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그래프 착색을 위한 각종 유전자 알고리즘의 성능에 관한 비교 연구

        최영민(Youngmin Choi),성홍기(Hongki Sung) 한국정보과학회 1997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4 No.2Ⅱ

        유전자 알고리즘은 생태계의 적자 생존의 원리를 모방한 확률론적 탐색 알고리즘이다. 현재 많은 분야에서 유전자 알고리즘이 폭 넓게 응용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이론적으로 완전히 설명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금까지 제안된 유전자 알고리즘 사이의 우열도 단정지어 말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유전자 알고리즘들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논문에서 제시한 문제는 탐색 공간이 상당히 큰 문제로 실세계에서 유용하게 사용되는 그래프 착색 문제로 잡았다. 성능비교 대상 유전자 알고리즘은 모두 여섯가지로 그래프 착색 문제에 맞게 수정하였다. 성능 비교 방법은 다섯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그래프는 모두 네가지 크기를 갖고 각 크기마다 10개씩 임의로 생성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그래프 크기에 다소 차이는 있지만 염색체 길이와 위치가 가변적이면서 반복을 사용하는 패스트 메시 유전자 알고리즘 (FMGA: Fast Messy Genetic Algorithm)이 그래프 착색 문제를 풀기 위해 가장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전골반 강도변조방사선치료에 의한 급성부작용

        최영민(Youngmin Choi),이형식(Hyung Sik Lee),허원주(Won Joo Hur),차문석(Moon Seok Cha),김현호(Hyun Ho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6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4 No.4

        목 적: 자궁경부암으로 전골반 강도변조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에서 급성부작용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8월부터 2006년 4월까지 동아대병원에서 자궁경부암으로 전골반 강도변조방사선치료를 받은 17명의 환자를 대상하였다. 정맥 조영제를 이용하여 방사선치료계획용 전산화단층촬영을 하였다. 중심부위 임상표적체적(clinical target volume, CTV)에는 원발병소, 자궁, 질, 자궁방조직 등을 포함하였고, 림프절 CTV는 1 cm 이상의 림프절과 조영제로 확인된 골반부위 혈관으로 정하였다. 계획용표적체적(planning target volume, PTV)은 중심부위 CTV로부터 1 cm 여유를 추가한 용적으로 정하였는데, 질의 후면으로부터는 5 mm의 여유를 추가하였다. 그리고 림프절 CTV로부터 1.5 cm 여유를 추가하여 PTV에 포함시켰다. PTV의 95% 이상에 50 Gy의 방사선이 조사되도록 강도변조방사선치료를 계획하였다. 방사선치료 후 60일 동안의 급성부작용을 공통독성기준(common toxicity criteria)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결 과: 급성 위장관부작용으로 1도의 오심, 1도 및 2도의 설사가 각각 10 (58.9%), 11 (64.7%), 1 (5.9%)명에서 각각 발생되었으나, 3도 이상의 부작용은 없었다. 혈액학적 부작용으로는 백혈구감소증, 빈혈, 혈소판감소증 등이 각각 15 (88.2%), 7 (41.2%), 2 (11.8%)명에서 발생되었으나, 3도 이상의 부작용은 백혈구감소증에서만 2명(11.8%)에서 발생되었다. 3도의 백혈구감소증이 발생된 환자들은 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를 병용하였다. 결 론: 자궁경부암에 대한 전골반 방사선치료에 강도변조방사선치료를 이용함으로써 중등도 이상의 급성부작용을 감소시켜 치료에 대한 환자의 내성을 증가시킬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o evaluate acute toxicities in cervix cancer patients receiving intensity modulated whole pelvic radiation therapy (IM-WPRT).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August 2004 and April 2006, 17 patients who underwent IM-WPRT were analysed. An intravenous contrast agent was used for radiotherapy planning computed tomography (CT). The central clinical target volume (CTV) included the primary tumor, uterus, vagina, and parametrium. The nodal CTV was defined as the lymph nodes larger than 1 cm seen on CT and the contrased-enhanced pelvic vessels. The planning target volume (PTV) was the 1-cm expanded volume around the central CTV, except for a 5-mm expansion from the posterior vagina, and the nodal PTV was defined as the nodal CTV plus a 1.5 cm margin. IM-WPRT was prescribed to deliver a dose of 50 Gy to more than 95% of the PTV. Acute toxicity was assessed with common toxicity criteria up to 60 days after radiotherapy. Results: Grade 1 nausea developed in 10 (58.9%) patients, and grade 1 and 2 diarrhea developed in 11 (64.7%) and 1 (5.9%) patients, respectively. No grade 3 or higher gastrointestinal toxicity was seen. Leukopenia, anemia, and thrombocytopenia occurred in 15 (88.2%). 7 (41.2%), and 2 (11.8%) patients, respectively, as hematologic toxicities. Grade 3 leukopenia developed in 2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concurrent chemoradiotherapy. Conclusion: IM-WPRT can be a useful treatment for cervix cancer patients with decreased severe acute toxicities and a resultant improved compliance to whole pelvic irradiation.

