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순천 송광사 천자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조각승 석삼(釋森)

        최선일 보조사상연구원 2022 보조사상 Vol.63 No.-

        This paper is a study on Buddhist monk Seoksam, who produced a wooden seated statue of Amitabha Buddha in Cheonjaam Hermitage, Suncheon. Th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is a 42.5cm-tall, small and medium-sized statue with a bald head. The Bodhisattva's upper body is slightly extended forward, and the two hands, which are made separately from the body, are placed against the thumb and the middle finger. The face of Amitabha Buddha has a large proportion of the entire body. But compared to the head, the shoulders are narrow, giving a determined feeling, and the height of the knees are low and wide, making them in a stable posture. The outter garment(大衣) covers entire body of Amitabha Buddha. According to a votive document, found inside Amitabha Buddha, the patron of this Buddha statue is Park Myung-gil. Park Myung-gil sponsored the creation of the Wooden Amitabha Buddha statue for commemorating his mother, who died in August 1640. A supervisor of this project was Seonteak(禪澤), and a supply manager was Inhea(印海). In addition monk sculptors for this project were Seoksam(釋森) and Hakhan(学閑). After creating, Seoksam worked with Ingyun(印均) for rendering the wooden tablet of Junggungjeon(中宮殿) Hall of Geumsansa Temple in Gimje in 1623. He rendered th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in 1624 and the clay Guardian Kings in 1628 under guidance of Eungone(應元) in Songgwangsa Temple, Suncheon. In 1640 he made th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in Cheonjaam Hermitage, Suncheon. In 1654, Seoksam and other two monks Myeongo(明悟), Jisun(智詢) became the supply managers for creating the wooden Ten King of Munsusa Temple in Gochang. He became a main patron for rendering the wooden seated Amitabha Buddha Hoejeogam Hermitage Yonggusan Mountain, Damyang. In addition, his monk sculptor school’s pedigree can be seen Eungone (1660-1636), Ingyun (1615-1655) → Seoksam (1623-1660), Hakhan (1640-1644). 본 논문은 순천 천자암에 소장된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을 제작한 석삼(釋森) 스님에 관한 연구이다.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높이 42.5㎝의 중소형으로, 불신(佛身)과 따로 제작된 양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댄 수인을 취하고 있다. 여래상은 신체에 비해 얼굴은 크고, 어깨는 좁은 편이며, 상체는 살짝 앞으로 쏠려 있다. 착의 형식은 양쪽 어깨에 대의를 통견으로 입고, 대의 자락이 팔꿈치와 복부를 지나 왼쪽 어깨로 넘어가고, 반대쪽 대의는 왼쪽 어깨를 완전히 덮고 수직으로 내려와 복부에서 일부 대의자락이 안으로 겹친 후, 나머지 자락이 결가부좌한 다리 위에 펼쳐져 있다. 조성발원문에 의하면, 이 불상 조성의 화주는 박명길이다. 박명길은 1640년 8월에 돌아가신 어머니를 위하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조성을 후원하였다. 증명은 선택(禪澤)이고, 공양주는 인해(印海)이며, 불상을 제작한 화원(畫員)은 석삼(釋森)과 학한(学閑)이다. 조각승 석삼은 1623년에 김제 금산사 중궁전(中宮殿) 원패를 인균과 조성한 후, 응원(應元)과 1624년에 순천 송광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1628년에 송광사 소조사천왕상을 조성하고, 1640년에 송광사 천자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을 수화승으로 제작하였다. 1654년에 고창 문수사 목조시왕상 조성에 명오(明悟), 지순(智詢)과 공양주로 참여하고, 1660년에 담양 용구산 회적암 목조아미타여래좌상 조성 시 화주(化主)로 참여하였다. 조각승 석삼은 응원(應圓, 應元:-1600경~1636-), 인균(印均, 仁均:-1615~ 1655-) → 석삼(釋參: -1623~1660-), 학한(學閑: -1640~1644-)으로 이어진 것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보응문성 작 정읍 약수암 소조관음보살좌상 연구

        최선일 불교미술사학회 2020 불교미술사학 Vol.30 No.-

