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 이독성 질적 평가 요인의 설명력 분석- 교육용 정보 텍스트를 중심으로 -

        최소영,박태준 한국어교육학회 2022 국어교육 Vol.- No.179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xtent to which the 16 text evaluation criteria developed by Choi et al. (2021) can explain or predict the readability of informational texts.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16 text evaluation criteria as independent (predictor) variables and the readability level of informational texts as a dependent (outcome) variable.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addres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1) How well do the 16 text evaluation criteria predict informational texts’ appropriate grade-levels judged by a group of school teachers? In other words, how much variance in the informational texts’ readability levels can be explained by the scores on these 16 measures? (2) What are the best predictors of informational texts’ readability levels? Are these best predictors more or less the same across elementary and secondary texts? (3) Do the best predictors identified from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and those perceived by a group of school teachers differ?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pproximately 62.3% and 62.4% of the variance in the informational texts’ readability levels can be explained by the 16 evaluation criteria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texts, respectively. Of the 16 evaluation criteria for elementary and secondary texts, 6 and 9 criteria were respectively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readability level of informational texts. For both elementary and secondary informational texts, evaluation criteria related to the ‘content’ of texts, such as background knowledge demand, amount of information provided by texts, and difficulty of vocabulary, proved to b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readability level of informational texts. Some similarities were also noted between the best predictors of text readability levels identified from regression analyses and those perceived by a group of school teachers as the most important text evaluation criteria.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se overlapping criteria should be given priority when judging the readability of informational texts. 본 연구는 최소영 외(2021)에서 텍스트 이독성을 질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개발한 16개의 텍스트 내적 요인 중심의 질적 평가 요인의 이독성 수준에 대한 설명력을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아울러 회귀분석 결과 정보 텍스트의 이독성 수준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질적 평가 요인들과 이독성 수준 판정에 참여한 교사들이 경험적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질적 평가 요인들을 비교하였다. 이로써 16개 요인들이 질적 평가에 유의미하게 기여하고 있으며,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평가 요인은 텍스트의 ‘목적’, ‘구조’, ‘표현’보다는 주로 ‘내용’ 범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초등학교 수준과 중학교 수준을 설명하는 요인이 유의하게 차이가 남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은 질적 평가 요인의 설명력에 관한 통계적 검증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그를 통하여 교육용 텍스트 위계 설정 근거의 타당화에 기여하였다는 연구사적 의의를 지닌다. 후속 연구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비교 우위적 요인들을 정교화하면 상대적으로 적은 개수의 요인만으로도 이독성 수준을 보다 효율적이면서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을 것이며, 이독성 연구를 비롯한 텍스트 위계 관련 연구의 지평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안구운동추적을 사용한 아동의 언어처리 특성 연구: 우리글 읽기에서 초등학생의 지각폭 측정

        최소영 한국학습장애학회 2016 학습장애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이동-창 기법을 활용하여 우리글 읽기에서 초등학생들의 지각폭을 측정하고, 이를 이미 보고된 대학생과 중학생자료와 비교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지각폭은 읽기 기술의 숙달 또는 결함을 시사하는 의미 있는 변인으로 여겨져 왔다. 초등학교 4-6학년에 재학 중인 일반 아동 2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최소영, 고성룡(2009; 2014)에서 사용된 문장 중 60개와 초등학생 참가자의 읽기 수준에 적절하도록 추가 제작한 문장 48개를 읽도록 하였다. 문장 자극은 각각 3, 5, 7, 9, 11자 창의 크기에 배정되었고 자연스럽게 글을 읽는 동안에 관찰된 읽기율, 고정 시간, 도약거리, 되돌아읽기 등의 안구운동 측정치를 계산하여 차폐가 없는 통제 조건과의 수행을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이 우리글을 읽을 때 보이는 지각폭의 크기를 대략 9자, 즉 오른쪽으로 3-4자 정도라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지각폭의 발달적 추이와 문장의 난이도가 아동의 글읽기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ual (or the span of effective vision) of norm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still-developing reading skills and visuo-attentional processes, using the “moving-window display change technique.” Twenty norm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They read 60 difficult sentences (Choi & Koh, 2009; 2014) and 48 age-appropriate sentences. Six different window sizes were used in the experiment. These sizes included 3, 5, 7, and 11 characters as well as a whole line. The reading rate, number of fixations, saccadic distance, fixation duration, and regression rate were compared between each window-size condition and the whole line condition. Considering the pattern of eye-movement measures above, the size of the perceptual span of norm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n reading may be estimated to be 9 characters, that is, 4 characters to the right of the fixation. Although beginning readers apparently have smaller spans than more proficient readers, sentences appropriate to their reading level could be read more profici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size of the perceptual span varies depending on reading skill, but the perceptual span is quite similar across languages in terms of information obtained.

