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총칭문 , 총칭구 및 논중

        최승언 한국불어불문학회 2000 佛語佛文學硏究 Vol.44 No.2

        일반적으로 總稱文은 總稱性과 類型性을 겸한 문장으로 묘사되고 있다. 總稱性이란 어떤 部類 전체가 언급의 대상에 해당됨을 말한다. 그런데 이 전체라는 의미의 폭에 따라 총칭문의 성격이 달라지게 마련이다. "고래는 포유동물이다"란 총칭문은 모든 사람이 인정한다. 모든 고래는 예외 없이 포유동물이기 때문이다. 이런 문장이 나타내는 진리를 필연적 진리라고 한다. "프랑스 사람들은 포도주를 마신다"나 "아시아 사람들은 쌀을 주식으로 한다"등의 문장도 나름대로 총칭성을 나타내는 문장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비록 일반적으로 받아 들여 지는 사실이라 하더라도 필연적 진리라고는 볼 수 없다. 왜냐하면 이에 상반되는 예외적인 상황이 언제든지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런 차이에도 불구하고 일단 모든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인정하는 사실을 표현해 주고 있다고 간주되고 있다. 이에 비해 "고양이는 情이 없는 동물이다"라는 문장은 이를 말하는 사람들에게만 총칭성이 있는 문장이지 다른 사람들에게는 전혀 그렇지가 못 한 것이다. 어떤 이들은 똑같은 신념을 가지고 "고양이는 정이 많은 동물이다"라고 말할 것이다. 이 두 문장 중 어느 것도 예외라고 볼 수가 없고 결국은 반대의 두 문장이 동등한 자격으로 총칭문의 자격을 나누어 가졌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런 총칭문을 局部的 총칭문이라고 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두 종류의 문장과 달리 언어집단의 일부에서만 총칭성을 부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각종의 총칭 문에서 한 부류가 전체적으로 공유한 屬性이나 特徵이 바로 그 부류의 類型을 정의해 주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총칭문의 구조적 특성인 총칭성과 유형성 중 전자는 문제의 部類를 지칭하는 名辭句에 속한 특성이고 후자는 서술어에 속한 특성이라고 고려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총칭문의 서술어는 超時間性, 非事行性을 띠고 있다고 믿어지고 있다. 즉 동작묘사보다는 상태묘사에 더 가까운 편인 것이다. 한편 총칭문의 명사구, 즉 總稱句의 구조적 특성은 프랑스어에서는 관사 문제와 직결된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한국어에서는 주로, 특수조사 -은/는, 주격조사 -이/가, 복수표현 -들 문제와 깊은 관계를 가진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결국 한국어에서 총칭문이 前提, 주제-평언, 주어-서술어, 수량화 문제를 제기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총칭문 중에서 필연적 진리를 나타내는 문장이 외부세계의 과학적인 진리를 그때마다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면 일반적 진리를 나타내는 문장들은 어떻게 인간들이 언어수단을 통해 주관적이며 경험론적으로 외부세계를 묘사하는가를 보여주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바로 이런 유형의 문장들이 언어를 통한 논증행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해 볼 수가 있다. 즉, 이들이 논증행위의 그 근거나 출발점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그뿐 아니라 이들 문장은 논증행위의 직접 대상이 될 수도 있다. 즉, 이런 문장에 근거해서 논증을 할 수있을 뿐 아니라 이들 문장에 대한 우리의 비판적, 우호적 태도를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 특히 우리의 시선을 끄는 것이 -(이)나, -만, -도를 사용한 논증행위인데, 이들 요소와 직접 연결되는 문장부분이 특히 위에서 말한 총칭구이다. 프랑스어에서도 총칭구에 논증성을 띠운 표현을 첨가할 수있다. 그러나 상기 특수조사들의 특징은 바로 거의 예외 없이 前提性을 띠고 있으며 동시에 문장 수준에서 개입하는 것이 아니라 담화 수준에서 개입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들 요소를 통한 논증행위는 문장내부에서 일어나는 논증현상보다 序列上 앞서 있거나 또는 그 위에 있어 이를 지배하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한국어에서의 논증행위 연구에서 이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여기에서 총칭문과 논증문제를 동시에 제기 한 것은 두 가지 이유 때문이다. 총칭문은 담화의 일반 前提 基底를 형성한다고 볼 수 있는 반면, 논증은 발화 순간에 일어나는, 논쟁성이 뚜렷한 주관적 언어행위를 말한다. 이런 이유로 총칭문은 상기 특수조사들의 논증적 기능을 잘 들어 내주고 있다. 동시에 총칭문은 의미 분석에서 분석대상 이상의 중요성이 있다고 볼 수있다. 위에서 말했듯이 총칭문을 통해서 언어가 그 스스로를 가장 잘 들어내고 있기 때문에 그 자체로서 이미 메타언어의 자격이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의미를 연구할 때 문장이나 표현의 분석에서 분석의 기준이나 척도가 될 수 있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Considering Criteria to Make Test Questions of Scientific Creative Problem Solving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최승언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04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13 No.-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needs a guideline in order to develop the test questions for creative scientific problem solving for identifying science gifted students, We present the following criteria for planning the guideline:1) thinking process, 2) inquiry process skill, 3) requiring multiple answers,4) preferring higher-order thinking ability, 5) preferring non-typical and/or interdisciplinary problems, 6) preferring scientific contents of testee' level, 7) preferring objective measurement.The importance of each criteria can be varied depending upon the goals and directions of the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s.

      • KCI등재

        지구과학 I·II 교과서에 수록된 불일치 용어의 대안 탐색

        최승언,함동철,유희원 한국지구과학회 2011 韓國地球科學會誌 Vol.31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screpant Earth Science terms in high school curriculums and to explore the alternative to those terms. In this study, we defined discrepant terms as different terms which had the same meaning in Earth Science textbooks. Discrepant terms were compared with terms in references and precedent studies, and the preference by 284 of teachers and students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 number of discrepant terms were found in references as well as high school textbooks. Participants preferred terms that are more understandable, were learned previously, and were correct to loanword orthography. As for the cases of discrepant terms caused by different notation of proper nouns or different references and background knowledge, the alternative could be explored by the rule of loanword orthography or the journal publications. In conclusion, confusion may be reduced by utilizing common terms that are both based on authorized theory and easy to convey the meaning.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지구과학 불일치 용어를 조사하고 그 대안을 탐색하는데 있다.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서에서 같은 의미를 지니면서 다른 용어를 사용하는 경우 이를 불일치 용어로 정의하였다. 불일치 용어를 참고문헌과 선행 연구의 용어와 비교한 후, 284명의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불일치 용어는 고등학교 교과서는 물론 참고문헌에서도 다수 조사되었다. 선호도 조사 결과 의미가 쉽게전달될 수 있는 용어, 이전에 학습한 용어, 외래어 표기법에 맞는 용어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그리고 고유명의 표기가 다르거나 서로 다른 문헌과 배경 지식에 기반하고 있는 불일치 용어는 외래어 표기법과 학회 발간물에 근거하여 대안을 모색할 수 있다. 따라서 공인된 이론에 근거하고 의미 전달이 쉬운 지구과학 용어를 공유하여 사용함으로써 혼란을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