        본 논문은 전라북도 정읍 약수암 대웅전에 봉안된 소조관음보살좌상을 제작한 보응문성에 관한 내용이다. 약수암 소조관음보살좌상의 문화재 지정신청을 위해 복장 조사 중에 조성발원문 등이 발견되었다. 발원문에 의하면 약수암 보살상은 전북 익산 숭림사에서 시왕상 중수와 나한상 개채 시에 임실 성조암에 봉안하기 위해 1928년 5월 10일에 제작되었다. 이후 한국전쟁 중에 성조암이 소각되면서 읍내로 이운되어 약수사에 봉안되었다가 2006년에 현 위치인 정읍 약수암으로 다시 옮겨졌다. 소조관음보살좌상은 높이가 49㎝, 무릎 폭이 35㎝의 중소형으로, 내부에 머리 부터 바닥까지 사각형의 긴 나무로 뼈대를 만들고, 어깨와 무릎 등에 얇은 나무 조각으로 형태를 잡아 그 위에 흙을 붙여 모양을 만든 후에 금박을 붙인 소조불이 다. 보살상의 머리와 가슴 내부에는 사각형의 공간이 있어 복장을 위한 공간일 것으로 추정된다. 보살상은 전체적으로 균형 잡힌 상반신에 결가부좌한 자세를 하고 있다. 계란 형의 얼굴은 턱선이 둥글고, 눈꼬리가 올라간 작은 눈, 콧등이 둥근 긴 코, 살짝 올라간 작은 입술을 표현하여 자비로운 인상이다. 머리부터 다리까지 숄을 걸치 고, 어깨에 보발(寶髮)이 길게 늘어져 있다. 양 어깨를 감싼 숄은 배 부분에서 꽃무늬 장식으로 여미고, 가슴 부분에 상단을 평평하게 접은 승각기를 입고 있다. 오른손은 무릎 위에 자연스럽게 촉지인을 결하고,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하여 배앞에 올려놓았다. 왼손 바닥에 작은 구멍이 있는 것을 보면 원래 지물인 정병이 꽂혀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양 무릎을 덮은 대의 자락은 자연스럽게 높낮이가 있는 옷주름이 펼쳐져 있다. 보응문성과 관련된 활동 중에서 불상 관련 기록은 19건이다. 이 가운데 불상의 개금과 중수는 12건이고, 불상의 조성은 10건이다. 대부분 불화의 조성과 불상의 중수․조성이 동시에 이루어졌다. 보응 스님은 1899년에 태안사 성기암 관음원불 조성에 참여하고, 1903년 11월에 관하종인과 나주 다보사 지장보살을 개금하였 다. 그 후 1926년 8월 19일부터 9월 7일까지 순천 송광사 사천왕상을 보수한 후개채하고, 1927년 5월에 수화승으로 대구 은해사 운부암 관음상을 개금(改金)하 였다. 또한 스님은 1928년 4월 5일부터 6월 2일까지 익산 숭림사 시왕을 보결하면서 나한상을 개채하고, 임실 성조암에 봉안할 소조관음보살좌상을 조성하였으 며, 1930년 11월에 충남 공주 계룡산 갑사 대성암 불사를 하면서 신흥암 16나한상 중 10구를 새로 만들었다. 그리고 12월에 익산 숭림사 지장보살을 개금하면서 여래입상과 독성상을 조성하였다. 또한 스님은 1934년 2월 갑사 신흥암(나한토 굴)의 16나한상 중 11구를 새로 조성한 후, 1935년 7월에 김제 금산사 미륵불입상 모형 제작에 작품을 출품했지만,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고 있다. 스님은 1936년 4 월에 서울 종로 안양암 삼존상을 조성하고, 약사여래를 중수하고 도분(塗粉)하였 으며, 8월 9일부터 12월 4일까지 평북 영변 묘향산 보현사 사천왕을 조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스님은 1951년에 충남 부여 해광사 소조관음보살좌상을 제작하였다. 스님의 불상 제작 관련 내용은 주로 1920년대 후반부터 남아 있다. 이와 같이 보응문성은 근・현대 불상의 조성과 중수 등에 많이 참여한 스님으 로, 불상을 조성할 때는 전통적인 양식의 불상을 만들었지만, 전신에 장포를 두른 정읍 약수암 소조보살좌상 ... This paper is about the BoneungMunseong, who produced the Clay seated Avalokitesvara enshrined in Daeungjeon Hall of Yaksuam in Jeongeup, Jeollabukdo province. The votive inscription was revealed during survey Bokjang for the application of cultural assets designation. According to the votive inscription, the Clay seated Avalokitesvara of Yaksuam was made for enshrining Seongjoam at Imsil on May 10. 1928 during the repairing Ten kings of hell and repainting Arhats. Later, as the temple was burned during the Korean War, the Avalokitesvara was enshrined in Yaksusa Temple in downtown and moved back to its current location, Yaksuam, in 2006. The Clay seated Avalokitesvara is a small and medium-sized statue with a height of 49cm and a width of 35cm. It is made of a rectangular long wooden frame from head to floor, and is shaped by thin pieces of wood on its shoulders and knees, and then attached clay on wooden frame, and then finished by applying gold foil. Inside the head and chest of the Bodhisattva statue, there is a square space, which is presumed to be a space for Bokjang. The Bodhisattva has a well-balanced upper body and a lotus position. The Bodhisattva statue is a benevolent impression by expressing an egg-shaped face and jawline, a small eye with a raised eye, a long nose with a rounded ridge, and a slightly raised lip. A shawl from head to leg, with long hair hanging over the shoulder. The shawl, wrapped around both shoulders, is adorned with flower-patterned decorations on the belly, and is worn with the top folded flat on the chest. The right hand with Bhumisparsa-mudra(touching the earth