      • KCI등재

        하악골에 발생한 양성 섬유성 조직구종의 치험례

        최소영,김진욱,권대근,신홍인,변기정,김진수,Choi, So-Young,Kim, Jin-Wook,Kwon, Tae-Geon,Shin, Hong-In,Byeon, Ki-Jeong,Kim, Chin-Soo 대한악안면성형재건외과학회 2008 Maxillofacial Plastic Reconstructive Surgery Vol.30 No.4

        Benign fibrous histiocytoma(BFH) is a mesenchymal cell-originated tumor composed of cells with fibroblastic and histiocytic differentiation. BFH occurs predominantly on sun-exposed skin of extremities. Oral BFH lesions are uncommon. The majority of oral lesions includes the soft tissue but not the jaw bones. The lesion appears as well-defined multilocular radiolucencies associated with bony swelling when it occurs on the jaw. The lesion induces the thinning and expansion of the cortex and shows many thin, indistinct septa in the lesion. Surgical excision is the choice of treatment. The recurrence rate is low and metastasis has not been reported. We report the clinical, radiographic and microscopic findings of a BFH case occurred in the mandible with literature reviews.

      • KCI등재

        고밀도 폐유리와 제강슬래그의 중량 콘크리트 골재로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최소영,김일순,최윤석,양은익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9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3 No.2

        The many countries are facing the shortage of natural resources, and the supply of aggregates are being exhausted. To consider this situation a variety of studies were performed for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resources. In particular, high density filler material was used for shielding radioactive waste, large amount of natural aggregates are required in order to produce filler material. Also, in order to improve the shielding performance of filler material, it is required to increase the density of the filler material. Therefore, in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vide basic data for expanding the feasibility of high density industrial waste resource as aggregate in heavyweight concrete. From the test results, OPC case, concrete strength decreased by using heavyweight waste glass as fine aggregate, however, it is improved by using mineral admixture as binder. Therefore, when the heavyweight waste glass and steel slag are applied to heavyweight concrete, it is desirable to use mineral admixture, especially to use BFS than FA. Meanwhile, when the steel slag was replaced as coarse aggregate of heavyweight concrete, elasticity of modulus and radiation shielding performance can be improved owing to high density of steel slag. 현재 많은 국가들이 천연자원이 고갈되는 문제에 직면해있고, 골재 공급이 어려운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기 위하여 대체 자원 개발을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어왔다. 특히, 방사성 폐기물의 차폐를 위해 사용되는 고밀도 채움재는 많은 양의 골재를 필요로 한다. 또한, 채움재의 차폐 성능 개선을 위해서는 채움재의 밀도 증가가 요구된다. 따라서 밀도가 높은 산업폐자원의 중량콘크리트 골재로의 활용성을 확대하기 위한 기초 자료의 제공을 위해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실험결과, OPC의 경우, 고밀도 폐유리에 의해 감소된 콘크리트의 강도는 제강슬래그를 사용해도 개선되지 않으나, 광물질 혼화재를 결합재로 사용하면 성능이 개선되었다. 따라서 고밀도 폐유리와 제강슬래그를 중량 콘크리트에 적용할 경우, 광물질 혼화재와 함께 사용하고, FA보다는 BFS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제강슬래그를 중량콘크리트의 골재로 대체할 경우, 제강슬래그의 높은 밀도로 인하여 탄성계수와 차폐성능의 개선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 2004 상반기 부산 지역에서 유행한 인플루엔자의 임상 역학적 분석 및 인플루엔자 진단에 있어서의 신속 항원 검사법

