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MC-2010 추출물이 마우스의 비장세포 cytokine 생성에 미치는 영향

        배기상 ( Gi Sang Bae ),박경철 ( Kyoung Chel Park ),최선복 ( Sun Bok Choi ),조일주 ( Il Joo Jo ),서상완 ( Sang Wan Seo ),김종진 ( Jong Jin Kim ),신용국 ( Yong Kook Shin ),김민선 ( Min Sun Kim ),박규환 ( Kyu Hwan Park ),김현식 ( Hyu 대한본초학회 2012 大韓本草學會誌 Vol.27 No.5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OMC-2010 extract on cytokine production in mouse spleen cells. Methods : Mouse spleen cells were pre-treated with ethanol and water extract of OMC-2010 for 1 h, then stimulat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1 μg/ml) for 48 h. Then the cells were harvested for 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to detect cytokines. Results : OMC-2010 ethanol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LPS-induced interleukin (IL)-1beta,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and IL-5 mRNA expressions, but not shown such changes in IL-6, IL-4, IL-13. OMC-2010 water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LPS-induced TNF-alpha, and IL-5 mRNA expressions, but not shown such changes in IL-1beta, IL-6, IL-4, IL-13. Conclusions : Theses results could suggest that both ethanol and water OMC-2010 extract could inhibit the TNF-alpha and IL-5 mRNA expression.

      • KCI등재

        동과 추출물(HR1901-W)의 지표성분 2-Furoic acid 분석법 개발 및 검증

        최선일 ( Sun-il Choi ),한웅호 ( Xionggao Han ),문효 ( Xiao Men ),이세정 ( Se-jeong Lee ),박미혜 ( Mi-hye Park ),이옥환 ( Ok-hwan Lee ),양정모 ( Jung-mo Yang ),최예은 ( Ye-eun Choi ),조주현 ( Ju-hyun Cho )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21 강원 농업생명환경연구 Vol.33 No.3

        As interest and demand for functional foods increase, standardization becomes important to manage the quality of raw materials and products. Analytical methods for the standardization of bioactive compounds must be created in tandem with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an analytical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2-furoic acid in Benincasa hispida extract (HR1901-W). The 2-furoic acid analysis method was validated by evaluating the linearity, precision, accuracy, limit of detection (LOD), and limit of quantification (LOQ), using 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photodiode array spectrum. Our results showed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 calibration curve for 2-furoic acid was 0.9999. Furthermore, the LOD and LOQ for 2-furoic acid were 0.10 μg/mL and 0.32 μg/mL, respectively. The range of inter-day and intra-day precision values (RSDs, relative standard deviation) for 2-furoic acid were 0.13%-0.56% and 0.27%-0.33, respectively, and the inter-day and intra-day accuracy values (recovery) were 98.47%-102.74% and 98.77%- 102.72%,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content of 2-furoic acid in HR1901-W was found to be 412.39 ± 0.91 μg/dry weight in gram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analytical method used in this study should be appropriate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2-furoic acid in HR1901-W and considered for use as basic data for the standardization of HR1901-W.

      • SCOPUSKCI등재

        현사시나무 추출물의 항산화활성과 성분분석

        최선일(Sun-Il Choi),황석준(Seok-Jun Hwang),이옥환(Ok-Hwan Lee),김종대(Jong Dai Kim) 한국식품과학회 2020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2 No.2

