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원촉지(原蜀誌)』의 서사적 특징과 그 의미 -새로운 이본 소개를 겸하여

        최어진 ( O Chin Choe ),박재연 ( Jae Yeon Park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48 No.-

        이 논문은 『원촉지(原蜀誌)』의 새로운 이본을 소개하고 작품의 서사적특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원촉지(原蜀誌)』는 중국 삼국시대 때 활약한 촉(蜀)나라 인물들이 환생하여 서진(西晉)을 공격하는 내용을 그린 필사본 한글소설이다. 지금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본(권3, 권4 총 2책)이 유일본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에 선문대학교 중한번역문헌연구소 소장본(권1과 권4, 총2책)이 발굴되었다. 두 이본은 내용상 거의 동일하지만 표기법에서 일부 차이를 보인다. 국어학계의 연구 성과를 참고하면 이화여대본의 필사시기가 선문대본보다 앞설 것이라는 추정이 가능하다. 선문대본과 이화여대본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본고에서 확인한『원촉지』의 서사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촉지』는 『삼국지연의』 의 파생작들이 공유하고 있는 ‘촉한정통론’의 자장 안에서 탄생된 것이지만, 역사에 대한 이해와 ‘환생구조’를 통해 나름의 성취를 보여주고 있다. 둘째, 『원촉지』는 환상계를 이분법적으로 설정하고 그들을 현실세계로 소환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는데, 이는 신마소설의 영향을 일부 받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형식적이나마 유불도가 통합된 세계로서 환상계를 묘사하고 있는 점도 신마소설과의 관련성을 시사한다. 이같은 『원촉지』의 서사적 특징은 당대 독서 시장의 상황과 관련하여 이해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 new version of Won-chok-ji recently discovered from the collections of the Institute for Translation of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of Sunmoon University and to examine its distinctive narrative features. The new version of Won-chok-ji does not differ so much in contents from the previous version preserved in Ewha Women갽s University. The differences are found in their orthography. Judged from the differences, Won-chok-ji in Ewha Women``s University seems to be chronologically earlier than that in Sunmoon University. Distinctive narrative features of Won-chok-ji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on-chok-ji succeeded the idea of the legitimacy of Sh.[?] & Han as many other novels did. However, it differentiated itself from other novels in its reincarnation structure. Second, in Won-chok-ji, fantasy world is divided into two different spaces and this could be from gods and demons fiction[神魔小說] of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such as Xiyouji[西 遊記] and Fengshenyanyi[封神演義]. Won-chok-ji demonstrates attempts at blending the idea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It is the another connected link between gods and demons fiction and Won-chok-ji. These narrative features of Won-chok-ji are possibly based on market deman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장끼전>에 나타난 폭력과 그 의미 : 작품의 결말구조와 관련하여

        최어진(Choe, Ochin) 한국고전연구학회 2020 한국고전연구 Vol.0 No.48

        이 논문에서는 <장끼전>에서 ‘폭력’이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 이 폭력이 ‘피해자’로서의 까투리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까투리를 지나치게 기능적으로 파악해오던 기존의 시각에 문제를 제기하고, 피해자로서의 까투리의 내면에 대해 고찰하는 과정을 통해 그간 돌출적이라고 취급되어 온 몇몇 이본의 결말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였다. <장끼전>에서 까투리는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폭력에 시달린다. 까투리를 향한 폭력의 주체는 장끼만이 아니다. 추위, 배고픔은 물론이고 장끼의 죽음이나 그 뒤에 찾아오는 수많은 새들의 존재와 행태 역시 까투리에게는 폭력이었음이 자명하다. 따라서 <장끼전>에서 폭력은 개인적이고 구조적인 방식으로, 또는 문화적인 차원에서 까투리의 삶을 억압한다. 본고에서는 이 반복적이고 중층적인 억압으로 인해 <장서각본>이나 <이수봉본> 등에서 까투리가 자신의 삶에 폭력을 행하는 결말에 주목해 보았다. 이들 이본에서 까투리는 숱한 새들의 청혼을 거절하다가 느닷없이 가장 폭력적인 방식으로 재가를 요구하는 장끼에게 굴복해버리거나, 아예 스스로의 삶을 끝내버린다. 이와 같은 결말은 단순히 ‘돌출적’이라고 치부되어서는 안 되며, 폭력의 피해자로서 까투리가 겪었을 억압과 고통에 대한 관심을 끝까지 유지한 결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라고 보았다. 폭력의 피해자가 겪을 수 있는 자책이나 자기 부정, 자포자기의 감정에 주목한 결과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한편 삶을 포기하려던 까투리가 신체적 장애가 있는 장끼에게 재가하는 <고려대본>의 결말에 대해서는 또 다른 약자와의 ‘연대’를 통해 피해자의 삶이 폐기되지 않고 지속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결론지었다. <장끼전>은 다채로운 결말을 통해 향유층의 다양한 의식 세계는 물론이고 폭력과 폭력의 참상에 대한 통찰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새롭게 논의될 지점이 많다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examine Jangkkijeon, with a special focus on the character of ‘Kkaturi’ as the victim of the story. Kkaturi had been exposed to multiple and repetitive violence, which were personal, structural, and cultural. In this regard, reading Jangkkijeon as a narrative of the victim might give new meaning to some of the endings of this piece which were considered unimportant or unusual. Furthermore, exploring how the violence affected Kkaturi’s mind and life would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lives of victims of violence. In some versions of this piece, such as Jangseogak(藏書閣)’s and Lee subong’s versions, Kkaturi committed ‘reflexive violence’ to her own life. In these versions, she submitted to the threats of a violent Jangkki or put herself to death. Even if these endings are unexpected and shock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y show serious and insightful recognition on the tragedy of violence. Meanwhile, in the Korea Univ.’s version, Kkaturi got married again to another Jangkki, named Jangdoryeong, who was with disabilities. This ending shows us a new perspective for her life through the solidarity of the two weak creatures, Kkaturi and Jangdoryeong. More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the various endings of Jangkkijeon presented in different versions.

      • KCI등재

        이본 비교를 통해 본 ‘노일저대귀일의 딸’의 입체적 형상과 폭력의 실체

        최어진(Choe, Ochin) 한국무속학회 2021 한국무속학 Vol.- No.43

        이 논문에서는 제주도 서사무가 〈문전본풀이〉의 이본 15종을 대상으로 인물 관계의 구체적 국면에 드러나는 ‘노일저대귀일의 딸’(이하 노일저대)의 형상을 면밀히 살피고, 이를 통해 작품에 나타난 폭력과 그 의미에 대해 규명하고자 했다. 이는 노일저대가 ‘악인’으로만 논의되어 오면서 그의 다양한 면모가 조명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그가 저지르는 폭력 행위의 심리적 · 사회구조적 맥락에 대한 고려가 충분하지 않았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된 것이다. 15종의 이본을 두루 살펴보았을 때, 남선비와의 관계에서 노일저대는 그간 논의된 것처럼 쾌락적이거나 퇴폐적인 인물로 볼 수만은 없다. 일부 이본에서 노일저대는 노름, 유흥, 향락 등과 무관하게 그려진다. 특히 남선비가 좌절감에 빠져 아무런 노동을 하지 않는 반면 노일저대는 품팔이를 다니며 남선비를 먹여 살린다. 이러한 상황에서 〈문전본풀이〉의 몇몇 이본들은 여산부인의 등장으로 인해 노일저대가 겪었을 소외, 혹은 이에 대한 두려움을 보여준다. 여기에 더해 남선비의 형상을 통해 이들의 관계가 매우 취약한 기반 위에 놓여있었다는 점 또한 보여준다. 노일저대는 이러한 두려움 때문에 여산부인을 살해한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아들들과의 관계에서도 노일저대는 철두철미한 냉혈한이라기보다는 두려움이 많은 나약한 인간으로 그려진다. 어떤 이본에서는 허술하고 겁이 많아 조롱의 대상이 된다. 또한 노일저대가 가정과 지역사회 내에서 배제되고 축출되리라는 불안과 두려움, 자포자기의 심정을 느끼는 부분이 나타나기도 한다. 노일저대는 이 두려움 때문에 아들들들 죽이려 하고, 자살에까지 이른다. 노일저대가 느끼는 두려움과 그가 보이는 나약함은 노일저대 개인의 태생적인 문제로 치부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문전본풀이〉 이본들은 노일저대의 폭력을 역사적으로 소외와 배제를 경험한 첩/계모 집단의 문제로 형상화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달리 말해, 이 신화는 노일저대의 폭력을 그가 이미 겪었거나 간접적으로 학습한 폭력의 결과로 그려내고 있다. 그러나 결말부에서는 노일저대를 향한 아들들의 복수심을 강조하고, 끝내 그 신체를 찢음으로써 그가 저지른 폭력이 결코 용서받을 수 없으리라는 진실 또한 담아내고 있다. 남선비를 이 가정에 닥친 불행의 책임으로부터 벗어나게 하려는 전략이 작품 곳곳에 숨어 있다는 점에서 〈문전본풀이〉는 가부장 중심의 사고를 반영한 신화로 읽힐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몇몇 이본들은 남선비를 향한 비판과 조롱의 시선을 통해 이 가정에 닥친 불행과 위기의 근본적인 원인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다. 이러한 의문은 특히 노일저대를 통해 본격적으로 제기된다. 새롭게 가족구성원으로 유입된 그는 과격하고 폭력적인 언어와 행위를 일삼는데, 이는 역으로 기존의 가부장 중심의 가족 질서가 지닌 부당함을 드러내는 기능을 한다. 요컨대 〈문전본풀이〉 이본들은 노일저대의 입체적인 형상과 작품 속 다층적인 폭력을 형상화하고, 이를 통해 가부장 중심의 가족질서에 균열을 일으키며 전승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violence embodied in the Munjeonbonpuri b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oiljeodaeguil’s daughter (Noiljeodae)’ and other characters described in 15 different versions of the work. When comparing specific asp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oiljeodae and NamSeonbi appearing in 15 different versions, she seems to be far from being lazy, decadent, and hedonistic in their relationship as discussed so far. Also, some Munjeonbonpuri versions capture and show the feelings of alienation and fear that Noiljeodae experienced with the appearance of Yoesanbuin. Meanwhile, in her relationship with her stepsons, Noiljeodae is portrayed as a weak person trembling in fear of being alienated or killed. Munjeonbonpuri portrays the violence as a result of the collective weakness that has historically experienced alienation and exclusion, rather than a problem of an individual with an evil disposition. In other words, the work depicts violence in close relationship with the violence she experienced directly or indirectly.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Munjeonbonpuri provides insights into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context in which violence occurs through the character Noiljeodae. Munjeonbonpuri is likely to be regarded as a myth that contains patriarchal ideas. However, these 15 versions of the work create a rift in the patriarchal thinking by embodying the various aspects of the Noiljeodae and the multi-layered violence that can occur in a male-dominated social system.

      • KCI등재

        <천수석>에 나타난 악인의 서사와 서술의식 연구

        최어진(Choe, Ochin) 우리말글학회 2022 우리말 글 Vol.92 No.-

        이 논문에서는 <천수석>에 등장하는 악인의 서사를 통해 작품의 서술의식을 규명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양부인‧간옥지‧이초혜의 심리에 주목하여 그 욕망의 실체를 면밀하게 분석하고, 그것이 드러나거나 행위로 추구되는 구체적 국면에서 나타나는 서술자의 태도, 주변인물의 시각과 평가, 인물의 최후 등을 종합하여 작품의 서술의식을 살펴보았다. 양부인은 위부 내에서 겪고 있었던 지위불안과 열등감, 이부인에 대한 선망이 위보형의 귀환과 함께 병적으로 자라나 악행을 저지른다. 간옥지는 본래부터 지배적‧폭력적 성향을 지닌 인물로 나타나며, 설옥영을 성적으로 지배하려는 욕망이 위보형‧이극용에 의해 좌절되자 그 수치를 다시 설옥영을 겁탈하는 방식으로 해소하기 위해 악사를 꾸민다. 한편 이초혜는 위보형을 향한 흠모의 마음이 커지자 병을 앓다가 참지 못하고 반복적인 음행을 저지르는데, 그 과정에서 좌절과 모욕을 당하고는 위보형을 잊고 오로지 임금을 미혹하여 권력을 장악하는 데 몰두하게 된다. 이후 이초혜는 자신의 권력에 위협이 되는 인물들을 공격하기 위해 갖은 계교를 꾸민다. 이렇듯 <천수석>은 양부인, 간옥지, 이초혜의 악행을 개개인이 이미 겪고 있었던 심리적 문제나 타고난 기질, 여기에 더해진 외부 사건이 복합적으로 빚어낸 결과로 그려낸다. 따라서 이 세 인물이 저지르는 악행의 의미는 상이하며, 작품의 시각 또한 다르게 나타난다. 양부인의 욕망은 그 결과가 갖는 폭력성이 서사화 될지언정, 주변인물이나 서술자에 의해 직접적으로 부정되지 않는다. 한편 이초혜가 위보형을 사모하고 음행을 저지를 때 위보형이 수위 높은 비난을 반복하는 것과 달리 서술자는 이초혜로부터 완전하게 거리를 두지 않는다. 특히 두 인물의 욕망이 행위로 구체화될 때, 작품은 그 이면에 존재하는 내면의 고통과 심리적 문제를 응시하여 독자로 하여금 그들의 행위를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그러나 이초혜가 임금을 미혹하고 권력에 집착하면서부터 그의 욕망은 철저히 비난받게 되며, 인간성 전체가 부정되기에 이른다. 이초혜에 대한 시각이 변화함에 따라 양부인도 비난의 대상이 된다. 이와 대조적으로 간옥지는 등장부터 짐승에 비견되는 외모와 내면을 지닌 인물로 그려지며, 그의 욕망이나 행위에 대한 이해의 가능성 또한 거의 제시되지 않는다. 서술자는 시종일관 그에게 거리를 둔다. 따라서 간옥지와 이초혜가 같은 최후를 맞이한다고 해서 그들의 욕망과 삶이 같은 수준으로 부정되고 있다고 볼 수는 없다. 이초혜의 욕망은 수평적/사적인 것에서 수직적/공적인 것으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이므로, <천수석>은 전자에 한해서는 비교적 유보적인 태도를 취하되, 후자에 대해서는 직접적으로 경계‧부정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간옥지와 이초혜, 양부인에 대한 시각 차이를 통해, <천수석>에서는 기질적인 악랄함에 기인한 악행과 심리적인 문제나 환경적 요인에 기인한 악행을 분리해 다룬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특질들을 통해 <천수석>에서는 악을 철저히 개별화‧위계화하고, 각각의 의미를 분리해 다루려는 의식을 읽어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narrative consciousness in Cheonsuseok, with a special focus on the narrative of the villains. Yang-buin(Mrs. Yang) commits evil because of the anxiety over her status in Wi’s family, inferiority feeling and envy for Lee-buin(Mrs. Lee). Gan Okji is portrayed as a character with dominant and violent disposition. He is obsessed with appeasing his shame caused by Wi Bohyeong and Lee Geukyong by raping Seol Ogyeong, the wife of Wi Bohyeong. Lee Chohye"s love for Wi Bohyeong grows bigger and bigger, and she becomes ill. She, therefore, commits fornication repeatedly and