        최소영,이나영,김성미,김길현,정진화,최임정,조경순,Choi, So Young,Lee, Na Young,Kim, Sung Mi,Kim, Gil Heun,Jung, Jin Hwa,Choi, Im Jung,Cho, Kyung Soon 대한소아감염학회 2004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1 No.2

        목 적 : 인플루엔자는 매년 전 세계적인 유행을 일으키는 급성 호흡기 질환으로 높은 이환율과 사망률을 보이나 국내에서는 진단법에 있어 임상 진단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저자들은 2004년 상반기 부산 지역에서의 인플루엔자의 역학적 특성과 임상 양상 및 인플루엔자의 진단에 있어서 신속 항원 검사법인 QuickVue 인플루엔자 테스트의 유용성에 대하여 연구하여 인플루엔자 감시 및 진단, 치료에 있어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 법 : 2004년 1월부터 6월까지 부산 메리놀병원 외래, 입원 및 응급실 방문 환아 중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이 의심이 되는 환아의 발병 시기, QuickVue 인플루엔자 테스트의 결과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배양 결과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배양된 환아들의 발병 시기, 성별, 연령, 임상진단, 임상 양상, 검사 소견,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 유무, QuickVue 인플루엔자 테스트 결과 및 치료 경과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결 과 : 1) 연구 기간 중 621명의 인플루엔자 의심 환아 중 QuikcVue 인플루엔자 테스트 양성은 181례(29.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배양 양성은 79례(12.7%)이었다. 2) QuickVue 인플루엔자 테스트 양성 181례 중 74례(40.8%)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배양되었고 QuickVue 인플루엔자 테스트 음성 440례 중 5례(1.1%)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배양되었다. 3)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분리된 환아들 중 A형 인플루엔자가 65례(82.2%), B형 인플루엔자가 14례(17.7%)이었다. 4) 인플루엔자 의심 환아 621명의 발병 월별 분포는 2004년 1월 32례(5.1%), 2월 67례(10.8%), 3월 298례(47.9%), 4월 204례(32.8%), 5월 14례(2.2%), 6월 6례(0.9%)로 3, 4월까지 집중적으로 발생하였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분리된 79명의 발병 월별 분포는 3월 49명(62%), 4월 30명(37.9%)이었다. 5)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분리된 79명 중 남아가 44명(55.6%), 여아가 35명(44.3%)으로 남녀 성비는 1.2 : 1로 남아가 더 많았다. 6)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분리된 79명의 환아들의 중앙연령은 4년 6개월(11개월~16세) 이었고, A형은 4세 7개월(11개월~16세), B형은 5세 9개월(13개월~14세)로 A형이 B형보다 중앙 연령이 낮았다. 7)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분리된 환아들의 임상진단은 기관지염이 27례(34.1%)로 가장 많았고, 폐렴 21례(25.3%),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인플루엔자 18례(22.7%), 급성 중이염14례(17.7%), 크룹 5례(6.3%), 천식악화 3례(3.7%), 부비동염 1례(1.2%), 열성 경련 1례(1.2%)순이었으며 2가지 이상의 진단명을 가진 경우도 흔하였다. 8)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분리된 환아들의 임상양상으로는 발열이 79명(100%)의 환자에서 나타났고 기침은 71명(89.8%)에서 나타났고 그 외 흔한 증상은 비루 71명(89.8%), 인두통 48명(60.7%), 두통 38명(48.1%), 오한 36명(45.5%), 근육통 30명(37.9%), 소화불량 28명(35.4%), 복통 19명(24.0%), 설사 16명(20.2%), 구토 5명(6.3%), 경련 2명(2.5%)순으로 나타났다. 9)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분리된 환아들의 진찰 소견으로는 인두 발적 70명(88.6%), 편도 비대 41명(51.8%), 건성 수포음 26명(32.9%), 수포음 8명(10.1%), 고막 충혈 8명(10.1%), 결막 충혈 5명(6.3%), 천명 3명(3.7%), 협착음이 3명(3.7%)에서 동반되었다. 결 론 : 인플루엔자는 매년 겨울과 봄에 유행하는 소아 호흡기 감염의 중요한 원인으로 소아의 건강상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으므로 적절한 예방, 진단, 치료가 필수적이다. 인플루엔자의 진단에는 보편적으로 임상적 진단과 바이러스 배양법이 사용 Purpose : Although influenza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ause of acute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 children, virus isolation is not popular and there are only a few clinical studies on influenza and diagnostic methods. We evaluated the epidemiological and clinical features of influenza in children and rapid antigen detection test(QuickVue influenza test) on fist half of the year 2004 in Busan. Methods : From January 2004 to June 2004, throat swab and nasal secretion were obtained and cultured for the isolation of influenza virus and tested by rapid antigen detection test(QuickVue influenza test) in children with suspected influenza infections.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influenza virus infection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Results : Influenza viruses were isolated in 79(17.2%) out of 621 patients examined. Influenza virus was isolated mainly from March to April 2004. The ratio of male and female with influenza virus infection was 1.2 : 1 with median age of 4 years 6month. The most common clinical diagnosis of influenza virus infection was bronchiti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influenza A and B infection in clinical diagnosis and symptoms. All patients recovered without severe complication. The sensitivity obtained for rapid antigen detection test (QuickVue influenza test) was 93.6% and the specificity was 80.2%,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 40.8%, the negative predictive value 98.8%. Conclusion : With rapid antigen detection test, it is possible early detection of influenza in children. reduction in use of antimicrobial agent and early use of antiviral agent.