        본 연구에서는 현사시나무 추출물에 대한 일반성분, 무기질, 비타민, 유리당,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HPLC을 이용하여 페놀성 화합물을 분석하였으며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을 통하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추출물의 일반성분 분석결과, 탄수화물, 수분, 조단백질, 회분, 조지방은 각각 88.6, 5.11, 2.5, 2.3, 1.5%로 확인되었다. 무기질 분석결과, Ca(77.5 mg/100 g), Mg (85.0 mg/100 g), Na (23.4 mg/100 g), K(907.5 mg/100 g), P (93.8 mg/100 g), Fe (1.4 mg/100 g), Zn (2.6mg/100 g), Cu (0.6 mg/100 g), Mn (2.9 mg/100 g)을 함유하고 있었다. 비타민의 경우, vitamin C (6.1 mg/100 g), vitamin B₂ (0.3mg/100 g), vitamin B<SUB>6</SUB> (0.01 mg/100 g), nicotinic acid (3.1 mg/100g)가 확인되었다. 유리당 조성은 glucose 1.6%, fructose 2.2%였고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15.4±0.85 mg GAE/g, 20.9±1.14 mg QE/g으로 나타났다. HPLC 분석결과 catechin (9.1±0.27 mg/g), caffeic acid (4.1±0.57 mg/g), p-coumaric acid (2.1±0.47 mg/g), chlorogenic acid (1.6±0.86 mg/g), gallic acid (1.4±0.35 mg/g)가 주요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현사시나무 추출물은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고 이는 추출물에 함유된 항산화성분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사시나무 추출물의 일반성분, 무기질, 비타민,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주요 페놀성 화합물 및 항산화활성을 평가하였지만 향후 현사시나무 추출물이 식품소재 또는 건강기능식품 소재로서 활용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세포 및 동물모델에서의 바이오마커 평가 및 작용기전 연구가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Populus Tomentiglandulosa (PT) is known for pharmacological effects against ischemia-injury and immune activit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components, total 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ntioxidant activities of PT extract. Among the mineral contents, the K content (907.5 mg/100 g) was the highest in the PT extract. Vitamins C (6.1 mg/100 g) and nicotinic acid (3.1 mg/100 g) were also found in high amounts. Fructose (2.2%) and glucose (1.6%) were found as free sugars in the PT extract. The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of PT extract were 115.4±0.85 mg GAE/g and 20.9±1.14 mg QE/g, respectively. Results of HPLC analysis of PT extract identified catechin (9.1±0.27 mg/g), caffeic acid (4.1±0.57 mg/g), p-coumaric acid (2.1±0.49 mg/g), chlorogenic acid (1.6±1.86 mg/g), and gallic acid (1.4±0.35 mg/g),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T extract possesses high nutritional component and antioxidant properties, which can be used as functional bioresources.

      • KCI등재

        LPS로 유도한 RAW 264.7 세포의 염증반응에서 자초(紫草)의 항염증 효과

        최선복 ( Sun Bok Choi ),배기상 ( Gi Sang Bae ),조일주 ( Il Joo Jo ),박경철 ( Kyoung Chel Park ),서승희 ( Seung Hee Seo ),김동구 ( Dong Goo Kim ),신준연 ( Joon Yeon Shin ),곽태신 ( Tae Sin Gwak ),이정현 ( Jung Hyun Lee ),이금산 ( G 대한본초학회 2013 大韓本草學會誌 Vol.28 No.2

        Objective: Lithospermum Erythrorhizon (LE) has been used as an anti-bacterial and anti-inflammatory agent. However, it is unclear that LE aqueous extract could show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in RAW 264.7ce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aqueous extract from LE on lipopolysaccharide (LPS) - 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Methods: To measure out the cytotoxicity of LE, we performed the MTT assay.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LE, we examined the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nitric oxide (NO), prostaglandin E2 (PGE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tumor necrosis factor (TNF)-a, interleukin, (IL)-1β and (IL)-6) on RAW 264.7 cells. We also examined molecular mechanisms such as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s) and nuclear factor-B (NF-κB) activation by western blot. Results : Aqueous Extract from LE itself did not have any cytotoxic effect in RAW 264.7 cells. Aqueous extract from LE inhibited LPS-induced productions of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NO, PGE2, and pro-inflammatory cytokines including TNF-a, IL-1β and IL-6 in RAW 264.7cells. In addition, LE inhibited the phosphorylation of p38 kinases (p38), c-Jun NH2-terminal kinase (JNK), and NF-κB activation in RAW 264.7 cells. Conclusion : LE down-regulated LPS-induced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through the inhibition of p38, JNK and NF-κB activation.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could provide the evidence for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LE. Therefore, LE may be a novel target in the management of inflammation and help to support a potential strategy for prevention and therapy of inflammatory diseases.

