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바잘트 섬유 및 하이볼륨 플라이애시를 사용한 모르타르의 유동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최연왕,오성록,박만석,최병걸,Choi, Yun-Wang,Oh, Sung-Rok,Park, Man-Seok,Choi, Byung-Keol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14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Vol.2 No.4

        This study was evaluated influence of fluidity properties according to basalt fiber and high volume fly ash in the mortar level, as part of a basic study for development of fiber reinforced concrete using basalt fiber and high volume fly ash. In the first step, it was evaluated that fluidity properties of mortar according to replacement ratio 6 level of fly ash(10, 20, 30, 40, 50 and 60mass%) and fluidity properties of mortar according to content 5 levels of SP(1.3, 1.5, 1.7, 1.9 and 2.1%) and content 5 levels of VA(0.2, 0.4, 0.6, 0.8 and 1.0%) for dispersion of the basalt fiber, in the second step, it was evaluated that fluidity properties of mortar using High-volume fly ash (50mass%) on 3 levels of basalt fiber length (6, 20 and 30mm). Results of assessment, if after a fiber mixed, it showed that viscosity agent is more effective to improve the fluidity and fiber dispersion than superplasticizer, high volume fly ash (50%) applying the mixing, due to three properties of fly ash, showed that the improved fiber dispersibility and flow improvement.

      • KCI등재

        강섬유가 혼입된 고유동 자기충전 콘크리트의 유동 및 강도 특성

        최연왕,최욱,정재권,안태호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09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3 No.1

        본 연구에서는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시공성 및 품질향상 방안의 일환으로 고유동 자기충전 콘크리트(HSCC)에 형상비 및 길이를 달리한 강섬유(SF)를 혼입한 콘크리트를 제조하여 강섬유보강 일반콘크리트(CC)와 유동 및 강도 특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실험결과 SF를 혼입한 HSCC는 높은 유동성 및 점성의 영향으로 SF 자체의 뭉침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강섬유보강 CC의 경우보다 유동성능 및 통과성능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동일한 압축강도 범위에서 SF를 혼입하지 않은 HSCC의 경우보다 쪼갬 및 휨강도는 SF의 형상비와 관계없이 길이가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통하여 강섬유를 혼입한 HSCC를 현장 적용할 경우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강섬유보강 CC의 경우보다 시공성 및 품질 향상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concrete, in which the steel fiber(SF) with different volume-surface ratios and lengths was intermixed in High flowing Self-Compacting Concrete(HSCC), was produced to compare with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as a part of plan to improve the workability and the quality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As the result of experiment, the flowing and passing characteristics of HSCC intermixed with SF was highly improved as there was no fiber ball phenomenon due to the effect of high flowability and the viscosity, and in the identical range of compressive strength, it showed the tendency that the splitting and flexural strength was increasing as the length was getting longer regardless of volume-surface ratio when compared with HSCC which was intermixed with SF. It is estimated that in case of application of HSCC intermixed with steel fiber to work sites, it would be possible to improve the workability and the quality which would be better than that of steel fiber reinforced concrete which has been used.

      • 플라이애시 및 석회석 미분말을 사용한 고유동 노출 콘크리트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최연왕,오성록,김지훈,김경환,Choi, Yun-Wang,Oh, Sung-Rok,Kim, Ji-Hoon,Kim, Kyung-Hwan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13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Vol.1 No.1

        최근 노출 콘크리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노출 콘크리트의 사용이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구조물은 점차 복합한 단면 및 조밀한 철근으로 인하여 기존의 노출 콘크리트용 일반 콘크리트를 적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노출 콘크리트에 고유동 콘크리트를 적용하기 위하여 플라이애시 및 석회석 미분말을 사용한 고유동 노출 콘크리트를 제조하였으며, 콘크리트의 품질특성(유동특성, 역학특성 및 표면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배합은 OPC 및 LSP10을 기준배합으로 하였으며, FA 혼합률(0, 10, 15 및 20)에 따라 콘크리트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고유동 노출 콘크리트의 유동특성, 역학특성 및 표면특성은 소요 요구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플라이애시 및 석회석 미분말의 혼합에 따라 유동성 및 표면마감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노출 콘크리트용 고유동 콘크리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자료로써 활용하고자 한다. Recently, the interest is increasing about the exposed concrete, accordingly, exposed concrete is expanding the use. However, concrete structures is difficult to apply the general concrete for exposed concrete, due to complex section and compact reinforcement, increasingly. Therefore, in this paper, for application of high fluidity concrete as exposed concrete, exposed high fluidity concrete using fly ash and lime stone powder was manufactured and observed quality property(fluidity properties, mechanical properties and Surface Properties) of exposed high fluidity concrete. The experiments are based on the OPC and LSP10, was evaluated Impact on the quality of concrete according to mixing ratio of FA(0, 10, 15 and 20). As a result, fluidity properties, mechanical properties and Surface Properties of exposed high fluidity concrete were satisfied to requirement conditions, fluidity and surface finishability was improved depending on mix of fly ash and limestone powder. Through this, we utilize of basic research data for development of high fluidity concrete for exposed concrete.

