. 그러나 귀환을 마친 일본인을 대변하는 ‘귀환 동포’에서는 과거 식민지 지배에 대한 반성의 인식은 찾아볼 수 없다. 本論文は、敗戦直後における在朝日本人の団体活動として、朝鮮半島での世話会の続きとして、日本での'朝鮮引揚同胞世話会'の存在と活動を紹介するものである。特に、世話会の機関誌《引揚同胞》の内容から、朝鮮半島から日本へ引揚た人々の主な関心事が何であったかを探ってみた。ただ、1946年4月から10月までの期間に限って《引揚同胞》を調べた。これは、その時期は引揚直後の時期でもあり、引揚者から多様な関心事が団体に寄せられる時期であったからである。代わりにその後は、他の地域からの引揚者の団体と連携し、共通の権益追求活動に専念していくのである。1946年11月‘引揚者団体全国連合会’が発足するや、世話会はその団体の傘下に入り、世話会の会長穂積真六郎は、その団体の理事長として連合会の活動に注力することになった。 世話会の団体活動として表われた、引揚者が日本へ引揚た直後に抱いていた主な関心事は、朝鮮半島に残っている日本人の早期引揚問題や、朝鮮半島に置いてきた財産の補償問題、それから引揚者の日本定着のための権益保護問題などであった。主な関心事を、本論文では、(1)北朝鮮地域に残された日本人との連絡問題、(2)帰農の問題、(3)官吏・公吏の処遇問題、(4)朝鮮半島の財産問題、(5)金融問題、(6)戸籍や国籍問題、(7)資格証と学歴認定の問題、(8)治療と療養の問題に分け、機関誌の内容から各々実証した。 なお、機関誌の内容から、朝鮮半島の財産への強い執着に比べ、過去植民地支配に対する反省は全然表われなかったことが確認できる。引揚の過程で朝鮮半島の世話会が残した《會報》からは、過去の植民地支配に対して、朝鮮人とともに苦しみ楽しんできたという認識、植民地の時と自然を懐かしむという認識、植民地支配との決別の現実を受け入れようという認識、植民地支配を美化する認識とともに、一部植民地支配を反省するという認識が窺えるが、引揚た日本人を代弁する《引揚同胞》からは、植民地支配への反省の認識は一切見出すことができない。

      • 고려시대 송나라 해상 무역 상인의 활동 시기와 양상

        최영호 동의대학교 인문사회연구소 2010 인간과 문화 연구 Vol.16 No.-

        본 논문은 송나라 해상 무역 상인들이 고려사회에서 활동한 시기를 재검토하는 한편, 그들의 출신 지역과 활동 양상을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고려와 송나라의 해상 무역이 현종 3년(1012)부터 충렬왕 4년(1278)까지 전개되었다고 하였다. 그러나 송나라의 해상 무역 상인들은 송나라의 건국 초기인 10세기 중기부터 고려사회를 드나들기 시작하여 송나라의 멸망 당해 연도인 충렬왕 5년까지 지속적으로 활동하였다. 이들은 고려와 송나라의 외교 관계나 자국의 해상 무역 금지 정책 및 정치적 위기 상황에도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고려사회에서 해상무역 활동을 전개하였다. 이들 대부분은 송나라의 건국 전후에도 국제 해상 무역의 중심지로 발전한 泉州․台州․福州․明州․南楚․廣南․溫州․務州 지역의 출신이었다. 이로써 고려사회에는 10세기 중엽 이래 다양한 국제 교역 물품의 수입과 함께 이 지역의 유․불 지식인이나 전문 기술 인력과 선진 문화도 수용할 수 있었다. 이들 해상 무역 상인들은 무역물품의 교역이라는 경제적인 영역 이외, 정치․사회․문화적 교섭 등의 영역에서도 중요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들은 의약 및 무기․공예품의 재료와 함께 불교 경판․경전이나 백과사전류 등 다양한 문물을 유입시켰다. 이 경판이나 서적들은 고려사회의 불교 연구와 유학 진흥 및 출판 인쇄술을 발전시켰으며, 왕권과 통치 규범의 확립에도 활용되었다. 그리고 이들은 고려의 불교문화를 일본으로 전달하는 등 고려․송․일본을 연결하는 문화 교섭을 중개하기도 하였다. 또한 이들은 여․송 외교관계에 관여하였으며, 송나라와 고려의 문인․승려 지식인․전문 기술 인력과 사신 일행을 수송하기도 하였다. 한편 그들 가운데 일부는 고려의 관리로 임명되는 등 고려 국내 정치에도 참여하였다. 撰寫本文的目的在於一方面再探討宋朝海上貿易商人在高麗社會活動的具體時間, 一方面分析他們的籍貫和活動面貌. 旣往的硏究認爲高麗與宋朝的海上貿易從高麗顯宗3年(1012)開始進行到高麗忠烈王4年(1278)爲止. 其實海上貿易商人從10世紀中葉宋朝建國初期開始來往高麗, 而這種活動持續到高麗忠烈王5年宋朝滅亡爲止. 雖然高麗同宋朝之間的外交關係因時而變化, 有時候國家下令禁止海上貿易, 或是發生政治上的危機狀況, 但是他們不會收到打擊仍然與高麗進行海上貿易. 他們大部分出身於泉州․台州․福州․明州․南楚․廣南․溫州․務州地區, 這些地區在宋朝建國前後已經成爲國際海上貿易的中心地了. 這些海上貿易商人除了在經濟方面進行物品交易以外, 還有在政治․社會․文化交流等方面也發揮了重要功能. 他們將藥品, 武器․工藝品材料, 佛敎經板․經典, 百科全書等各種文物帶進來了. 這些經板和書籍, 一面促進高麗社會的佛敎硏究, 儒學振興以及出版印刷術的發展, 一面有助於王權和統治規範的樹立. 他們還有擔當國際文化交涉中間人之角色, 將高麗的佛敎文化傳給日本. 他們又過問高麗與宋朝之間的外交關係, 幇助宋朝和高麗之間文人․僧侶․知識分子․技術人員․使臣的來往. 甚至他們當中一部分人作爲官吏, 參與高麗內政.