      • KCI등재
      • KCI등재

        북한 소재 조선후기 불교조각 연구

        최선일(Choi, Sun-il) 보조사상연구원 2021 보조사상 Vol.59 No.-

        본 논문은 현존하는 북한 사찰에 봉안된 조선후기 개별 불교조각의 제작시기와 조각승에 대한 연구이다. 한국전쟁 중 북한 지역은 미군의 전략폭격기인 B-29의 무차별적인 폭격으로 도시를 비롯한 산간벽지에 위치한 사찰의 전각(殿閣)과 불교문화재가 한순간에 파괴되었다. 1939년에 조선총독부 학무국 통계자료에 따르면 북한 지역의 사찰은 경기도 30개, 강원도 56개, 황해도 124개, 평안도 87개, 함경도 106개로 총 403개가 조사되었다. 하지만 한국전쟁 기간 중에 대부분 사찰이 파괴되어 14퍼센트에 해당하는 59개 밖에 남지 않았다. 현존하는 사찰인 평양 용화사(1980년과 1984년 복원), 평양 광법사(1991년 복원), 황북 개풍 영통사(2005년 복원), 강원 고성 신계사(2007년 복원) 등도 전쟁이 끝나고 복원된 곳이다. 현재 27개 사찰 중에 192점의 불교조각이 봉안되어 있다, 이 가운데 조선후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불상은 13개 곳에 72점(성불사 나한상은 수량이 많아 제외)이 봉안되어 있다. 이 불상들을 일제강점기에 조사된 사찰 재산대장이나 조선총독부 관보와 비교해 보면, 대부분 재료와 규격 등이 달라 한국전쟁 이후에 사찰을 복원하면서 이운된 것으로 보인다. 이들 불상 가운데 연탄 심원사 목조석가여래좌상과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17세기 전반의 현진 계보의 조각승이, 배천 강서사 목조여래좌상과 목조대세지보살좌상은 17세기 중반의 영철 계보의 조각승이, 안악 월정사 목조지장보살좌상은 17세기 후반의 금문 계보의 조각승이, 회양 장안사 대웅전 목조삼세불과 사보살상(소실), 현존하는 평북 향산 보현사 영산전 목조석가삼존불좌상과 향산 보현사 불영대 및 하비로암에 봉안된 불상은 18세기 전반의 조각승 진열이, 순안 동금강암 목조여래좌상은 18세기 후반 봉현 계보의 조각승이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가운데 회양 장안사 대웅전 목조삼세불과 사보살상(소실)은 1702년에 귀옥(歸玉)이 대웅전을 중수하면서 조성한 것으로 보이며, 이후 귀옥과 진열은 1713년 고양 상운사 목조삼세불좌상 등에 같이 참여한다. 따라서 북부지역에서 활동한 선승들과 같은 계보에 속하는 조각승들이 북한 지역의 사찰 중수에 참여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조선후기 불교건축과 불교조각 및 불교회화 등을 만든 주도세력은 중부와 남부에서 활동한 승려장인들이라고 보아도 틀리지 않을 것이다. 이는 1790년 화성 용주사 불사를 진행한 스님들이 주로 남부 지역에서 활동한 승려장인이라는 문헌을 통해서도 짐작이 가능하다. 앞으로 북한의 개별 사찰에 관한 문헌적 검토와 불교문화재에 관한 정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진다면 남북이 분단되기 이전 작가들의 왕래로 만들어진 불교미술에 관한 구체적인 실체가 밝혀질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time of making individual Buddhist sculptures of the late Joseon Dynasty enshrined in existing North Korean temples and the monk sculptors. During the Korean War, the indiscriminate bombing of the U.S. military strategic bomber B-29 destroyed Buddhist temples and Buddhist cultural assets located in cities and other remote areas. According to statistics from the Office of Academic Affairs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n 1939, a total of 403 temples were found in North Korea, including 30 of Gyeonggi Province, 56 of Gangwon Province, 124 of Hwanghae Province, 87 of Pyongan Province, and 106 of Hamgyeong Province. However, most of the temples were destroyed during the Korean War, leaving only 14 percent, or 59 others. The existing temples such as Yonghwasa Temple in Pyongyang (1980 and 1984), Gwangbeopsa Temple in Pyongyang (1991), Yeongtongsa Temple in Gaepung in Hwangbuk (2005), and Singye Temple in Goseong, Gangwon Province (2007) were restored after the war. Currently, 192 Buddhist sculptures are enshrined among 27 temples. Among them, 72 Buddhist statues (excluding Na Han-sang of Seongbulsa Temple because of the large quantity) are enshrined in 13 places believed to have been produced in the late Joseon Period. Comparing these statues to the temple property register and the official gazette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most of the materials and specifications are different, because most of the statues have different materials and sizes, they are believed to have been relocated after the Korean War when the restoration of the temple. The Wooden Seated Buddha and Amitabha at Simwonsa Temple in Yeontan are believed to have been produced by sculptors of Hyeonjin genealogy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and the Wooden Seated Buddha and Bodhisattva in Gangseo-sa Temple in Baechon are believed to have been produced by sculptors of Yeongcheol genealogy in the mid-17th century. The Wooden Ksitigarbha Bodhisattva of Woljeongsa Temple in Anak are believed to have been produced by a sculptor of the Guemmun genealogy in the late 17th century. The Wooden Buddha Triad and four Bodhisattva of Daeungjeon Hall of Jangan Temple in Hoyang, and the Wooden seated Buddha of Yeongsanjeon Hall in Bohyeonsa Temple in Pyeongyang, and the Buddha statues enshrined in Bulyeongdae and Habiroam in Bohyeonsa Temple in Hyangsan are presumed to have been produced by Jinyeol genealogy in the early 18th century. It is estimated that the Wooden Seated Buddha in Donggeumgangam, Sunan in the late 18th century, was produced by a sculptor of Bonghyeon genealogy. Wooden Buddha Triad and four Bodhisattva in Daeungjeon Hall of Jangansa Temple in Hoyang are believed to have been built in 1702 when the Gwiok was reconstructed, and the Gwiok and Jinyeol later will participate in the Wooden Triad Buddha Statue in Sangunsa Temple in Goyang in 1713. Thus, it can be seen that sculptors belonging to the same genealogy as the monks who worke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country participated in the reconstruction of Buddhist temples in the North. In particular, Buddhist architecture, Buddhist sculptures, and Buddhist paintings produc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monks who were active in the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This can be inferred from the literature that monks who conducted the Buddhist temple in Yongjusa Temple in Hwaseong in 1790 were mainly Buddhist monks who were active in the southern part of the country. In the future, a systematic review of North Korea s individual temples and arrangement of Buddhist cultural assets will reveal the concrete substance of Buddhist art made by artists before the division of the two Korea.