      • KCI등재후보

        간외담관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성적

        최영민(Youngmin Choi),조흥래(Heunglae Cho)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1

        목 적 : 간외담관암 환자들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성적을 조사하여, 방사선치료의 역할과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인자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1년 10월부터 2001년 7월까지 간외담관암으로 근치적 절제술 후에 방사선치료를 받은 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의 연령은 39~75세(중앙값 61세)였고, 남녀의 비는 16:5였다. 근위부 담관암이 14명이었고, 원위부 암이 7명이었다. 수술 후 조직 검사에서 미세 병변이 19명에서 남았고, 림프절 전이가 7명에서 관찰되었다. AJCC 병기는 Ⅰ, Ⅱ, Ⅲ 기각 각각 10, 10, 1명이었다. 총방사선량은 4,500~6,300 cGy의 범위(중앙값 5,040 cGy)였고, 추적 조사 기간은 20~81개월(중앙값 57.5개월)이었다. 결 과 : 3년, 5년 생존율이 각각 41.0%, 29.3%였고, 3년, 5년 무병 생존율은 각각 41.6%, 29.7%였다.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변수로 연령, 성별, 종양의 위치, 분화도, 수술 후 미세 병변의 잔존 유무, 신경 침범, T 병기, N 병기, 병기, 방사선량, 화학요법 유무 등을 조사하여서, 단변량 분석에서 T 병기와 병기가 유의하였지만(p<0.05), 대상 환자의 수가 적어서 의미를 주기에는 제한이 있었다. 12명(57.1%)에서 재발이 발생되었는데, 국소 부위가 5명, 원격 전이가 4명, 국소 및 원격 전이가 동반된 경우가 3명이었고, 원격 전이 부위로는 간이 6명, 뼈가 1명이었다. 급성 부작용으로 2, 3도 백혈구 감소증이 각각 1명에서 발생되었고, 만성 부작용으로 2도 소화성 궤양으로 4명이 발생되었으나, 모두 보조적 치료로 회복되었다. 결 론 : 간외담관암 환자들에서 근치적 절제술 후의 방사선치료는 심각한 부작용의 발생 없이 적용 가능하며, 수술 후 방사선치료의 효과와 예후 인자의 분석을 위해서는 보다 많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전향적인 연구가 요구된다. Purpose : To evaluate the efficacy of radiotherapy, and the factors affecting survival in patients of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 by analyzing the results of postoperative 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October 1991 and July 2001, 21 patients with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 who received radiotherapy after a radical resection,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patients' ages ranged from 39 to 75 years, with a median of 61 years, and a male to female ratio of 16 to 5. The numbers of patients with proximal and distal bile duct cancer were 14 and 7, respectively. From the postoperative pathological examination, 19 of the patients were found to have microscopic residues, and 7 to be lymph node positive. Patients with AJCC stages Ⅰ, Ⅱ and Ⅲ were 10, 10 and 1, respectively. The total radiation dose administered was 4,500~6,300 cGy, with a median dose of 5,040 cGy. The follow up period was 20~81 months, with a median of 57.5 months. Results : The overall and disease fee survival rates at 3 and 5 years were 41.0 and 29.3%, and 41.6 and 29.7%, respectively. the influences of age, sex, tumor location, differentiation, microscopic residue, neural invasion, T and N stage, the stage itself, the dose of radiation and chemotherapy, on survival were evaluated. The T stage and the stage itself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rom a univariate analysis (p<0.05), but the degree of significance was limited by the small number of patients. A recurrence occurred in 12 patients (57.1%), 5 in locoregional sites, 4 in distant sites and 3 in a combination of locoregional and distant sites, and the sites of distant metastasis were the liver, 6, and the bone, 1. Grade 2 or 3 acute leucopenias occurred in 2 patients and grade 2 chronic peptic ulcers occurred in 4, who were all recovered by conservative management. Conclusion : Postoperative radiotherapy is feasible in extrahepatic bile duct cancer, with tolerable toxicity, but prospective studies, with a large patient enrollment, are needed for the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postoperative radiotherapy and the related prognostic factors.