gesture) on the knees, and the left hand placed the palm on the upper hand, in front of the belly. Given that there is a small hole in the bottom of the left hand, it is highly likely that a sacred bottle was inserted. The hem of the garment covered with both knees naturally stretches. Among the activities related to BodeungMunseong, there are 20 records related to Buddha statues. Among them, 9 records are about repairing and re-gilding, rest of eleven records are about producing Buddha statues. Most of the Buddhist paintings were created simultaneously with the re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of Buddhist statues. Monk Boeung participat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Seonggiam Gwaneumwonbul in Taean Temple in 1899, and in November 1903, he re-gilded the Ksitigarbha Bodhisattva with Gwanhajongin in Dabosa temple at Naju. From August 19 to September 7, 1926, he repaired and reconstructed the Four Buddhist Guardian Kings of Songgwangsa Temple in Suncheon in May 1927, and re-gilded the Buddhist Guardian King of Unbuam in Eunhaesa Temple in Daegu as a chief monk sculptor. In addition, he repaired the Ten Kings of hell at Soongrimsa temple of Iksan from April 5 to June 2, 1928, and rebuilt the arhats, which was enshrined in Imsil's Seongjoam, and created 10 of the 16 Arhats statues of Sinheungam, in November 1930, during the Daesungam Temple in Gyeryongsan, Gongju, Chungcheongnam-do. In December, he re-gilded the Ksitigarbha Bodhisattva of Sungnimsa Temple in Iksan and created statues of Buddha and Dokseong statue. In February 1934, he constructed 11 of the 16 arhats of Sinheungam (Nahan Cave) in Gapsa Temple. In July 1935, he submitted his work to create a model for the Maitreya Buddha statue at Geumsansa Temple in Gimje, but it has not been found until now. In April 1936, he created the triad statue of Anyangam in Jongno, Seoul, reconstructed and repainted Bhaisajyaguru Buddha, and built the Four Heavenly Kings of Bohyeonsa Temple at Myohyangsan Mountain in Yongbyon, Pyeongbuk-do, from August 9 to December 4. Finally, in 1951, he produced the clay Avalokitesvara at Haegwangsa Temple in Buyeo, South Chungcheong Province. The redords of Buddhist statues produced by BoneungMunseong have remained mostly since the late 1920s. As such, BodeungMunseong was a monk sculptor who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and reconstruction of modern and c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공주 마곡사 명부전 불상 연구

        최선일 국립중앙박물관 2020 미술자료 Vol.- No.98

        Using stylistic analysis and historical documents, this paper examines the production details of images enshrined in Myeongbujeon (Hall of the Underworld) at Magoksa Temple in Gongju, focusing on the wooden seated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he stone Ten Kings of Hell. Inside Myeongbujeon, the wooden seated Ksitigarbha Bodhisattva is placed at the center, flanked by standing images of Mudokgwiwang and Domyeong-jonja, with images of the Ten Kings and their attendants along the walls. All of these images were transferred to Magoksa Temple in the latter half of the 1930s. The wooden seated Ksitigarbha Bodhisattva came from Jeonghyesa Temple in Cheongyang, the other sculptures came from Sinheungsa Temple in Imsil, and a painting of the Ten Kings came from Jeongtosa Temple in Nonsan. The wooden seated Ksitigarbha