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회계학 교과과정 발전을 위한 연구 : 상품매매업 회계기록체계의 재고찰

        최영찬 한국회계정보학회 2016 한국회계정보학회 학술대회발표집 Vol.2016 No.1

        본 연구는 21세기 IFRS시대의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회계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한국 회계학교육 변화를 견인할 한국의 회계학과 교과과정의 교육학적 이론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한국은 2011년에 국제회계기준을 채택함에 따라 기업이 필요로하는 회계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회계학교육이 변화해야 한다는 주장과 연구가 늘어나고 있다. 한국의 회계학교육의 변화를 위해 최영찬과 다수(2015)에서 “미국의 회계학교육 변화는 오랜 시간을 두고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도록 진화해오고 있으며 그 변화는 오랜 시간을 두고 노력한 연구결과를 통해 정립된 이론적토대(Theoretical Framework)에 바탕을 두고 변화해왔음을 볼 수 있다”고 지적하고 그 이론적토대는 다섯 가지의 속성으로 구성되어있음을 소개한 바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회계학교육 발전을 위해 앞에서 언급한 그 다섯 가지 속성 중에서 첫 번째 속성인 범위(Scope)의 관점에서 한국의 회계학과 교과과정의 변화나 수정의 필요성을 현재 대학들이 사용하고 있는 이론교과서에서 발견하고 그 수정방안을 제시하려 했다. 본 연구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일부 이론교과서 교과과정에서 IFRS와 GAAP의 이론과 상이하게 구성된 한국의 상품매매업회계에 대해서 상품매매업회계를 위한 계층적 분포(Hierarchical Order)의 소개를 통해 세 가지 과정별로 설명을 시도했다. 이 계층별분포 분석은 어느 교과서에서도 시도되지 않은 상품매매업회계에 대한 새로운 교수기법(Pedagogical Technique)의 하나로서 회계학에 입문하는 초급반 학생들의 이해력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첫째, GAAP과 IFRS와 다르게 설명하거나 일부 이론적 오류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상품매매업회계의 정통모델을 제시하고 둘째, 잘못 사용되고 있는 상품매매업회계에 대한 용어의 분석을 통해 상품매매업회계의 정의를 재정립하고 셋째, 상품매매업의 중요 주제별 견본거래를 제시한 정통모델을 통한 구제적인 실무적 예시를 통해 학생들의 이해를 증진시킴으로써 21세기 국제회계시대에 부응하는 회계전문인력을 양성할 수 있는 한국의 회계학과 교과과정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paper tries to shed lights on the pedagogical theory development for the Korean accouting curricurum to help produce the competent accounting professionals to facilitate the need of the 21st centrury IFRS era. Since Korea adopted the IFRS in 2011, there have been many calls and argument for the change of Korea’ accounting education system to produce the competent accounting professionals. For Korea’s Accounring Education change effort, Y. Choi et al.(2015) introduced the USA’s accounting education reform efforts which have been evolved for decades in response to the need of the society and its change has been made based on a theoretical framework derived from the result of several decades’ reseach. The theoretical framework has five characteristics. This paper attemts to provide some suggestions to correct some descrepancy of accounting theories used in the theory textbooks used in Korea to lead to the curriculum change which is the first characteristic, the scope of the theoretical Framework. This paper provided a pedagogical framework with three different hierarchical orders to explain a theoretical discrepancy of merchandising busines from IFRS and GAAP. This hierarchical order approach for accounting for merchandising business is the first pedagogical technique so that it is expected to help new accounting students better understand the accounting theory. This paper, first, specifically analyzed the theoretical discrepancy departed from GAAP and IFRS and even one significant theoretical error about accounting for merchandising business then provided the correct accounting model for accounting for merchandising business. Secondly, this paper suggested some accounting terminologies for an awkward expression of merchandising business used in Korea for a better accounting definition. Finally, this paper provided an in-depth demonstration of accounting transactions of merchandising business to help beginning accounting students better understand the theory of accounting for merchandising business. This paper expects to contribute to a better accounting curriculum development in Korea’s accounting education to facilitate the need for the IFRS era.