      • KCI등재

        캡슐화된 팽창성 무기재료 기반 고상 치유재 활용 시멘트 복합재료의 균열 자 기치유 및 역학적 회복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최연왕,남은준,김철규,오성록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22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Vol.10 No.1

        본 논문에서는 SC가 시멘트 복합재료의 균열 자기치유 성능 및 역학적 회복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캡슐화된팽창성 무기재료 기반 고상 치유재를 제조하였다. SC는 시멘트 복합재료에 혼합하여 기초특성, 투수시험, 하중 재부하 시험을평가하였다. SC는 시멘트 복합재료의 플로우를 다소 향상되었으며, 압축강도는 약 10 % 감소하였다. 또한 휨강도의 경우약 30 % 감소하였다. SC를 시멘트 복합재료에 5 % 혼합할 경우, Plain의 균열 자기치유율이 약 Δ10 % 수준을 향상시키는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중 재부하 실험 결과, Plain의 역학적 회복율을 약 Δ20 % 수준을 향상시키는 것으로나타났다. 균열 자기치유율과 하중 재부하 시험에 의한 역학적 회복율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SC로 인하여 Plain의 치유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석회석 미분말 및 플라이 애시를 사용한 고유동 콘크리트의 공극구조에 관한 연구

        최연왕,엄주한,Choi, Yun-Wang,Hooton, R.D.,Eom, Joo-Han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11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지 Vol.6 No.3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의 크기 및 분포상태는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결정하는 요인 중 하나이며, 구조물의 성능을 판단하는데 중요한 지표로 사용된다. 최근 고유동 콘크리트(High-Fluidity Concrete 이하 HFC로 약함)에 대한 연구는 많은 시공사례와 함께 진행되고 있지만, 콘크리트의 내구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공극구조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30 MPa 범위의 일반콘크리트(Conventional Concrete 이하 CC로 약함) 및 석회석 미분말 및 플라이 애시를 사용한 HFC를 제조하여 콘크리트의 공극구조를 비교 분석 하였다. 실험결과 30 MPa 범위의 CC 및 HFC의 평균 공극 직경은 HFC가 CC보다 작게 나타났으며, SEM 분석 결과 HFC가 CC보다 전체적으로 내부구조가 치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HFC가 CC보다 내구성 측면에서 우수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size and distribution of concrete void was one among the factor determining durability of concrete. Recently, there was a lot of researches related to the High-Fludity Concrete(HFC) with field applications. However, the research about the void structure having an effect on durability of concrete is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research, Conventional Concrete(CC) and HFC using lime stone powder and fly-ash of 30 MPa range was manufactured and observed the void structure of CC and HFC.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average pore diameter in the case of the 30 MPa range HFC was to be lower than CC and SEM analyzed result, HFC was firmer inner structure than CC.

      • 방호·방폭용 뿜칠형 고성능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 개발을 위한 레올로지 특성 연구

        최연왕,최병걸,박만석,성돈,Choi, Yun-Wang,Choi, Byung-Keol,Park, Man-Seok,Sung, Don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14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Vol.2 No.3

        방호 방폭용 뿜칠형 고성능 섬유보강 시멘트 복합재료(HPFRCC) 개발을 위한 기초적인 연구의 일환으로 페이스트, 모르타르 및 HPFRCC 각 단계에서 구성재료의 레올로지 특성을 평가하였다. 페이스트 단계에서 레올로지 실험결과, GGBFs 및 FA의 경우 혼합률 증가에 따라 소섬정도 및 항복응력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F의 경우 혼합률 10% 이후부터 소성점도 및 항복응력이 급격하게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르타르 단계에서 레올로지 실험결과, 잔골재의 종류 즉, 잔골재의 입형 및 입도는 소성점도 및 항복응력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Vs/Vm의 변화는 항복응력 보다 소성점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HPFRCC 단계에서 유동성 및 레올로지의 실험결과, 섬유 혼입 후 유동성 및 섬유분산성 개선에는 SP 보다 VA가 더 유효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was evaluated the rheology properties according to each step of paste, mortar and HPFRCC as a part of the basic study to development of sprayed 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HPFRCC) for protection and blast resistant. Rheology test results in step of paste, in case of GGBFs and FA, it showed that the plastic viscosity and yield stress reduced gradually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mixing rate, and in case of SF, the plastic viscosity and yield stress increased radically starting from the mixing rate of 10%. Rheology test results in step of mortar, type of aggregates, it showed that particle shape and grading of aggregate is influence on plastic viscosity and yield stress, and change of volume ratio is influence on plastic viscosity than yield stress. Fluidity and rheology test results in step of HPFRCC, if after a fiber mixed, it showed that viscosity agent is more effective to improve the fluidity and fiber dispersion than superplasticizer.

