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데카르트적 주체에 대한 한 가지 독해 - 경이, 사랑, 관대함의 정념을 중심으로

        최슬아 ( Choi Seul Ah ) 한국미학회 2018 美學 Vol.84 No.4

        이 글은 『영혼의 정념들』(1649)을 중심으로 인간 몸과 정념에 대한 데카르트의 논의를 다룸으로써, 데카르트적 주체가 자기 몸을 매개로 세계를 경험하는 존재임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예비적으로 데카르트가 사용하는 corps(꼬르) 개념의 의미를 분석하고, 심신 결합체로서 인간이라는 논의 지평을 도출한다. 뒤이어 외부 세계의 경험을 경이와 사랑의 정념을 통해 구체화할 것이다. 그런데 데카르트적 주체와 세계의 만남을 강조하는 독해는 자아 밖의 타자라는 계기를 인정함으로써 윤리적 국면을 만들어낸다. 이런 맥락에서 우리는 ‘관대함’에 주목함으로써, 데카르트적 인간이 세계 경험을 통해 자기 이해를 확장하며 그 결과 타인에 대한 의식으로 뻗어나간다는 점을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독해는 데카르트적 주체를 과장된 회의를 통해 확보된 형이상학적 주체가 아니라, 정념을 통해 세계를 경험하고 타인을 마주하는 행위 주체로서 이해하게 해 줄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show that Cartesian subject experiences the world through his/her corps(body). For this project, I will discuss the Cartesian concepts of human body and passions. First of all, by analyzing the multi-layered meanings of the corps, preliminary condition of the Cartesian subject emerges: a human being as a union of mind and body. As an embodied soul, a human experiences the external world with the passions of wonder and love. When we pay attention to encounter between the Cartesian subject and the world, existence of others can be revealed. In this regards, I argue that the Cartesian subject not only recognizes the self, but also extend his/her self-consciousness to others. This reading will shed light on the Cartesian subject as an agent who experiences the world and encounters others with passions not as a meditating self-centered ego.

      • KCI등재

        데카르트 사유에 나타난 미적 경험의 가능성 : 『영혼의 정념들』(1649)을 중심으로

        최슬아 ( Choi Seul Ah ) 한국미학회 2017 美學 Vol.83 No.1

        데카르트는 『영혼의 정념들』(1649)에서 정념이 영혼과 몸이 결합해 있는 인간에게 고유한 현상일 뿐만 아니라, 나에게 좋은 것과 나쁜 것을 알려줌으로써 삶을 보존하게 해주는 유용한 것이라고 말한다. 데카르트는 정념의 과도함을 경계하고 정념의 선한 본성을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인간을 `관대함`의 덕을 획득한 인간이라고 본다. 특히 관대한 인간은 정념의 무절제로부터 벗어나 내면의 평정을 누린다는 사실에서 독특한 기쁨과 만족, 즉 `내적 정서`를 갖는다. 그런데 데카르트는 관대함의 덕에 이르는 길을 예술을 통한 `미적 경험`의 맥락에서 예화한다. 이 글은 미적 경험을 통해 갖게 되는 `정신적 기쁨`이 관대함의 내적 정서와 거의 유사하다는 것을 밝힘으로써, 미적 경험이 관대함을 획득하게 해주는 유비적 방식을 제공함을 보일 것이다. 데카르트의 정념 개념을 통해 미적 경험의 의미와 역할을 탐구함으로써 그의 『정념론』은 정념적 인간과 미적 경험, 도덕의 관계 속에서 재해석될 가능성을 얻는다. This article explores a possibility of “aesthetic experience” in Descartes` philosophy, especially in his theory of passions. For Descartes passions are both unique and good to human being as a union of soul and body, because passions contribute to maintaining of human life. In spite of passions` good nature, it should be regulated if it becomes excessive and out of control. Descartes equates the man who can regulate excessive passions and use its good nature with the generous. The generous man has unique joy and satisfaction due to the fact that he is free to immoderation of passion and has inner peace, Descartes calls it “internal emotion.” For Descartes, however, the issue of generosity is exemplified with `aesthetic experience`, by which we might have particular state of mind when we appreciate art such as literature and tragedy. According to Descartes, we have not only diverse passions while we enjoy art, but also unique pleasure called “intellectual joy.” So to speak, when we appreciate art, diverse passions are never excessive because art is not real, but virtual. Therefore, when we contemplate the fact that we never lose our mind from harmfulness of passions, intellectual joy comes out. Especially interesting from our point of view is the fact that Descartes identifies internal emotion of the generous with intellectual joy of aesthetic experience. As a consequence, we could experience virtue of generosity analogically by appreciating art. That is, aesthetic experience would provide a chance to be the generous m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