      • KCI등재

        기존의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다발성 간전이 대장암 환자에서 방사선조사와 병합한 수지상세포 면역치료의 1, 2상 임상시험

        최영민(Youngmin Choi),이형식(Hyung-Sik Lee),권혁찬(Hyuk-Chan Kwon),한상영(Sang-Young Han),최종철(Jong-Cheol Choi),정주섭(Ju-Seop Chung),김창원(Chang-Won Kim),김동원(Dong-Won Kim),강치덕(Chi-Duk Ka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6 No.2

        목 적: 기존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다발성 간전이를 동반한 대장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와 병합한 수지상세포 면역 치료의 독성과 반응도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5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다발성 간전이가 동반된 대장암 환자들 중에서 항암화학 요법에 반응하지 않은 환자 중 지원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임상 시험에 대하여 동아대학교병원과 부산대학교병원의 임상윤리심의위원회의 허가를 획득하였고, 동의서에 서명한 환자들을 임상 시험의 대상으로 등록하였다. 환자의 말초 혈액으로부터 수지상세포를 추출하여 배양하였다. 임상시험 일자에 맞추어서 6×106개의 수지상세포를 바이알(0.5 ml)에 넣어서 디씨백/아이알 주사를 만들었다. 수지상세포 면역치료는 2주 간격으로 간전이암조직에 3회 주사하고, 5주에 내약성 평가를 하였다. 내약성 평가를 통과한 환자에게는 8주에 4번째 수지상세포 면 역치료를 하였다. 병의 악화가 없거나 임상시험에 대한 환자의 동의 철회가 없는 경우에는 5, 6번째 수지상세포면역치료를 각각 12, 16주에 시행하였다. 방사선치료는 수지상세포 면역치료를 주사할 간전이암 부위에 주사하기 전일 및 당일에 4 Gy씩을 조사하였다. 내약성 평가는 3×106개의 수지상세포로부터 시작하여, 12×106개의 수지상세포까지 시행하였다. 내약성 평가의 최대 내성 용량으로 추가 임상시험을 하였다. 수지상세포 면역치료 주사를 맞은 모든 환자들에서 안전성 평가를 하였다. 4회 이상 주사를 맞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10주에 치료 반응을 평가하여 유효성을 조사하였다. 결 과: 임상시험에 등록한 24명 중 22명에서 수지상세포 면역치료를 시행하였다. 내성약 평가에는 14명이 등록하여 11명에서 평가를 완료하였다. 시험약과의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grade 3 이상의 약물반응으로 인한 이상반응은 없었다. 12×106개의 수지상세포를 내성용량으로 확인하였고, 내성용량인 12×106개 수지상세포 면역치료를 이용하여 8명에서 추가로 시험을 하였다. 치료에 대한 환자들의 내성은 양호하였고, grade 3을 초과하는 치명적인 부작용은 발생되지 않았다. 4회 이상의 수지상세포 면역치료 주사를 받은 환자가 17명이었고, 이 중의15명에서는 종양의 반응도 평가가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안전성 평가이지만, 면역치료의 유효성 평가를 위해, 방사선치료와 수지상세포 면역치료 주사가 시행된 부위 외의 간전이암에서 반응도를 조사 하였다. 면역치료의 반응은 평가가 이루어진 환자들에서 정지성 병변이 4명, 진행성 병변이 11명 이었다. 결 론: 수지상세포 면역치료와 병행한 방사선치료는 이론적으로 국소 및 전신 제어에 상승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 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매우 진행된 직장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치료와 병합한 수지상세포 면역치료로 인한 심각한 부작용의 발생은 없었다는 결과와 4예에서의 정지성 병변의 관찰을 보고한다. 수지상세포의 최대 투여 용량, 적절한 투여 방법, 적절한 방사선의 양, 방사선과 수지상 세포의적절한 투여 간격 등에 관한 추가 연구를 통하여, 향후 제 2상, 3상 시험으로서의 진행 여부에 긍정적인 결과를얻을 수 있다고 판단한다. Purpose: To assess the toxicity and tumor response induced by DCVac/IRⓇ dendritic cell (DC) immunotherapy combined with irradiation for refractory colorectal cancer patients with multiple liver metastas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y 2004 and November 2006, applicants from a pool of refractory colorectal cancer patients with multiple liver metastases were enrolled. The patients were registered after having signed the