      • KCI등재

        김천 대휴사 목조보살좌상의 제작 시기와 조각승 연구

        최선일 ( Sun Il Choi )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2015 文物硏究 Vol.- No.27

        본 논문은 경상북도 김천시 대휴사 대웅전에 봉안된 목조삼존불좌상 가운데 목조협시보살을 제작한 하천 스님에 관한 연구이다. 이 보살상은 발견된 후령통을 싼 황초복자를 묶은 종이에 증명(證明), 수정(修淨)과 경전 내에 봉곡사(鳳谷寺)라는 묵서가 발견되었다. 현재 김천 봉곡사에 소장된 현판(懸板)중에는1730년 4월에 영산전에 봉안할 석가삼존불좌상과 나한상을 조각승[造工比丘]하천(夏天), 석준(碩俊 등이 제작하였다는 내용이 있다. 따라서 현재 대휴사에 남아 있는 목조보살좌상은 1730년에 조각승 하천이 제작한 삼존불 가운데 하나로, 손의 위치로 보아 좌협시보살인 미륵보살임을 알 수 있다. 이 보살상을 제작한 조각승 하천(夏天:-1703-1730-)은 17세기 후반에 태어나 수화승 색난과 1703년에 전남 구례 화엄사 각황전 목조삼세불.사보살상,1705년에 경남 하동 쌍계사 목조보현동자, 1707년에 전남 고흥 능가사 소조불상,1709년에 전남 고흥 금탑사 목조보살좌상(고흥 송광암 봉안)을 제작하였다. 그는 1720년에 수화승 일기와 순천 송광사 사천왕상을 개채하고, 수화승으로 1722년에 전남 장흥 보림사 능인전 삼존불상을 개금했으며, 1724년에 장흥 보림사 나한 상을 중수하였다. 또한 하천은 수화승으로 1726년에 전남 고흥 금탑사 북대암목조보살좌상(서울 지장암 봉안)과 1726년에 고흥 금탑사 문수암 목조보살좌상(고흥 송광암 봉안)을, 1727년에 대구 동구 동화사 대웅전 목조삼세불좌상을 제작하였다. 그 후 하천은 1730년에 김천 봉곡사 영산전 목조삼존불좌상(목조보살좌상 1구 대휴사 소장)과 경남 창녕 포교원 목조여래좌상을 제작하고, 고흥 금탑사 극락보전 미타삼존을 개금.중수하였다. 지금까지 밝혀진 그의 활동 시기는1703년부터 1730년까지이다.목조보살좌상은 높이가 76.0㎝로, 조선후기에 제작된 접목식 중형보살상이다. 보살상은 상반신을 앞으로 조금 내밀어 자세가 구부정하다. 보관 안쪽에는 정수리 부분에 두 가닥으로 묶은 작고 단순한 형태의 보계(寶.)가 있고, 양 어깨에는 둥글게 말린 보발(寶髮)이 세 가닥으로 길게 늘어져 있다. 타원형 얼굴에 살짝 뜬 눈은 거의 일자형으로, 눈꼬리가 위로 약간 올라갔고, 삼각형의 코는 콧등이 평평하며, 입은 살짝 미소를 짓고 있다. 이 보살상은 조선후기의 전형적인 보살상의 얼굴 생김새를 갖추고 있지만, 17세기 후반에 제작된 기년명 보살상보다 머리에 비해 어깨가 좁고, 하반신이 높게 제작되었다. 바깥에 걸친 대의는 오른쪽 어깨에 짧게 U자형으로 걸친 후, 팔꿈치와 복부를 지나 왼쪽 어깨로 넘어가고,반대쪽 대의는 왼쪽 어깨를 완전히 덮고 내려와 복부에서 오른쪽 어깨를 덮은편삼과 겹쳐져 있다. 하반신의 대의 처리는 중앙에 한 가닥이 길게 늘어져 끝단이 반원형으로 길게 늘어지고, 좌우로 대의자락이 두 가닥 접혀서 흘러내리고 있다. 또한 왼쪽 소매 자락은 연판형으로 무릎을 완전히 덮고 있다. 이와 같은 하반신에 걸친 대의 처리는 17세기 후반에 호남에서 활동한 조각승 색난이 제작한 목조보살좌상에서 볼 수 있는 요소이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조각승 하천은 색난(色難), 일기(一機)→하천(夏天), 필영(弼英), 석준(碩俊)→성찬(成澯), 종혜(宗慧), 굉척(宏陟) 등으로 이어지는 18세기 대표적인 조각승 계보에 속하는 스님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is a study about monk sculptor Hacheon, who made Wooden seated Bodhisattva enshrined main hall of Gimcheon Daehyusa at Gyeongsangbukdo province. A dedicative inscription "Juengmyeong(證 明) Sujeong(修淨)" on the sealed Yellow Fabric of Sealing Huryeongtong (黃梢幅子) and "Bonggoksa(鳳谷寺)" on the Sutra