      • KCI등재
      • KCI등재후보

        21세기 한국회계학 교육의 발전을 위한 연구

        최영찬,조승제,조유근,신춘우 한국회계정보학회 2015 재무와회계정보저널 Vol.15 No.3

        This study tries to provide a methodological Catalysis for Korea’s efforts to develop a better accounting education system to produce competent accounting professionals to facilitate the need of the 21st Century global economy. Korea has already adopted the IFRS in 2011. Some Korean research started from the late 1990s to the recent IFRS era found some suggestions but failed to offer specific guidelines to apply. Some suggestions were even too subjective and prejudicial. Some Korean research suggested to do some research on the American accounting education system to in corporate the findings int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accounting education system. Accordingly, this study was motivated to develop a theoretical foundation through a comprehensive study on the American efforts for many years to change the American accounting education system. Based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 derived and the results of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accounting curriculums of 408 universities, a comparative analysis was done for one sample university. It will be beneficial to incorporate some lessons from the American efforts to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system. This study found five characteristics of the theoretical foundation:(1)Scope, (2)Structure, (3)Content, (4)Inter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practice, and (5)Others. Whoever tries to change the accounting education, should; 1.Design the Scope with the Common Body of Knowledge in line with the mission of its institution, 2.Fortify the Structure with independent Accounting Department establishment, accreditation, student internship, etc., 3. Build the Content with learning to learn attitude, case study, active discussion etc., 4.Establish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and practice through research on practice, exchange of ideas, hiring experienced professionals for teaching, 5.Enforce student activities trough fraternity/sorority, alumni network, and scholarships. Accordingly, after understand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it will be useful to utilize the five characteristics to put an effort to develop a better system along with the American university case study example as the guidelines. The above five characteristics are all important but for the Korean system, the fifth will be more important. For the better system change, a very strong leadership to lead the change is critical. Although, the physical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accounting department is important but the departmental autonomy and leadership are important as well. Accounting education change depends on the university’s active and positive intention in large but more importantly on the head of the department and its faculty members because they are the main driving force for the change. 본 연구는 급변하는 21세기 시대의 사회적 요구에 부합하는 회계전문인력을 양성을 위한 한국 회계학교육 변화를 위한 방법론적 촉매제(Catalysis)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은 2011년 국제회계기준 채택 후 통일된 국제회계기준을 위한 IFRS시대 이전인 1990년대 말부터 글로벌 경제시대에 부합하는 회계학교육 변화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왔으나 실행 가능한 구체적 방향제시를 못하였고 일부 연구는 지나치게 주관적이거나 왜곡된 방향을 제안하기도 하였으며, 일부 연구들은 선진국들의 교육시스템 연구가 동시에 이루어져 이들 간의 융합을 통한 회계교육시스템이 개발되어야 한다고 지적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미국의 수십 년 동안의 회계학 교육발전을 위한 노력과정을 분석해 이론적 토대(Theoretical Foundation)를 정립하고 그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미국 대학들의 교과과정을 사례분석함으로서 한국의 사회경제적 환경에 맞는 회계학교육 발전을 위한 이론적 토대를 발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408개의 미국대학 교과과정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교과과정의 사례를 분석을 하였다. 미국의 회계학교육 개혁을 위한 선구자적 노력을 한국의 상황에 접목시키기에 충분한 가치가 있을 것이며, 본 연구는 회계학교육 발전을 위한 이론적 토대의 5가지 속성으로 (1) 범위, (2) 구조, (3) 내용, (4) 산학연계, (5) 기타사항의 5가지로 정의하였다. 회계학 교육의 변화를 원하는 주체는 먼저, 1. 범위의 속성으로 공통된 지식체계를 대학교육 목표에 맞추어 디자인 하고, 2. 구조의 속성으로 독립된 회계학과의 설립, 회계학 프로그램 인정제, 학생 실무수습체제의 확립 등의 구조를 견고히 하고, 3. 내용으로 학생들의 능동적 학습태도를 위한 토론식, 사례분석 위주의 학습내용 개발, 4. 산학연계의 속성으로 교육과 실무의 유기체적 연계를 위한 실무관련 연구, 실무경험이 풍부한 전문직 교수영입 등의 산학협력 제고, 5. 기타사항으로 회계학과 학생활동의 활성화, 졸업생 연락망 확보, 내외부 회계학과 장학기금 모금운동 등의 속성을 잘 활용하면 좋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이론적 토대를 이해하고 5가지 속성별로 개발노력을 실행에 옮기면서 미국의 사례연구를 가이드라인으로 삼으면 도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5가지 속성이 모두 중요하지만 한국의 실정에서는 다섯 번째 기타사항이 더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 회계학교육 변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그 변화를 주도할 지도력(Leadership)에 있다고 본다. 물론 회계학과의 물리적 독립성이나 교과과정 개발도 중요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회계학과의 제도적 자치권(Autonomy)과 지도력이다. 회계학교육 변화는 크게는 대학당국의 변화를 위한 자율적이고 능동적인 의지에 달려있을 것이나 더욱 중요한 것은 해당 학과의 의지로써 주도적이고 결정적인 지도력은 회계학과의 학과장과 교수진의 변화를 위한 의지에서 나와야하기 때문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중국의 경제적 강압이 한국 안보에 미치는 영향: 경제적 위협이 목표달성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정량적 분석,1918-2017

