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벽면녹화(Green-wall) 색채 유지를 위한 관리방안

        최스란(SueRan Choi),김유선(YooSun KIM),윤평섭(PyunSub Yoon) 한국색채학회 2013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6

        서울시는 2012년 자연에너지를 극대화한 친환경 건물 에코프라자를 신축하고 실내에 거대 수직정원 Green-wall을 조성하였다. 에코프라자 수직정원 Green-wall은 단순히 녹지 확보만을 위한 벽면녹화가 아니고 식물자체에서 표현되는 색채를 활용한 디자인벽면녹화로서 다양한 의미와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식물의 기본색상인 Green계열을 주조색으로 식물마다 가지고 있는 명도, 채도를 고려하여 조화롭게 배치하고, 꽃과 열매가 피는 시기를 고려하여, 계절에 따라 다른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도록 계절별로 색채계획하였다. 본 연구는 색채 계획되어 배치된 14종의 6만 5천본 식물의 유지관리현황을 분석하고 식물의 생육과 자연 색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가능한 관리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에코프라자는 건물 외벽과 대부분의 내벽이 유리로 처리되어 있어 자연광을 그대로 받기 때문에 계절별로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는 생육환경이 조성되는 식물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기술력을 기반으로 설계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중앙통제실에서 계절별로 적정온도를 조절하여 이용자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지만 식재된 식물 중 스킨답서스 ‘마블(Epipremnum aureum ‘Marble Queen’)은 광량이 부족하면 잎의 무늬가 없어지거나 강조색으로 배색 계획된 꽃과 열매도 개화와 결실을 하려면 충분한 광이 필요하므로 온도와 습도를 유지해서만은 식물 본연의 색채를 유지하기 힘들다. 이렇듯 에코프라자 수직정원 Green-wall은 시각적인 디자인을 중요시하여 설계한 만큼 계획된 색채디자인이 잘 유지될 수 있도록 벽면녹화를 유지관리하는데 필요한 인력과 비용을 고려하고 지속적인 온도, 습도, 광량의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이다. The environmentally friendly Eco Plaza building that you take full advantage of the natural energy was constructed by Seoul city, in 2012, and was to be created as a huge vertical garden(Green-wall) indoors. Vertical garden is designed as Green-wall that is utilizing color of plant, simply not the wall to ensure green space. G-color of the plants was placed together considering the brightness, saturation, Moreover green-wall was designed by season of blooming and bearing fruits to be able to produce different atmospheres. In this study, maintenance of the 14 species, 65,000 plants are analyzed. And this study proposed a sustainable management plan to maintain the natural colors and plants growth. Eco plaza was built by glasses inside and outside to penetrate natural lights. So it seems to be designed by the technology of the durable environment for flourishing plants in any seasons. Even if the appropriate temperature was seasonally controlled in the central room to provide a comfortable environment to users, pattern of the Pothos(Epipremnum aureum ‘Marble Queen’)’s leaves disappear when lack of light and flower, fruit that was the planned-color to highlight color were needed a sufficient light for flowering and fruition. So it is difficult to be maintain the color of the plants under a proper temperature and humidity. This way, Eco Plaza vertical garden designed as much as important visual design, maintain the costs and manpower will be required, and need continuous monitoring of temperature, humidity, light.

      • 서안(西安) · 장사(長沙) · 광저우(廣州) 도시색채 비교분석

        ZENGRUN,최스란(Sueran Choi),김유선(Yoosun Kim) 한국색채학회 2022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22 No.12

        도시색채는 도시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안, 장사, 광저우 세 도시별 색채 요소를 분석하고 도시이미지 형성에 색채가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서안, 장사, 광저우 세 도시를 비교해 본 결과 중국의 도시 지리적, 환경적 특성에 따라 각각 상이한 특징을 보였다. 역사적인 건축물과 입체적인 도로가 많은 서안은 PB와 P계열의 색채가 중심적이고, 주변이 산으로 둘러 쌓인 장사는 GY와 G계열, 항구 도시인 광저우는 PB계열이 도시에서 중심적으로 나타났고 이는 각 도시의 인문환경, 건축물 등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도시별로 분석한 색채 데이터를 이용하여 중국 도시 색채 계획에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관엽식물 색채분석을 통한 색표집 제안

        김유선(YooSun Kim),최스란(SueRan Choi),전봉(Bong Jun) 한국색채학회 2014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8 No.1