installed inside a statue were revealed. Bonggoksa has a wooden tablet written a inscription which shows monk sculptor Hacheon(夏天), Seokjun(碩俊) made a triad seated Buddha and Arahant. Monk sculptor Hacheon, born in late 17th century, participated in various Buddhist sculptures rendering projects. Hacheon and leader sculptor Seaknan(色難) made Wooden seated triad Buddha and four Bodhisattva enshrined at Gurye Hwaeomsa Gakhwangjeon in 1703, Wooden Samantabhadra at Hadong Ssanggyesa in 1706, molding clay of Buddha at Jeonnam Goheung Neunggasa in 1707, Wooden Bodhisattva at Jeonnam Goheung Geumtapsa in 1709. Following leader sculptor Ilgi(一機), he participated paint mending progect at Suncheon Songgwangsa in 1720. Then he took charge of gold mending project at Jaheung Borimsa Neunginjeon in 1722 and reparing Arhats at Jaheung Borimsa. Also, as a leader sculptor, he made two Wooden seated Bodhisattva at Goheung Geumtapsa Bukdaeam(now enshrining at Seoul Jijangam) and Munsuam (now enshrining Goheung Songgwangam) in 1726, Wooden seat triad Buddha at Deagu Donghwasa Deawungjeon in 1727. Furthermore, he produced Wooden seat triad Buddha at Gimcheon Bonggoksa in 1730(now one Bodhisattva enshrining at Gincheon Daehyusa), Wooden seated Buddha at Chnagnyeong Dharma Propagation Center(布敎堂) in 1727 and took charge of reparing triad Amitabha . His activity period turned out so far is from in 1703 to in 1730. Wood seated Bodhisattva, whose height is 76.0cm and grafted mid-size statue. Its upper body is slightly bended forward. This Bodhisattva has an oval face, slightly open and slant upward eyes, triangular shape nose, and quiet smile. It has typical features of made late Joseon dyanasty Bodhisattva, but narrow shoulder for head and high knees for body. The shape of garment drapery is simplified by several lines. The features of Garment drapery like this sculptor is similar with buddha sculptor made by monk sculptor Saeknan working in late 17th century. For this paper, I can present that Hacheon belonged to monk sculpture school``s pedigree: Saeknan(色難), Ilgi(一機) → Hacheon(夏天), Pilyeong (弼英), Seokjun(碩俊), Seongchan(成澯), Jonghye(宗慧), Geongcheok(宏陟).