informed consent form, which had been approved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from the Dong-A University and B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Cs were obtained from peripheral blood of each patient, and then cultured in vitro. A total of 6×106 DCs were packed into a vial (DCVac/IRⓇ, 0.5 ml) at the convenience of each patient’s schedule. On the day before and on the day of each vaccination, each patient received a 4 Gy radiation dose to the target tumor. On the day of vaccination, the indicated dose of autologous DCs was injected into the irradiated tumor using ultrasound-guided needle injection procedures. A total of four vaccinations were scheduled at three 2-week intervals and one 4 week interval at the Dong-A University and B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f the tumor status was deemed to be stable or responding to therapy, an additional vaccination dose or two was approved at 4 week intervals beyond the fourth immunization. A tolerance test for DCs was conducted by injecting a range of doses (3×106 to 12×106 DCs) after the 3rd injection. Moreover, the maximal tolerable dose was applied to additional patients. Treatment safety was evaluated in all patients who had at least one injection. Treatment feasibility was evaluated by the 10th week by assessing the response of patients having at least 4 injections. For systemic toxicities, the evalu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Common Toxicity Criteria, whereas adverse effects were recorded using common WHO toxicity criteria. Results: Of the 24 registered patients, 22 received the DCs injections. Moreover, of the 14 patients that applied for the tolerance test, only 11 patients completed it because 3 patients withdrew their testing agreement. A grade 3 or more side effect, which was possibly related to the DC injection, did not occur in additional patients. The 12×106 DC injection was identified as the maximum tolerable dose, and was then injected in an additional 8 patients. Patients tolerated the injection fairly well, with no fatal side effects. In order to assess the feasibility of DC immunotherapy, the response was evaluated in other hepatic lesions outside of the targeted hepatic lesion. The response evaluation was performed in 15 of the 17 patients who received at least 4 injections. Stable and progressive disease was found in 4 and 11 patients, respectively. Conclusion: The DC-based immunotherapy and radiotherapy is theoretically synergistic for the local control and systemic control. The DCVac/IRⓇ immunotherapy combined with irradiation was tolerable and safe in the evaluated cases of refractory colorectal cancer with multiple liver metastases. Future work should include well designed a phase II clinical trials

