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 파견학생 문화역량 향상을 위한 교육방안 제시

        최선진(Choi, Seon-Jin)(崔善珍) 대한중국학회 2019 중국학 Vol.68 No.-

        국제화 시대에 따라 해외 파견 유학생이 많아지고 있으며, 각 대학에서도 교환학생 프로그램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함께 해외 교류에 필요한 문화역량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해외 한국인 유학생 현황에 따르면 중국지역 유학생 수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데 반해, 이에 대한 전문적인 조사나 연구가 거의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지역 교환 프로그램을 통한 문화역량 변화와 교환 전과 과정 중의 요인에 대한 문화역량의 관계를 조사·분석해 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조사하기 위해 A 대학 중국학부 학생 중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중국지역으로 파견 간 교환학생을 대상으로 교환 전과 후 2차례에 걸쳐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2차례 설문에 모두 참여한 동일 집단 53명을 연구대상 범위로 정하였다. 통계 결과와 주관식 의견을 토대로 교환학생 프로그램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해야 할 부분을 파악하여 3가지 교육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1)교환학생 선발방법 변경 또는 추가 조건제시, 2)기 경험자가 참여하는 정보망 구축, 3)교환 전 교내에서부터 현지인과의 교류를 적극적으로 지원 하자이다. 본 연구의 제시방안을 활용하여 중국지역 파견뿐만 아니라 해외 교류 프로그램의 양적 성장과 질적 성장이 함께 이루어지길 바란다. With the advent of globalization, each universities actively run a student exchange program. In addition,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cultural competency for international exchanges. These days, more and more Korean students are going to China to study its language and culture but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make better programs or systems for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identify changes of cultural capacity through the exchange program in China. For research, the survey was conducted in A university’s Chinese studies students who participate in exchange student program in China from 2016 to 2018. A group of 53 students responded survey on two separate occasions. Based on the statistical results and opinions on the subject matter, researcher identified the problems of current exchange student program, the way for further improvements and three options for educational methods. 1) Changing the method of selecting exchange students or suggesting additional conditions, 2) Establishing an information network with prior experience in exchange student, 3) Supporting various interacting programs with natives inside a college before exchanging.

      • KCI등재

        인공산성비에 의한 농작물 잎의 조직형태 변화에 관한 연구 : Ⅰ. 고추 , 들깨 및 가지에 관하여 Ⅰ. Red pepper , Perilla and Eggplant

        최선,이종식,이규승,김복영 한국환경농학회 1995 한국환경농학회지 Vol.14 No.3

        고추, 들깨, 가지 등 3개 작물에 pH 2.0, 2.7, 3.0 및 6.0(대조구)의 인공산성비를 10㎜씩 2일 간격으로 10회 처리한 후 잎의 피해율과 조직의 변화 그리고 효소 활성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산성비 처리로 작물에 나타난 가시적피해는 고추>들깨>가지의 순 이었으며, 작물의 산성비에 대한 일반적인 피해증상은 잎표면에 나타나는 갈객 또는 백색의 반점이다. 2. pH 3.0의 인공산성비를 처리하여 작물의 잎표면을 전자현미경(SEM)으로 관찰한 결과, 가지를 제외한 고추와 들깨 잎표면의 모용(Trichome)이 변형되었다. 3. pH 2.7 인공산성비 처리로 기공(Stoamta)의 피해가 나타났다. 4. 산성비 처리에 따른 작물의 생리적 특성 변화에서 Peroxidase 활성의 차이를 보였으머, 들깨에서는 1회 처리로 급격한 활성증가를 보였다. To investigate the alterations in the ultrastructure of leaves by acid rain, 10㎜ of SAR(Simulated Acid Rain, pH 2.0, 2.7, 3.0, 6.0) was applied to three crops(red-pepper, perilla, eggplant) at a two-day interval. The symptoms of leaf damage by SAR were observed by naked eyes and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nd the peroxidase activity in the leaves was measur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severity of SAR damages to the crops observed by naked eye were in the decreasing order of red-pepper, perilla, and eggplant. The Symptoms were characterized by brown or white spots on the leaf surface. In the SAR treatment of pH 3.0, trichomes of all crops except for eggplant were damaged. By the SAR treatment of pH 2.7, stomata were damaged in all crops. With one time treatment of SAR, the peroxidase activity of perilla was rapidly increased.

      • KCI등재

        법관 선임제에 대한 비판적 검토: 사법권 독립과 민주적 정당성을 중심으로

        최선,이지문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4 동서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한국 민주주의 발전의 전제가 되는 법치주의 안정을 위하여 기존의 법관 선임제도를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한다. 2009년부터 실시된 법학전문대학원 제도와 더불어 2022년부터 전면적으로 실시될 예정인 법조일원화는 법조인 양성 및 충원구조의 근본적인 변화를 의미한다. 그러나 법관을 임명하는 데 있어 객관적 기준이 명확하지 않기 때문에 임용 과정에서 정치적 고려 등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더욱이 사법부 내부의 승진구조의 변화가 동반되지 않는다면 사법관료제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을 것이다. 이 글에서는 법관 선임에 있어 기준이 되어야 할 원리로 사법권 독립과 민주적 정당성을 제시하고 이 두 원리에 입각하여 기존 법관 선임 및 인사제도의 한계를 검토한다. 이와 함께 일각에서 대안으로 제시하는 지역별 법관선임제도와 심급별 법관선임제도 및 법관 선거제 역시 사법권 독립과 민주적 정당성의 측면에서 한계가 있음을 지적한다. 그리고 이에 새로운 대안으로서 법조인을 대상으로 하는 추첨제와 시민검증위원회의 도입을 제안한다. 이를 통하여 사법에 대한 국민적 신뢰 회복을 도모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judicial selection system of South Korea and to suggest alternatives. The law school system established from 2009 and the unitary system of lawyers scheduled to be effective entirely by 2022 mean the fundamental change of judicial officers training and selection system. However, since both systems do not have a clear the objective standard at the appointing judges, there are possibilities to occur some factors such as political consideration that affect the appointment process. Moreover, the problem of jurisdiction bureaucracy could not be solved entirely if it is not accompanied by the change of the promotion system in the inside of the judiciary. This article proposes the judicial independence and the democratic legitimacy as the principles which should be the standards for the judicial selection. Based on the two principles, we review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judicial selection and promotion system. In addition, we point out that the alternatives, the regional judicial selection system, the court hierarchical judicial selection system and judicial election system, also have limits from the perspectives of judicial independence and democratic legitimacy. Finally, we suggest the introduction of judicial lottery system and civil verification committee as new alternatives. As a result, it will help to restore public trust in the judiciary.

      • KCI등재
      • KCI등재

        Diagnosis of and Finding Alternatives to the “Crisis of Judicial Trust” for the Advancement of Democracy in South Korea

        최선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016 동서연구 Vol.28 No.3

        This study examines the "crisis of judicial trust" in South Korea, which reflects continued high public distrust of the judiciary. First, the two contradictory phenomena of the expansion of judicial powers in Korea since democratization in 1987 and the lasting judicial policies and ideologies formed during the authoritarian era are analyzed. Second, analyses are performed on the "crisis of judicial trust," where over 90% of citizens distrust court trials. This crisis is categorized into three parts: in the judicial administration, in trials, and in judges. Third, previous efforts to overcome the crisis are critically reviewed. For this, the policy reforms attempted in the past 20 years are analyzed. Consequently, in the current state of public judicial distrust, it is argued that policy reforms must be sought through a fundamental review of previously attempted system improvements and operations. This is necessary for the normalizing nomocracy and advancing democracy in South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