      • KCI등재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갈참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노화 효능

        최선일,이종석,이사라,여주홍,정태동,조봉연,최승현,심완섭,한웅호,이진하,김종대,이옥환,Choi, Sun-Il,Lee, Jong Seok,Lee, Sarah,Yeo, Joohong,Jung, Tae-Dong,Cho, Bong-Yeon,Choi, Seung-Hyun,Sim, Wan-Sup,Han, Xionggao,Lee, Jin-Ha,Kim, Jong Dai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8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3 No.2

        본 연구는 예부터 약용으로 사용되었거나, 현재 식품공전에 식품원료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등록된 국내 산림지역에 자생하는 식물을 식품산업에 활용하고자 선행연구에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인 갈참나무 잎을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갈참나무 잎을 이용하여, hydrogen peroxide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세포 보호효과, 세포내 항산화 효과 및 항노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세포 독성을 평가한 결과 25, 50 및 $100{\mu}g/mL$의 갈참나무 잎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모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hydrogen peroxide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상태에서는 세포를 보호하여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생존율이 증가하였다. 특히, $100{\mu}g/mL$의 농도에서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50{\mu}M$ ascorbic acid 수준까지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다. 세포내 항산화 효과를 확인 하기위해 사용한 $H_2-DCFDA$ assay에서는 형광현미경과 형광흡광도 측정에서 모두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내 ROS 저감 활성을 확인하였고 갈참나무 잎 추출물을 $100{\mu}g/mL$ 농도로 처리했을 때는 $50{\mu}M$ ascorbic acid와 비슷한 세포내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SA-${\beta}$-galactosidase assay를 이용한 갈참나무 잎 추출물의 피부 섬유아세포에 대한 항노화활성은 ROS 생성 억제 효과와 유사한 경향으로 갈참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 노화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갈참나무 잎 추출물이 hydrogen peroxide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 상태에서 세포 보호효과, 항산화 효과 및 항노화 효과가 관찰되어 기능성 식품원료로서의 활용도가 매우 넓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skin of the human body occupies the largest surface area of the body and acts as a protection for the person's internal organs. As such, the skin is a major target of oxidative stressors, and these oxidative stressors are known to contribute to skin aging over the course of time. For the most part, an antioxidant is an effective approach to utilize to prevent symptoms related to the reactive oxygen species (ROS)-induced aging of the skin.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vity of the leaves of the Quercusaliena Blume extract (QBE). In our study, we confirmed that the cell viability tested with XTT {2,3-bis(2-methoxy-4-nitro-5-sulfophenyl)-2H-tetrazolium-5-carboxanilide innersalt} assay was not affected up to a concentration of $100{\mu}g/mL$. In addition, the cell viability of HDF cells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was recovered from 81% to 104% after treatment with QBE, which showed the greater protective effect than that of ascorbic acid. Treatments of QBE dose-dependently inhibit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in HDF cells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which correlated with their protective effects on cell viability. Since QBE treatment exhibited the suppression effect of skin aging by decreasing the ROS production, QBE could be used as a not only natural anti-aging but also antioxidant resource.