Bodhisattva is known to have been produced in 1677, around the same time as the stone sculptures of the Ten Kings. A close analysis of the details of the bodhisattva sculpture—including the facial features, body proportions, and drapery characteristics—strongly suggests that it was produced in the 1620s or 1630s by the monk sculptor Suyeon (who was active in the early half of the seventeenth century) or his disciples. In particular, the rendering of the drapery on the lower half of the body closely resembles Buddhist sculptures produced by Suyeon that are now enshrined at Bongseosa Temple in Seocheon (produced in 1619) and at Sungnimsa Temple in Iksan (produced at Bocheonsa Temple in Okgu in 1634). According to the votive inscription, the stone sculptures of the Ten Kings and their attendants were produced in 1677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monk sculptor Seongil. However, these are the only known Buddhist images produced under Seongil, and no details about other monks involved in the production have ever been found, making it difficult to speculate about their lineage. Historical records do suggest that Seongil worked on other projects to produce or repair sculptures with disciples of the monk sculptors Hyehi or Unhye, indicating amicable rel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Unlike most such images in the Honam or Yeongseo regions, the Ten Kings at Magoksa Temple are made from stone, rather than wood or clay. Also, the overall form and the drapery conform to statues of the Ten Kings that were popularly produced in the Yeongnam region. Thus, the images are believed to be the work of monks who were primarily active in Yeongnam, rather than Honam. In the future, a systematic investigation of wooden seated Ksitigarbha Bodhisattva images and stone Ten Kings of Hell images produced in the Chungnam region could illuminate more details about the production of the images at Magoksa Temple, and perhaps shed light on the conditions that led to the production of stone Buddhist sculptures in the Honam area during the late seventeenth century. 본 논문은 공주 마곡사 명부전에 봉안된 불상에 관한 문헌 검토와 양식적인 접근을 통하여 목조지장보살좌상과 석조시왕상의 제작 시기 및 조각승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 연구이다. 명부전 내에는 목조지장보살좌상을 중심으로 석조무독귀왕과 도명존자가 서 있고, 벽면을 따라 시왕상 및 권속 등이 배치되어 있다. 이 불상들은 1930년대 후반에 목조지장보살좌상은 청양 정혜사에서, 도명존자와 무독귀왕 및 시왕상 등은 임실 신흥사에서, 시왕도는 논산 정토사에서 옮겨온 것이다. 이제까지 마곡사 명부전 목조지장보살좌상은 석조시왕상 조성 시기인 1677년에 함께 제작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목구비에서 풍기는 인상, 신체 비례, 착의법 등을 살펴보면, 17세기 전반에 활동한 守衍이나 그 계보에 속하는 조각승이 1620∼30년대 만든 불상일 가능성이 높다. 특히 하반신을 덮은 대의자락의 두 번째 주름이 수직으로 늘어지고 끝자락이 하트 모양으로 마무리된 점과 그 옷주름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며 낮게 펼쳐진 옷주름 처리 방식은 수연이 제작한 서천 봉서사 불상(1619년)이나 익산 숭림사 불상(1634년, 옥구 보천사 조성)과 유사하다. 석조시왕상과 권속 등은 1677년에 조각승 性日이 수화승으로 제작한 것을 조성발원문을 통해 알 수 있지만, 성인이 수화승으로 만든 유일한 불상이고, 같이 제작에 참여한 작가들의 활동을 정확히 알 수 없어 새로운 자료가 공개되어야 구체적인 조각승의 계보가 밝혀질 것이다. 기존 연구에서 성일이 불상 제작과 중수에 참여한 활동을 살펴보면, 慧熙 계보 또는 雲惠(雲慧) 계보에 속하는 조각승들과 함께 공동 작업을 하여 두 조각승 집단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마곡사 시왕상은 호남이나 영서 지역에서 주로 제작되는 흙이나 나무가 아니라 돌로 제작되었으며, 영남에서 유행한 시왕상의 형태나 착의법 등과 유사하여 호남보다 영남에서 주로 활동한 조각승들의 작품으로 보인다. 앞으로 충남 지역 목조지장보살좌상과 석조시왕상의 체계적인 조사가 이루어진다면 조성 시기와 작가에 관한 심층적인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들에 대한 분석이 진행된다면, 17세기 후반 영남 지역 석조불상과의 비교를 통해 호남에서 제작된 석조불상을 주도적으로 만든 조각승과 활동 내용이 밝혀질 것이다.