      • KCI등재

        전립선암의 소분할 방사선치료 시에 위치표지자 삽입의 유용성

        최영민(Youngmin Choi),안성환(Sung-Hwan Ahn),이형식(Hyung-Sik Lee),허원주(Won-Joo Hur),윤진한(Jin-Han Yoon),김태효(Tae-Hyo Kim),김수동(Soo-Dong Kim),윤성국(Seong-Guk Yu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1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9 No.2

        목적: 전립선암의 소분할 방사선치료에서 골반뼈를 기준으로 한 준비자세(setup)와 전립선에 삽입된 위치표지자(fiducial marker)를 이용한 준비자세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9월부터 2010년 8월까지 전립선암으로 근치적 소분할 방사선치료를 받은 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치료 1주일 전경에 경직장초음파 검사 하에 3개의 위치표지자를 직장을 통하여 전립선에 삽입하였다. 방사선치료계획용 컴퓨터단층촬영과 매 방사선치료 전에 직장 관장을 하였다. 소분할 방사선치료는 노발리스 장치를 이용하여, 매일 3.5 Gy씩 총 59.5 Gy를 계획하였다. 분할조사 전에 서로 수직인 두 방향의 kV X-선을 촬영하여 얻은 영상의 위치표지자와 방사선치료계획의 디지털재구성사진에서 관찰되는 위치표지자를 융합하여, 환자의 자세를 조정하고 준비자세를 하였다. 위치표지자 기준 준비자세에서 방사선치료계획의 디지털재구성사진과 kV X-선 영상의 골반뼈를 가상적으로 융합하여, 골반뼈 기준 준비자세를 구하였다. 결과: 67회의 분할조사를 분석하였다. 위치표지자 기준 준비자세에서 방사선치료 중심점과의 3차원적 위치 차이의 평균은 0.94±0.62 ㎜ (범위, 0.09~3.01 ㎜; 중앙값, 0.81 ㎜)였고, 좌우, 상하, 전후 방향으로 위치 차이의 평균은 각각 0.39±0.34 ㎜, 0.46±0.34 ㎜, 0.57±0.59 ㎜였다. 골반뼈 기준 준비자세에서 방사선치료 중심점과의 3차원적 위치 차이의 평균은 3.15±2.03 ㎜ (범위, 0.25~8.23; 중앙값, 2.95 ㎜)였고, 상하 방향의 위치 차이(평균, 2.29±1.95 ㎜)가 전후(평균, 1.73±1.31 ㎜), 좌우(평균, 0.45±0.37 ㎜) 방향보다 유의하게 컸다(p<0.05). 위치표지자 기준 준비자세와 골반뼈 기준 준비자세들에서 방사선치료 중심점과의 3차원적 위치 차이가 3㎜ 이상이었던 경우는 전체 분할방사선조사 횟수의 1.5%와 49.3%였고, 5㎜ 이상이었던 경우가 각각 0%, 17.9%였다. 결론: 위치표지자를 이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준비자세를 함으로써 계획용표적체적의 여유를 줄일 수 있고, 따라서 전립선 주변의 정상조직에 대한 방사선량을 감소시켜 보다 안전하게 소분할 방사선치료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Purpose: To assess the usefulness of implanted fiducial markers in the setup of 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for prostate cancer patients by comparing a fiducial marker matched setup with a pelvic bone match. Materials and Methods: Four prostate cancer patients treated with definitive 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between September 2009 and August 2010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ree gold fiducial markers were implanted into the prostate and through the rectum under ultrasound guidance around a week before radiotherapy. Glycerin enemas were given prior to each radiotherapy planning CT and every radiotherapy session. 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was planned for a total dose of 59.5 Gy in daily 3.5 Gy with using the Novalis system. Orthogonal kV X-rays were taken before radiotherapy. Treatment positions were adjusted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fusion of the fiducial markers on digitally reconstructed radiographs of a radiotherapy plan with those on orthogonal kV X-rays. When the difference in the coordinates from the fiducial marker fusion was less than 1㎜, the patient position was approved for radiotherapy. A virtual bone matching was carried out at the fiducial marker matched position, and then a setup difference between the fiducial marker matching and bone matching was evaluated. Results: Three patients received a planned 17-fractionated radiotherapy and the rest underwent 16 fractionations. The setup error of the fiducial marker matching was 0.94±0.62㎜ (range, 0.09 to 3.01㎜; median, 0.81㎜), and the means of the lateral, craniocaudal, and anteroposterior errors were 0.39±0.34㎜, 0.46±0.34㎜, and 0.57±0.59㎜, respectively. The setup error of the pelvic bony matching was 3.15±2.03㎜ (range, 0.25 to 8.23㎜; median, 2.95㎜), and the error of craniocaudal direction (2.29±1.95㎜)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ose of anteroposterior (1.73±1.31㎜) and lateral directions (0.45±0.37㎜), respectively (p<0.05). Incidences of over 3㎜ and 5㎜ in setup difference among the fractionations were 1.5% and 0% in the fiducial marker matching, respectively, and 49.3% and 17.9% in the pelvic bone matching, respectively. Conclusion: The more precise setup of 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for prostate cancer patients is feasible with the implanted fiducial marker matching compared with the pelvic bony matching. Therefore, a less marginal expansion of planning target volume produces less radiation exposure to adjacent normal tissues, which could ultimately make hypofractionated radiotherapy safer.