      • KCI등재

        알루미나 시멘트 활용 이끼 판넬의 품질 및 생물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최연왕,오성록,김철규,이재흔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19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Vol.7 No.1

        In this stud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mother material of panel were evaluated for the production of moss panel using alumina cement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al impact characteristics of moss panel were evaluated. The ratio of W/B 10%, Vs/Vm 20% and foaming agent 0.5% were selected as the basic mixing ratio for the mother panel of moss panel through pretest and SAP was added to improve the moisture content of panel. The optimal mixing ratio of SAP was considered to be less than 0.5% considering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lso, through the use of alumina cement, the pH of the panel could be lowered to 10~11. The panel was able to improve the surface roughness through the foaming agen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SAP had an effect of improv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panel. For the environmental impact characteristics of the moss panel, the moss panel evaluated the carbon dioxide reduction performance and the fine dust cleaning performance.

      • 파이넥스 수쇄 슬래그 잔골재의 혼합률에 따른 콘크리트의 품질특성 평가

        최연왕,조봉석,오성록,박만석,Choi, Yun-Wang,Cho, Bong-Suk,Oh, Sung-Rok,Park, Man-Seok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14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Vol.2 No.2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발생되고 있는 파이넥스 수쇄 슬래그를 콘크리트용 잔골재로써 활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파이넥스 수쇄 슬래그 잔골재의 기초물성을 평가하였으며, 파이넥스 수쇄 슬래그 잔골재를 사용한 굳지않은 콘크리트의 특성, 경화된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을 보통강도 및 고강도 영역에서 강사와 비교 평가하여 콘크리트용 잔골재로써 사용성 검토를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파이넥스 수쇄 슬래그를 사용한 콘크리트와 강사를 사용한 콘크리트의 품질특성은 동등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evaluated the quality properties of Finex Water Granulated Slag fine aggregate as part of a study to recycle the Finex Water Granulated Slag generated in korea, and examined the availability as fine aggregate for concrete by comparing properties (properties of fresh concrete, mechanical properties of hardened concrete) of concrete using Finex Water Granulated Slag fine aggregate with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river sand as fine aggregate.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quality properties of concrete using finex water granulated slag as fine aggregate and concrete using river sand as fine aggregate are equivalent level.

      • KCI등재
      • KCI등재

        자기치유 마이크로 캡슐을 혼합한 시멘트 복합재료의 품질 및 균열 치유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최연왕,오성록,김철규,남은준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9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3 No.1

        In this study, self - healing microcapsules which can be mixed directly with cement composites were prepared, and the quality and crack healing performance of cement composites with self - healing microcapsules were evaluated. In the past, it has been focused on evaluating self-healing capsules and crack healing properties. Therefore, self - healing microcapsules have been studied for their effect on the quality of cement composites when mixed with cement composites. The table flow and the air flow rate of the cement composite material mixed with self-healing microcapsules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nfluence on table flow and air volume regardless of mixing ratio. Compressive strength and splitting tensile strength tended to decrease with increasing capsule mixing ratio. As a result of evaluation of crack healing properties according to water flow, initial water permeability decreased, and reaction products were generated over time and cracks were healed.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복합재료와 직접 혼합 가능한 자기치유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하였으며, 자기치유 마이크로 캡슐이 혼합된 시멘트 복합재료의 품질 및 균열 치유 성능 특성을 평가하였다. 종래의 경우 자기치유 캡슐 제조와 균열 치유 특성 평가에만 치중되어 평가되어 왔다. 따라서 자기치유 마이크로 캡슐은 시멘트 복합재료와 혼합시 시멘트 복합재료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자기치유 마이크로 캡슐을 혼합한 시멘트 복합재료의 테이블 플로우 및 공기량 평가 결과 혼합율에 관계없이 테이블 플로우 및 공기량은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압축강도 및 쪼갬인장강도는 캡슐 혼합율이 증가할수록 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Water Flow에 따른 균열 치유 특성 평가 결과 초기 투수량이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시간 경과에 따라 반응 생성물 발생하여 균열이 치유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