      • KCI등재

        버퍼 오버플로우 디버깅 플랫폼의 메모리 오버헤드 분석

        최영호,권재욱,정석재,박한섭,엄영익 한국정보과학회 2019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5 No.7

        In recent years, as software complexity of smart devices such as smart TVs and smartphones has increased, buffer overflow vulnerabilities have also increased. Protected memory page-based buffer overflow detecting tool, mostly supported on general purpose hardware platforms, is valuable for verifying the software on smart devices. However, memory usage is greatly increased by using page granularity memory allocation. In this paper, we revisit the traditional buffer overflow debugging approach, and propose a novel buffer overflow debugging platform by modifying the debugging library and memory swapping scheme. For the evaluation of the platform, we implemented a prototype of our debugging platform on debugging library and Linux kernel and conducted various experiments. Ou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reduces memory usage by 35% on average. 최근, 스마트TV,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 장치의 소프트웨어 복잡도가 증가하면서 버퍼 오버플로우 취약점이 발견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범용 하드웨어에서 일반적으로 지원하는 보호된 메모리 페이지 기반의 버퍼 오버플로우 검사 도구는 스마트 장치의 소프트웨어를 검사하기에 유용하지만 페이지단위의 메모리를 할당하여 검사에 사용하기 때문에 메모리 사용량이 크게 증가한다. 본 논문에서는 보호된 메모리 페이지 기반의 버퍼 오버플로우 검사 도구에서 할당한 메모리가 스와핑 된다는 점을 이용하여 메모리 사용량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보호된 메모리 페이지 기반 디버깅 플랫폼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을 실제 디버깅 라이브러리와 리눅스 커널에 구현하여 기존 기술과 메모리 사용량을 비교하였으며, 기존 기법 대비 메모리 사용량이 평균 35%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해인사대장경판 인출본의 역사·문화적인성격과 대성사 소장 『四分律』

        최영호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9 石堂論叢 Vol.0 No.75

        This paper attempt to diagnose a historical & cultural character of the Printing-Books that was printed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and analyze into the Printing-Books of the Daeseong-temple's Dharmagupta-vinaya. A Printing-Books of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have produced at various times, these Printing-Books reflect various historical and cultural realities and personalities of the time. In particular, the Daeseong-temple’s Dharmagupta-vinaya contain within a variety of a historical & cultural personalities. the analytical index have based on bibliographic information & a paper type that included in the Printing-Book of the Daeseong-temple’s Dharmagupta-vinaya. first, this documentary heritage is a Printing-Book that was printed the Haein- Temple’s Tripitaka-Woodblock. secondly, this documentary heritage was made during the Joseon(朝鮮)-Dynasty's King-Sejo(世祖). third, this Printing-Book is marked with the Gaebeopjang-Mantra-mark(開法藏眞言符號) that represent the divinity and majesty of Buddhist scriptures. fourthly, this documentary heritage is reflected King-Sejo's perception of the Goryeo(高麗)-Dynasty. last, this documentary heritage can restore the damaged part of the Dharmagupta-vinaya's volume 47-50 that contained in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 and can also diagnose the preservation status of the woodblock. Key Word : the Haein-Temple’s Tripitaka-Woodblock(海印寺大藏經板), the King-Sejo(世祖), the Printing-Books, the Daeseong-temple(大成寺), The Dharmagupta-vinaya(四分律) 이 글에서는 해인사대장경판의 현존 인출본에 담겨진 역사․문화적인 성격을 진단한 다음, 보물 제1943호로 지정된 『사분율』의 인출본을 분석하였다. 현재까지 해인사대장경판의 인출본 가운데 고려말기~조선초기의 불교기록유산이 극히 제한되어 있으며, 이 시기 찍은 『사분율』의 경우에도 국내에서 유일하게 확인되었으므로, 보물 제1943호 『사분율』에 담긴 역사․문화적 가치와 성격을 집중 분석하여 해인사대장경판 인출본의 새로운 이해 지표를 확보하였다. 특히 보물 제1943호 『사분율』은 표지나 장정 등이 인출불사 당시의 원형 그대로 남아있는 상태이므로, 객관적인 이해 지표를 확보할 수 있었다. 첫째, 보물 제1943호 『사분율』은 형태서지학적 기본정보와 구성체계 등에서 해인사대장경판에 포함된 해당 경판을 원천텍스트로 인출한 불교기록유산이다. 둘째로, 인출시기는 조선 세조 때이다. 해당 인출본은 인출상태와 간행기록의 유무, 장정형태나 개법장진언부호의 표제, 인출종이의 종류 등에서 세조가 국가․왕실불사로 해인사대장경판을 50질을 찍어 전국의 유명 사원에 나누어 준 불교기록유산으로 확인하였다. 셋째로, 해당 인출본에는 개법장진언부호의 표기로, 세조 당시 불교경전의 신성성과 장엄성을 인식하는 불교의식이 담겨져 있다. 넷째로, 해당 인출본에서는 세조 당시 高麗國의 왕조에 대한 인식태도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해당 인출본은 해인사대장경판에 포함된 『사분율』 권47~50의 훼손 부분을 복원하는 동시에, 해당 경판의 보존상태도 진단할 수 있는 원천자료도 담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기획논문 : 고려시대의 문화와 사상 ; 강화경판(江華京板) 『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의 조성사업에 대한 근대 100년의 연구사 쟁점