      • 康津 無爲寺 極樂寶殿 阿彌陀三尊壁畵

        崔宣一 경주대학교 경주문화연구소 2002 慶州文化硏究 Vol.5 No.-

        본 논문에서는 전라남도 강진군 성전면 월출산에 위치한 무위사 극락보전 내에 그려진 아미타삼존벽화를 중심으로 조선전기 불교미술의 접근을 시도해 보았다. 아미타삼존벽화는 화면 좌·우측 하단의 화기(畵記)를 통하여 1475년에 허순(許順)과 영이(永伊) 등이 발원(發願)하여 해련(海蓮)비구 등이 그렸는데, 조선시대 정치적으로 숭유억불정책(崇儒抑佛政策)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불교가 고려시대와 마찬가지로 왕실과 사대부를 비롯한 일반 백성들까지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을 알려 주는 유물이다. 그러나 조선전기 불교미술품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며 대부분 소실되는 비운을 맞았고, 특히, 불화(佛書)는 불상이나 범종과 달리 박락(剝落)과 퇴색(退色)이 진행되어 소각공양(燒却供養)하는 경우가 많아 무위사 아미타삼존벽화는 조선전기 벽화 가운데 대표적인 기년명 작품이다. 아미타삼존벽화는 견본(絹本)이나 지본(紙本)과 달리 벽면에 황색을 칠하고. 그 위에 흑선을 사용하여 세련된 필치로 윤곽을 잡고, 적·청·녹색을 칠한 후, 중요부분을 적색으로 마감하였다. 화면은 높은 연화대좌에 앉은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관음·지장보살이 서 있는 삼각형 구도로 상단 좌우에 나한상 3구와 화불 2구를 배치하였다. 전체적으로 신체와 의습선 및 문양을 세밀한 필치로 그려 고려불화의 표현기법을 계승하고 있지만 아미타불의 가슴에 卍(만)자 대신에 적색으로 범어 "옴(??)"자를 써넣은 점이나 세부 문양 처리에서 고려불화와 다른 차이점을 가진다. 이 벽화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아미타불의 협시보살로 대세지보살 대신에 지장보살을 배치한 것이다. 이와 같은 아미타삼존의 도상은 이미 고려불화 가운데 호암 미술관 소장 아미타삼존도 등에서 볼 수 있지만, 아직까지 이러한 도상이 성립된 근거를 밝힐 수 있는 경전이나 문헌은 찾아 볼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와같은 아미타삼존 도상이 조선전기, 15세기 불화와 불상으로 많이 제작되었다. 현재까지 알려진 기년명(紀年銘) 불화는 1476년 무위사 아미타후불벽화, 1495년 원광대학교 박물관 소장 아미타칠존도 등이고, 불상은 조선역사박물관 소장 1429년 금동아미타삼존불, 1451년 금강산 내강리 출토된 아미타삼존상,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458년 천주사 목조여래좌상, 1478년 무위사 극락전 목조아미타삼존불상,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516년 석조지장보살상 등이다. 또한 1637년과 1644년 제작된 목조아미타불감 등에서도 볼 수 있어 조선후기까지 유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1476년 아미타삼존벽화가 그려질 당시, 무위사에서는 1430년에 건립된 극락보전에 후불벽을 세웠고, 1478년 목조아미타삼존불을 봉안한 일련의 과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졌다. 이 이유에 대해서는 1481년 이전의 기록을 중심으로 1530년에 발간한 『新增東國輿地勝覽』에 "세월이 오래되어 무위사를 중수하고, 이로 인해 수륙사(水陸社)로 하였다"는 내용을 통하여 이러한 일련의 과정이 수륙사 지정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수륙재는 육지나 물에 살던 유정(有情 : 生物)들이 죽은 뒤에 천도되지 못하고 떠도는 영혼과 전쟁이나 그 밖의 재앙으로 객사한 영혼들을 천도하기 위한 불교행사이다. 조선 전기 태조는 고려 왕씨(王氏)의 영혼을 달래는 수륙재를 견암사와 석왕사에서 지내 주었고, 진관사는 국행수륙재(國行水陸齋)를 하는 사찰로 지정한 것을 통하여 조선전기 수륙재가 왕실을 비롯한 백성들까지 중요한 불교행사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목적으로 15세기 전반과 중반에 제작된 많은 금동아미타삼존불이 강원도 금강산에서 출토되어 이 시기에 죽은 이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불교의식이 많이 거행되었음을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의 불상과 불화는 수륙재를 지내기 위한 목적으로 조성되었고, 조선전기 개국과 왕위찬탈에 대한 사회적인 혼란으로 죽은 자의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불교행사와 불교미술품 제작이 활발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후 조선전기 불교미술에 대한 구체적인 문헌이나 유물이 발견된다면 한국 불교미술사에서 이 시기 불교미술이 차지하는 비중은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This thesis is to attempt an approach to Buddhist art in the beginning period of Cho-sun Dynasty, which was mainly focused on Amitabha triad Wall Painting drawn in Kuknakbo-chon(極樂寶殿) of Mu-wee Temple(無爲寺) located at Wol-chool Mountain(月出山) in Sung-jeon-myun, Gang-jin-goon(康津郡), Jun-ra-nam-do, Korea. To begin with, Buddhist priests including Hae-ryun(海蓮) as a leader painted the Amitaˇbha triad Wall Painting, and Huh-soon(許順). Young-ei(永伊) and other local people originated it in 1476 according to the writing on the bottom of right and left side of the painting. Consequently, this is a definite relic proved that Buddhism had great influence on not only the royal and noble families