        최영찬 미래군사학회 2022 한국군사학논총 Vol.11 No.2

        The topic of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21st century is the rise of China and the gray zone coercion. Among them, economic coercion has been a popular political tool used by China.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ntitatively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China's economic threat and to derive its strategic implications for Korean security. As a result of International Crisis Behavior(ICB) statistical analysis, it was able to prove that economic threats are a very effective political tool. It shows a relatively high target achievement ratio compared to the existence (survival) threat that can pose the most serious threat to the other country and a high target achievement cost, and the territorial threat that is expected to have a high target achievement ratio because it has been used the most in history. This is a very remarkable discovery. In addition, it could be concluded that, in the event of a conflict between countries, the nuclear-weapon states have a higher rate of achievement than the non-nuclear states. This proves that economic coercion is a politically useful tool in a situation where nuclear powers such as China must constantly pursue their own interests in international relations despite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the use of force under international law. The burden placed on China's leaders by traditional methods such as military means and the disproportionately formed interdependence between Korea and China are urging China to use economic coercion against South Korea, so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this. Paradoxically, as the interdependence between Korea and China increases and the economic relationship increases, the risk of the relationship with China increases. Accordingly, Korea's security against China will become more vulnerable, and a comprehensive countermeasure is required. 21세기 국제관계의 화두는 신장된 국력을 바탕으로 전방위적으로 펼치고 있는 중국의 회색지대 강압이다. 그 중에서 중국은 주변국들에게 회색지대 강압의 한 부류인 경제적 강압을 즐겨 사용해 오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경제적 강압에 대한 연구는 정성적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이 경제적 강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하고 있는 경제적 위협행위의 효과성을 정량적으로 탐구하여, 중국이 왜 경제적 강압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한국안보에 주는 전략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세계 위기사례(International Crisis Behavior) 통계분석 결과, 경제적 위협은 효과적인 정치적 수단임을 증명할 수 있었다. 특히, 상대국가에게 가장 심각한 위협을 가할 수 있어 높은 목표 달성비가 예상되는 존재 위협과 역사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목표 달성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영토 위협에 비해서도 높은 목표달성비를 보여 주었는데, 이는 매우 주목할 만한 발견이라 할 수 있다. 또한, 국가간 갈등이 발생했을 경우 핵을 보유한 국가가 비보유국에 비해 목표달성비가 높다는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는 중국과 같은 핵 보유 국가들이 국제법상 무력사용의 원칙적 금지 등, 전통적인 안보수단 활용이 제약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도, 경제적 위협행위와 같은 비전통적 수단의 효과성을 더욱 높일 수 있음을 담지하고 있는 것이다. 군사적 수단을 활용한 전통적인 방법이 중국의 지도자에게 주는 부담과 불균형적으로 형성된 한중간 상호의존이 중국의 경제적 강압을 재촉하고 있다. 한중간 상호의존이 점점 비대칭적으로 진행될수록 역설적이게도 대중국 관계의 위험성은 더욱더 커지게 될 것이다. 이는 미중간 패권경쟁의 구도와 맞물리면서 한국의 심각한 안보문제로 전면에 부상하게 될 것이므로, 이에 대한 종합적인 대책이 요구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