      • KCI등재

        安城 七長寺 木造地藏菩薩坐像과 彫刻僧 金文

        崔宣一(Choi, Sun-Il) 한국역사민속학회 2009 역사민속학 Vol.- No.29

        본 논문은 경기도 안성시 칠장사에 봉안된 목조지장보살좌상을 제작한 金文비구에 관한 연구이다. 이 불상은 불상의 개금 작업으로 발원문이 조사되어 조선후기 불상연구에 기준 작으로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 발원문에 의하면 목조지장보살좌상은 1706년에 칠장사에 봉안하기 위하여 성현이 증명을 맡고, 사간과 탄원이 化主가 되어 금문, 청윤, 묘성 등이 제작하였다. 조각승 금문은 1655년에 수화승 惠熙와 충북 보은 법주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을, 1668년에 수화승 勝日과 경북 김천 직지사 비로전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을, 1675년에 수화승 혜희와 전북 김제 금산사 대장전 불상을 제작하고, 1703년에 수화승으로 부산 기장 장안사 석조삼세불좌상을 중수?도금하였다. 지금까지 알려진 발원문를 중심으로 金文의 생애는 1640년을 전후하여 태어나 1655년 혜희와 보은 법주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을 보조화승으로 활약한 후, 1675년에 김제 금산사 대장전에 불상을 부화승으로 제작하였다. 금문은 1703년에 수화승으로 부산기장장안사 석조불상을 塗金하고, 1706년에 안성 칠장사 목조지장보살좌상 등을 제작하여 오랜 기간 활동한 조각승이다. 금문이 제작한 불상의 특징은 17세기 중반에 제작된 불상에 비하여 신체에서 얼굴이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나고, 오른쪽 어깨에 걸친 대의 자락이 목에서 팔꿈치까지 완만하게 늘어져 있으며, 왼쪽 어깨에 수직으로 늘어진 옷자락의 윗부분이 사선으로 접혀 있다. 또한 하반신을 덮은 대의의 안쪽 자락이 S자로 도식적으로 펼쳐져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가진 불상으로는 강원 강릉 백운사, 경북 봉화 중대사, 경북 고령 반룡사, 경북 문경 대성암와 혜국사, 충북 괴산 개심사과 제천 무암사 목조불좌상 등에 남아있어 금문을 위주로 한 彫刻僧들이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전반까지 충북을 중심으로 중부지역에 걸쳐 활동하였음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그들의 조각승 계보는 그의 계보는 太顚(1600~1615)→法靈(法令, 1615~1641)→惠熙(慧熙, 1640~1677)→金文(1655~1706), 淸允(1684~1706)으로 이어진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금문과 그 계보의 조각승들이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전반까지 불교조각사에 중요한 하나의 계보를 형성하였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about the Seated Wooden Ksitigarbha of Anseong Chiljangsa. This Seated Wooden Kstigarbha was rendered by monk sculpture Geummun(金文) in 1706. Its votive inscription, which was found during gilding process, helps to study late Joseon dynasty"s Buddhist sculpture style. According to the votive inscription, the Seated Wooden Ksitigarbha, was enshrined in Chilojangsa in 1706. The main buddhist sculptor was Geummun. His name also reported other votive inscriptions. According to these inscriptions, he was participated in Hyehui(惠熙)’s works in 1655 and 1675. He also worked with Seungil(勝日) in 1668. In these three cases, the position of Geummun was subordinated to these two masters, Hyehui and Seungil. However, in 1703 Geummun became a head of a group of monk sculptors when he gilt the Stone Buddha Triad of Busan Jangansa. Based on these reported votive inscriptions, Geummun"s life can be traced. He was approximately born in 1640 and in 1655 joined Hyehui monk sculptor school. After 1655, he was involved in many Buddha creating projects for 50 years. The features of Geummun’s works were summarized to three. Compared with other Buddha sculpture, created in 17th century, in his works, the potion of Buddha head is increased. The second feature is the way for creating drapery. The drapery on the right shoulder gradually falls to the side by shaping a slant line. The drapery under the left shoulder is folded. The third feature is the "S" shape on the edge of the robe, which covers the lower part of the body. These three features are easily recognized in Gangneung Baegunsa, Bonghwa Jungdaesa, Goryeong Bannyongsa, Mungyeong Haegoksa and Daeseongam, Guisan Gaeshimsa, and Jaecheon Muamsa Buddhas. Based on these Buddhas’ stylistic similarities in above temples, I can conclude that Geummun and his associated monk sculptors mainly engaged in Chungbug province Buddha creating projects from late 17th century to the early 18th century. The Seated Wooden Ksitigarbha of Chiljangsa is a reliable source to fill Taewon(太願) monk sculptor school"s genealogy. Taewon school"s genealogy is summarized like this: Taewon(太願, 1600~1615)-Beopyeong(法靈, 法令, 1615~1641)-Hyehui(慧熙, 1640~1677)-Geummun(金文, 1665~1706), Chengyun(淸允, 1684-1706). Geummun and his associated monk sculptors played a critical role for shaping one of the important monk sculptor schools in the late 17th century and the early 18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