      • KCI우수등재

        어휘평가 결과를 활용한 인공지능(AI) 기반 어휘등급 조정 모델 개발 연구

        최소영,장태홍,김소정 국어국문학회 2023 국어국문학 Vol.- No.2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odel in which artificial intelligence (AI) adjusts the grade of the vocabulary subject to evaluation by reflecting the learner's vocabulary evaluation results. To this end, artificial intelligence that can statistically analyze the vocabulary evaluation results taken by students in '책열매', a Korean language education web service for 3rd to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nationwide. In addition, we developed an AI model that can automatically adjust vocabulary grades by reflecting the results of vocabulary evaluation. This is a model that can adjust the vocabulary level by combining a neural network model that mimics the Rasch model for vocabulary evaluation results and a neural network model that uses vocabulary feature values. On the other hand, considering the case where it is difficult to accumulate the vocabulary evaluation results, a model that predicts the vocabulary level using only the characteristic values ​​of vocabulary without evaluation results was additionally developed. However, since this model is less accurate than the model using the lexical evaluation result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model and reinforce the data in the future. After applying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t will be possible to secure the qualitative validity of the adjusted vocabulary level by having it go through a suitability review by a Korean language education expert at the final stage before the execution of vocabulary evaluation. 이 연구는 인공지능(AI)이 학습자의 어휘평가 응시 결과를 반영하여 평가 대상 어휘의 등급을 조정하는 모델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 초등학교 3〜6학년 학생을 위한 국어교육 웹서비스인 ‘책열매’에서 학생들이 응시한 어휘평가 결과를 통계적으로 분석하고, 어휘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어휘등급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인공지능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는 어휘평가 결과에 대한 라쉬 모델을 모사한 신경망 모델과 어휘 특징값을 활용하는 신경망 모델을 결합하여 어휘등급을 조정할 수 있는 모델이다. 한편 어휘평가 결과가 축적되기 어려운 경우도 고려하여, 평가 결과 없이 어휘의 특징값만을 활용해서 어휘등급을 예측하는 모델도 추가적으로 개발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어휘평가 결과를 활용하는 모델에 비하여 정확도가 낮으므로 추후 모델 개선 및 데이터 보강이 필요하다. 인공지능 모델을 적용한 후에는 어휘평가 실행 전의 마지막 단계에서 국어교육 전문가의 적합성 검토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조정된 어휘등급의 질적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