        관엽식물의 객관적인 색채 정보를 확보하고 관엽식물을 구분할 때 이용할 수 있는 체계적인 색상 판별표준 색표집을 제시하고자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국내 유통되고 있는 관엽식물 색채를 분석 후 국내?외(서울색 100색 색표집, 공공디자인 색채표준 가이드 색표집, RHS color chart)색표집을 분석한 내용을 적용하였다. 국내 색표집인 서울색 100색 색표집과 공공디자인 색채표준 가이드 색표집에서는 목적에 맞는 대상을 선택한 방법과 색측값을 넣은 방법을 선택하였다. 국외 색표집인 RHS color chart에서는 추출되는 모든 색채를 사용한 방법과 색채계열 분류와 구성방법을 선택하여 적용하였다. 관엽식물 색표집은 색상계열로 분류 후 각 색상계열의 색채를 채도 10단계로 나눠서 분류 후 채도 8~10단계의 색채를 기준색으로 색상환 별로 나열 후 각 기준색을 다시 8단계((기준색→채도가 높고 명도가 낮은 색→Grayish하며 명도가 높은 색→채도가 높고 명도가 낮은색 순으로 그라데이션으로 구성)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제안된 관엽식물 색표집은 45종에서 같은 종이라도 다른 무늬와 색채로 육종된 더 많은 식물이 추가되어야 하며 전문가에 의해 채도가 높은 색을 선별 시 명확한 환경에서의 전문가의 의한 선별에 관한 계속적인 검증과 확인이 필요하다. 또한 8단계 구성을 제작하여 사용 후 단계의 수정단계가 필요하며 8단계 구성에서 추출된 색을 넣고 부족한 단계에서 임의 색채를 넣을 때, 과학적이고 전문가에 의한 시각적인 선택의 기준의 명확성에 대한 한계가 있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방법으로 색표집을 제작하여, 여러 문제점을 파악 후 여러 번의 개정판을 제작하는 단계 필요하다. 이처럼 제안된 관엽식물 색표집은 여러 수정해야 할 부분과 한계점이 있지만, 국내에서 유통되는 식물에 관한 색표집이 없는 실정으로 본 연구를 기초로 자연색채의 활용성이 높아지고 식물관련 업종이나 학계에서도 관심가지기를 기대해본다. To suggest a systemic color distinction standard that can be used to obtain objective color information on ornamental foliage as well as classify ornamental foliage plants, the followings are found: After analyzing ornamental foliage plant colors distributed in Korea, a domestic and international (Seoul color 100colors color atlas, public design color standard guide color atlas, RHS color chart)color atlas is applied. This Seoul color 100colors color atlas which is a domestic color atlas and public design color standard guide color atlas used to select suitable objects and obtain color values. RHS color chart, a foreign color atlas is to extract colors as well as for color line classification and configuration. After classifying ornamental foliage plant colors into a color series, each color series is classified into a 10-step chroma. Colors of the 8-10-step chroma is listed according to the color wheel as principle colors. Each principle color shall be arranged as a gradation in the following 8-step order (principle color →colors with high chroma and low brightness→grayish with high brightness→colors with high chroma and low brightness). For the suggested ornamental foliage plant color atlas, more plants with other patterns and colors are added among 45 types. When an expert selects a color with a higher chroma, continuous verification in a proper environment is required. After establishing the 8-step composition, there is a modification step. There is a limitation in terms of clarity of visual selection standards by the expert when the extracted colors are put into the 8-step composition, and random colors are in a deficient step. By producing a color atlas, various problems can be solved. Even though this suggested ornamental foliage plant color atlas requires additional modifications and has limitations, utilization of natural colors as well as interest in plant-related jobs can be increased.

      • KCI등재

        서울시 신청사 에코프라자 벽면녹화의 온도 · 습도 변화에 따른 식물색채 변화분석

        김유선(YooSun Kim),최스란(SueRan Choi)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4

