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안중식 행장

        최열(Choi-youl) 인물미술사학회 2017 인물미술사학 Vol.- No.13

        심전(心田) 안중식(安中植 1861-1919)은 20세기 예원의 종장(宗匠)이다. 숱한 제자를 길러낸 20세기 화단의 스승일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면에서 눈부신 성취를 거둔 당대 거장이었으며 사회활동 분야에서는 개화당에 가담하여 사회를 변화시켜 나가려는 혁명가로 활약하였고 화단활동에 뛰어들어 당대 미술가를 집결시켜 20세기 미술계를 형성해 나갔으며 창작활동 분야에서는 스승 오원(吾園) 장승업(張承業 1843-1897이후)의 고전형식주의(古典形式主義) 예술세계를 계승하여 20세기초 신고전(新古典) 세계를 개창함으로써 미술사를 새로운 단계로 이끌어 올리는 위대한 업적을 쌓았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중식에 관한 연구는 그 역사상 위치에 비해 소략하다. 더구나 사후 일백년도 지나지 않았는데 그 생애마저 불투명한 상황이다. 생애사는 작가연구의 토대를 이루는 분야인데 안중식 생애사의 미흡함은 그 동안 안중식 연구가 얼마나 소홀한가를 알려주는 증거이기도 하다. 안중식 생애사 연구에서 의미있는 몇가지 기록 이외에 연구자에 의한 최초의 생애연구는 1971년 장신영의 석사학위논문 <<심전 안중식의 연구>>이다. 뒤를 이은 연구는 1974년 이경성은 <조선조와 근대의 가교 심전 안중식>과 같은 해 김정의 <한국미의 발굴자 심전 안중식의 생애> 그리고 1978년 이구열의 <소림과 심전의 시대와 그들의 예술>가 있는데 이들 연구가 안중식 생애사의 대략을 보여주는 초기 연구라 하겠다. 1980년대는 안중식 연구가 풍성했던 때로 1980년 이단아의 《심전 안중식의 회화연구》, 1987년 조정육의 《심전 안중식의 작품세계》, 1989년 허영환의 〈전환기 한국화단의 기수〉, 1990년 이구열의 <심전 안중식: 전통의 계승, 근대 한국화의 개창〉이 꾸준히 출현했다. 그 뒤 한동안 잠잠했다가 세기가 바뀐 2000년 최열의 〈안중식 신고전의 세계〉를 통해 재평가를 꾀했던 것을 시작으로 생애사 연구의 진전을 꾀하여 2003년 박동수의 《심전 안중식 회화연구》가 등장했다. 1971년 장신영으로부터 2003년 박동수에 이르기까지 33년 동안 안중식 생애사 연구는 더디지만 상당한 진척을 이룩했다. 하지만 기초 자료의 부족으로 말미암아 아직도 미흡하기 그지 없고 또한 이미 알려진 생애사 가운데서도 모호한 내용이 상당하다. 따라서 이상의 모든 연구성과를 종합하고 그 토대 위에 몇가지 자료를 추가하여 생애를 재구성해야 할 필요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요청에 대한 응답이 바로 이 <안중식 행장>이다. Simjeon(心田) An Jung-sik (安中植 1861-1919) is the master of artistic and literary circles in the twentieth century. He was not only the scholar of painters in twentieth century, but also was a master who made remarkable achievement in all aspects: in social perspective, he was a revolutionist and joined Gaehwadang (Enlightenment Party of the Joseon) to change society, and in the art field, he assembled the artists of the era and formed art society of the twentieth century. Regarding the works, An succeed Owon Jang Seung-eop"s (張承業 1843-1897 after) classical-formalism, which An was able to establish Neoclassic world and led art history to the new level. Nevertheless, regarding An Jung-sik"s position in art history, examinations on An Jung-sik is pretty rough. Besides, less than a hundred year has passed after his death, but even his life research is in vague level. Life history research is the foundation of artist research, but the of An’s life history insufficiency obviously tells how indifferent the research is. Beside few meaningful records in An Jung-sik’s life history, the first academic writing of An"s life history is Jang Shin-young’s Master’s degree dissertation “A Study on Simjeon An Jung-sik” in 1971. The following researches are early studies that approximately approached the biography of An Jung-sik: Lee Kyung Sung’s "The Bridge of Joseon Dynasty and Modernism: Simjeon An Jung-sik", "An Excavator of Korean Beauty Simjeon An Jung-sik"s life" written by Kim Jeong at the same year, and " The Age of Sorim and Simjeon and Their Art" by Lee Gu-yeol in 1978. In the 1980s, the studies on An Jung-sik were abundantly made, and the following papers were composed: "Studies on Simjeon An Jung-sik"s Paintings" by Lee Dan-ah in 1980, Cho Jeong-yook"s "Simjeon An Jung-sik"s Art World", and Huh Young-hwan"s "Leader of Transition period in Korean Art" in 1989 and an essay by Lee Gu-yeol-‘Simjeon An Jung-sik: a Succession of the Tradition and the Origin of Korean Modern Paintings’. After a while, the papers on An were hardly found, but in 2000, Choi Youl stated "An Jungsik"s Neo-Classic World" and this triggered a revaluation. This led the big development in life history of An, which caused "Research on SimjeonAn Jung-sik"s Paintings" written by Park Dong-su in 2003. From the paper of Jang Shinyoung written in 1971 to that of Park Dongsu in 2003, the life history examination of An Jung-sik made a slow but significant progress. However, confronting lack of basic source causes insufficiencies and still An"s noted life history contains considerable number of ambiguous contexts. Thus, every examination results must be synthesized and with some references added, and the reconstruction of his life story is required. The response towards this request is the "Life history record after death of An Jung-sik".

      • KCI등재

        인터넷 활용능력이 한국어교육에 미치는 영향

        최열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1 한국언어문화학 Vol.8 No.2

        This study is about the effect of internet application competence on Korean language achievement. Today, the development of computers and other digital devices in our way of life has brought great changes. Recognizing and extracting necessary information, the correct assessment, reconstruction of selected information for problem solving and for the reuse of post-storage and shared with others are required in the new digital era. These required can be called the Internet Application Competence. I analyzed the effect of Internet Application Competence on Korean language achievement of Chinese students who study Korea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in order to improve the Internet Application Competence of students. 1) The development of measure tool of Internet Application Competence is needed. 2) the study on the effect of Internet Application Competence subdivision on the Korean specific subjects should be performed in a material way. 3) a systematic curriculum for the specific sub-components Internet Application Competence should be delivered in conjunction with the existing curriculum. 4) the teachers' retraining programs for sub-components Internet Application Competence are needed. (Paichai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