but also the common people just as Go-ryo Dynasty, in spite of the policy to respect Confucianism and restrain Buddhism during Cho-sun Dynasty. Unfortunately. most of Buddhist art works of early Cho-sun Dynasty were destructed by going through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 Manchu War of 1636. so thus Buddhist paintings, especially. were used as offerings by incineration due to the severe exfoliation and discoloration, which were different than Buddhist statues or temple bells. Amitaˇbha triad Wall Painting of Mu-wee Temple was the only painting among the wall paintings of early Cho-sun Dynasty which stated the chronological era and historical dates. Unlikely to a silk or paper canvas, yellow color was used on the wall and the elegant black brush drew the contours. then red. blue and green were added, and red finished the distinguished spots in Amitaˇbha triad Wall Painting. Centering Amitabha Buddha seated at lotus-painted Asana in the high position with the composition of triangle. 3 figures of Buddhas disciples and 2 Buddhist paintings in the right and left sides were located in the upper end. The bodyline and the plait and patterns of dress were drawn in elaborated touch to succeed the expressing techniques of Go-ryo Dynastys Buddhist paintings. The fact that Sanskrit Ohm(??) in red instead of the Buddhist cross(??) in the chest of Amitabha Buddha and other detailed pattern process. however, were distinguished from Buddhist paintings of Go-ryo Dynasty. The most important fact of this painting was to arrange Ksitigarbha Bodhisattva instead of Mahathamaprapta Bodhisattva as statues of attending Amitabha Buddha deities. Such icons of Amitabha triad were already seen in Go-ryo Dynastys Buddhist paintings collected in Ho-am Museum, but it was not stated clearly in the Sutras or any literatures. Regardless of the above. many Amitabha were produced in Buddhist paintings or statues in the 15th century of the early Cho-sun Dynasty, Amitabha Maitreya Buddha of 1476 in Mu-wee Temple, Armitabha Seven Buddha of 1495 collected in the Museum of Won-hang University were Buddhist paintings, and Gold-plated Amitabha triad Buddha of 1429 collected in Cho-sun History Museum, Amitabha triad Statue of 1451 excavated in Gem-gang Mountain(金剛山) of Nae-gang-ri, Wooden Buddhas Seated Figure in Cheon-ju Temple of 1458 collected in National Museum of Korea, Wooden Amitabha triad Buddha Statue of 1478 in Mu-wee Temple and Stone Ksitigarbha Bodhisattva Statue of 1516 collected in National Museum of Korea were the Buddhist statues where the chronological era and historical dates were clearly stated. However, when Amitabha triad Wall Painting was painted in 1476, Maitreya Wall was built in Kuk-nak-bo-chon of 1430 in Mu-wee Temple and Wooden Amitabha triad Statue were enshrined in 1479, so these had confirmed that such processes were done successively, and the possibilities to be assumed were found in the contents of <Sin-zeng-yeo-ji-seung-ram(新增東國輿地勝覽)> published in 1530, which was based on the records prior to 1481, repaired Mu-wee Temple as time passed, so changed to Su-ryuk-so(水陸社), and this clearly stated that the above progress had close relation with the appointment of Su-ryuk Temple. Su-ryuk Service is a Buddhist ceremony to pray the souls of those who used to live in both the land and water wandering after the death, or the dead from a war or other disasters. