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기업의 소유구조와 재무적 특성

        김중길,최애화 한국회계정보학회 2006 회계정보연구 Vol.24 No.2

        김중길*최애화**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about the effect of the ownership structure of Chinese Listed companies on their financial characteristics and profitability.As the market economy system was brought into China, the portion of individual ownership has increased in Chinese companies and the portion of State and public ownership have decreased. The companies that have a large portion of individual ownership may tend to pursue individuals' profit and it can affect the financial performance of companies. Therefore, companies' ownership structure can effect on the financial structure and performances.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listing ratio(which is the ratio of listed stock to total issued stock) does not influence stability ratio. But state ownership ratio(which is the ratio of State owned stock to total issued stock) does affect stability ratio, and the stability ratios are differ among the state ownership types.Second, listing ratio affects the growth ratios, but the degrees of specific variables' influences are not consistent. This indicates that the companies which has increased in listing ratio and the companies with low state ownership have been growing in size due to their active investment activities.Third, listing ratio has no effect on activity ratios. But the companies with high State ownership have high degree of assets utilization. The cause of this result is not clear whether the companies with high State ownership have a efficient assets utilization or the companies with low State ownership have a active investment activities.Fourth, a company with low listing ratio shows a high net income to total assets, and state ownership ratio and state ownership types don't affect profitability.

      • KCI등재

        연속감사제도하에서 감사인 교체요인에 관한 연구

        김중길,최애화 한국회계정보학회 2011 회계정보연구 Vol.2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cisive factors that affect auditor change under the consecutive audit system, and to analyze the sensitiveness of factors according to company siz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putation of auditor does not affect auditor change. It means that in Korea it is not sufficient to recognize auditor reputation of large accounting firms. Second, when changing auditor, large-size companies prefer large-size accounting firms to medium/small-size accounting firms and medium/small-size companies prefer medium/small-size accounting firms to larger-size ones. Third, when the rate of decrease of audit fee is high, auditor change increases and when audit fee is low, auditor change decreases. This means that audit fee is important in auditor change in domestic audit market. Fourth,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the company size and audit fee in auditor change. Fifth, between the change of company's CEO and auditor change, when CEO is changed, auditor change increases. Sixth, in changing company's CEO, medium/small-size companies are more sensitive to auditor change than large-size ones.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에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3년 연속감사제도하에서 감사인 교체의 결정요인들을 감사인특성에서 감사인 평판, 감사특성에서 감사보수, 그리고 기업특성에서 경영자 교체를 선정하여 분석하고, 결정요인별로 기업규모에 따른 차이를 민감도로 분석하였다. 감사인교체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분석에서는 이변량 로지스틱분석을 사용하고 종속변수로는 감사인 교체여부, 독립변수로는 감사인 평판, 감사보수, 경영자 교체를 그리고 기업규모, 유동비율, 부채비율, 자기자본수익율을 통제변수로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사인의 평판은 감사인 교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국내에서 아직까지 감사인 평판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여 대형회계법인의 감사품질에 대한 긍정적인 영향이 아직 감사인 선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함을 의미한다. 둘째, 감사인을 교체할 때 기업규모와 감사인 평판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분석 결과 감사인 교체시 대기업은 대형회계법인을 선호하고 중소기업은 중소형회계법인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사보수의 증감과 감사인 교체간에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감사보수의 감소율이 클수록 감사인 교체는 증가하였고 증가율이 작을수록 감사인교체는 증가하였다. 넷째, 감사인 교체시 중소기업과 대기업사이에 감사보수에 대한 민감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외부이해관계자가 상대적으로 적어 감사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하는 중소기업은 감사보수를 상대적으로 중요시 여긴다는 예상과는 차이가 있었다. 다섯째, 경영자 교체와 감사인 교체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지에 대한 분석결과 경영자 교체시 감사인을 더 교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경영자 교체시 중소기업이 대기업보다 감사인 교체에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