        최영호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09 石堂論叢 Vol.0 No.44

        이 글에서는 강화경판 『고려대장경』의 조성사업과 관련된 연구 성과물 가운데 연구자들 사이에 아직까지 논의되고 있는 내용을 정리·분석하였다. 특히 연구 내용이나 시각에서 핵심적인 영역인 사업 주체를 중점적으로 진단하였다. 그 시기는 1910년대 일제식민지시대부터 2009년 현재까지로 하였다. 일제시대 이래 기존 연구자들의 대다수는 『고려사』 권 129, 열전 42, 崔忠獻 부 崔沆傳을 비롯하여 제한적인 자료와 최씨무인정권이라는 정치 현실을 고려하여 사업의 주체를 최이-최항 부자로 확정하였다. 이 견해는 1970~1990년대 한국학 연구자들에게 보편적인 사실처럼 자리매김하였다. 아직도 일부의 연구자나 전문백과사전류에는 그대로 인용되고 있다. 이러한 해석 방식은 몇 가지 문제를 가질 수 밖에 없다. 우선, 조성사업의 불교 문명적인 가치와 史實을 객관적으로 정립하는데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연구 내용이나 영역의 제한 및 시각의 편향성을 낳게 하고 있다. 그리고 1990년대 이후부터 새로운 자료를 활용하여 밝히고 있는 사실이나 내용을 논리적으로 뒷받침하지 못한다. 따라서 최씨무인정권 중심의 이해 방식에 대한 극복은 조성사업에 함축된 다양한 史實과 불교 문명적 가치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선행작업이 될 수 밖에 없다. 당대의 분산된 여러 자료들 및 최근의 연구 성과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대장도감과 분사도감의 운영과 인사 행정을 비롯한 조성사업의 전반은 국왕을 포함한 국가의 공적인 행정조직체계로 운영되었다. 특히 최항 열전에 서술된 그들의 역할도 과대평가되거나 역사적인 사실과 어긋나는 내용이 발견되었다. 그들의 역할은 대개 국왕을 중심으로 하는 국가의 공적인 행정운영 조직체계 속에서 분담하여 수행한데 불과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조성사업은 국가의 공적인 행정운영 조직체계가 적극 개입되고 있었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견해는 조성사업의 연구 영역을 확대시키고 그 역사적 의미나 불교 문명적 가치를 객관적으로 해명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This case study aimed at analysis of a study-history about a making-business of the Ganghwa Woodblock(江華經板)-Koryo Tripitaka(高麗大臧經) that was in research during 100 years of modern. In particular, the issue was focused about the principal of making-business. The period is from 1910-era until 2009. From the Japanese-imperialism, the most researchers have argued a opinion that the Choi's(崔氏) soldier-regime(武人政權) was a role as a principal of making-business. Up to now, some of the researchers follow to the opinion. Such a opinion cause a researchers to issue. A researchers was unable to can explain the objective history and Buddhist-civilization that was implied in the making-business of the Ganghwa Woodblock-Koryo Tripitaka. Moreover, the enlargement of a new research-areas and research-perspective was constrained. Therefore, this case study has attempted a new analysis about this opinion. A new analysis follows. The Daejangdogam(大藏都監) there was responsible for the making-business. The Koryo-Dynasty's emperor (高麗國王) and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of the Koryo-Dynasty were responsible for a organizational system of this Daejangdogam and the administrative personnel of a making- business. In particular, a role of the Choi's soldier-regime was overestimated, or was different with a historical facts. The role was performed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of the making-business. Therefore, the principal of making-business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of the Koryo-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