        현대인들은 일상생활의 대부분을 실내에서 생활하고 있어 자연을 접하기 어려워 실내공간에 식물을 도입하여 녹지공간을 조성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서울시 신청사 에코프라자 실내에 조성된 벽면녹화는 다른 디자인요소 없이 식물 본연의 색을 이용하여 색채계획 디자인된 실내벽면녹화이다. 이렇듯 디자인적인 색채 측면을 강조한 만큼 계획된 디자인이 잘 유지되려면 식재된 식물의 생육상태가 좋아서 식물 본연의 색이 또렷하게 잘 나타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인위적인 녹지공간과 대형 실내벽면 녹화인 점을 고려해 식물의 생육상태 현황과 적절한 생육환경조절이 필수이다. 본 연구에서는 벽면녹화에 적절한 생육환경에 따른 식물의 색채변화를 분석하여 벽면녹화 식물 색채가 잘 유지될 수 있는 기본데이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테이블야자(Collinia elegans Liebm)는 평균 온도 18℃, 습도 41%, 광도 310lux인 11월에 생육상태가 불량해지며, 엽색의 선명도가 감소하고 명도가 낮아졌다가 평균 온도 20℃, 습도 32%, 광도 794lux인 3월부터 다시 엽색의 선명도가 증가하였다. 산호수(Ardisia pusilla)는 무늬색이 없는 식물로 고사하는 식물 없이 양호한 생육상태를 보였다. 프테리스(Pteris cretica "Albolineata") 평균 습도 33.3 ± 1.0% 인 겨울(12-2월)에 엽색의 선명도가 크게 떨어져 습도에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아이비(Hedera helix L.)는 10월 이후에 식물 일부가 고사하여 많은 엽색의 변화가 있었다. 실내에서 잘 자라는 식물임에도 급격한 온도·습도의 차이로 식물이 고사하거나 무늬가 사라져 식재된 식물의 색채가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실내벽면녹화를 조성할 때 기존 식물 색채계획이 지속가능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생육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식물의 색채를 파악하여 식물을 선정하고, 실내 벽면녹화에 적절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다양한 실내 벽면녹화 환경에서의 식물 생육상태를 연구하여, 국내 실내 벽면녹화에 다양한 식물을 식재하고 지속가능하게 유지할 수 있는 관리방안을 계속적으로 연구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In modern times, since people generally spend most of their time indoors, they are unable to be amidst nature. Therefore, introduction of plants in the inner space, in an attempt to create green space is increasing. In the wall greening created inside the eco plaza of the new government office building in Seoul, color planning was designed by using the original colors of plants without incorporation of other design elements. With the increased use of artificial green space and large-scale indoor wall greening, growth conditions of plants and proper control of the growth environment need to be maintained. Results of our study results revealed that Collinia elegans Liebm did not grow well in November, at an average temperature of 18°C, humidity of 41%, and luminous intensity of 310 lux. Visibility of the leaf color increased from March with luminous intensity of 794 lux. Ardisia pusilla, a plant without any color pattern, exhibited good growth without withering. For Pteris cretica "Albolineata", decreases in winter (December to February), it could likely be due to humidity. Leaves of Hedera helix L. wither after October, accompanied by drastic changes in leaf color. Although this is an indoor plant, the plants withered or the color pattern disappeared due to drastic differences in temperature and humidity . Thus, in indoor wall greening, in order to maintain the color of plants, it is important to select plants that do not change color with the changes in the growth conditions, as well as to maintain appropriate indoor environment conditions. In addition,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on plant growth in diverse indoor wall greening environments and to determine management measures for the sustainability of various indoor plants that can be used for wall greening.

      • 광원에 따른 미생물이 처리된 분화용 시클라멘의 화색 분석

        김유선(Yoosun Kim),최스란(Sueran Choi) 한국색채학회 2013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10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이어 근권미생물이 처리된 시클라멘의 광원에 따른 화색(花色, flower color)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유용미생물이 화색에 쓰이는 활용범위를 넓히고자 하였다. 식물선정은 재배방법이 용이하고, 시장성이 우수한 미디엄품종으로 시클라멘(Cyclamen)을 선정하였고 이 식물에 활용성이 좋고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용미생물인 광합성세균(Photosynthetic bacterium),유산균(Lactobacillus plantarum)을 5가지의 각기 다른 배율로 처리하였다. 그리고 식물의 꽃잎을 측색기(X-rite Eye-One Pro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스펙트럼 데이터를 얻은 후, 주광(D50)을 기준광으로 하여 일반 가정에서 가장 사용 빈도가 높은 3가지 조명(Incandescent Illuminant A, Cool White Fluorescent-F2, TL85-F10) 아래에서 꽃잎의 색채가 어떻게 시각적으로 나타나는지 비교?분석하였다. 미생물 처리 시 광원의 따른 화색은 미생물의 종류별로 차이를 보였지만 채도가 낮은 화색에서는 미생물을 처리하지 않거나 특정한 미생물 처리군을 제외하고는 광원별 차이를 보이지 않고 화색도 양호하였다. 채도가 높은 화색은 고농도에서 화색이 광원별로 색상의 차이를 보였고 대체적으로 화색의 질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화색 조절 시 미생물 활동을 시도해 본다면 경제적으로나 상품성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