      • KCI등재

        위험-수익 간 이상현상의 전략적 활용에 관한 연구

        최영민 ( Youngmin Choi ),윤보현 ( Bohyun Yoon ) 한국파생상품학회(구 한국선물학회) 2017 선물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위험과 수익 간의 전통적 관점과 불일치하는 이상현상을 실증하고 이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국내시장 데이터로부터 실증한 결과, 대체로 전통적인 `high risk, high return`의 위험 대 수익 간 관계가 유지되나 가장 높은 총변동성 군 및 고유변동성 군에서 하락하는 패턴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알려진 체계적 요인인 장부가대시장가치(BM) 및 기업규모(Size)를 통제하더라도 일관되게 발생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자본시장 개방을 전후로 한 하위기간 분석을 수행한 결과 최고 변동성군의 역전현상은 자본시장 개방 이전에는 나타나지 않다가 자본시장이 개방된 이후에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위험-수익 간 이상현상을 바탕으로 변동성을 기준으로 포트폴리오 정렬 후 균등 배분하는 안 및 가장 높은 변동성군의 배분비중을 하위 변동성군에 배분하여 도출한 새로운 국내주식 벤치마크를 검증한 결과, 신규 벤치마크 하에서 효율적 프런티어가 확장되며, 동태적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분석을 통해 샤프비율의 개선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향후 벤치마크 세분화를 통한 최근의 저수익 상황 및 투자운용전략 개선을 위한 사전적 연구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strategic application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of risk-return relationship against the classical concept. Empirical analysis from domestic data, we verify that the traditional concept-`high risk, high return` relationship are maintained, however, we confirm the falling pattern in the highest total volatility group. Even though we implies double sorting method to control the well known systematic factor such as BM and size, we still confirm such abnormal risk-return relationship. Furthermore, we perform sub-period analysis before and after the liberalization of Korean capital market and we find such abnormal risk-return relationship is appeared after the liberalization. Based on our empirical results, we establish and verify the new benchmark that evenly allocate highest volatility portfolio to sub-volatility portfolio. Under the new benchmark, we confirm the expansion of the efficient frontier and the improvement of Sharpe ratio. We believe that our results provide an applicability research of smart beta strategy and new benchmark based on such strategy. We expect our research to be used as preliminary study to overcome the era of “new normal” and to reform the investment strategies correspond to segmentation of benchma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