helplessly. However, Wi Bohyeong despises Lee Chohye and refuses her affection. Doing so, he makes her feel insulted. As a result, Lee Chohye totally loses her affection for Wi Bohyung. Instead, she tries to seduce the king and gain the regal power. People around Mrs. Yang and the narrator do not directly criticize Yang-buin in the work, despite her desire leading all to a big tragedy. As Lee Chohye commits immoral acts continuously, Wi Bohyeong criticizes her bitterly many a time. However, the narrator does not keep a distance from her and gives sympathy to her. Since Lee Chohye seduces the king and has obsessed with the royal authority, her desire and whole life have been criticized by the narrator and other characters. Accordingly, Yang-buin is also criticized as well. In contrast, Gan Okji appears as a character with an animal-like appearance and inner self. Any valid excuse for his desire or behaviors is hardly presented in the work. In conclusion, Cheonsuseok evaluates a villain differently depending on what kind of desire he/she has. Furthermore, the work depicts the meaning of evil acts differently depending on what drove him/her to become a villain.

      • KCI등재

        ‘뺑덕어미’ 인물 형상의 현대적 재해석과 계승

        최어진 ( Choe O-chin ) 한국고소설학회 2023 古小說 硏究 Vol.56 No.-

        This paper examines the contemporary representation of Bbaengdeok-eomi the female character in Korean classical novel Simcheonjeon, focusing on Hong Sayong’s novel Bbaengdeoki-ne(1938), Oh Taeseok’s play Bbaengdeok-eomi Goodpan(1986), Kim Sojin’s novel Goaddeon Bbaengdeok-eomum(1993), and the KBS drama For Bbaengdeok-eomi(1995). Chapter 2 explores the relevance of these works to the original work Simcheongjeon, focusing on the character of the Bbaengdeok-eomi, and Chapter 3 discusses several commonalities in contemporary representations of these works. These works all start from a compassionate view of Bbaengdeok-eomi and are novel in attempting to reevaluate her character, but the fact that traditional and male-centered values are involved in the process of reevaluation leaves much to be desired. Therefore, these works could not completely inherit the images of deviation and liberation of Bbaengdeok-eomi in Simchengjeon. However, they are still valuable for the opportunity they afford us to reflect on the one-sided evaluation of females both inside and outside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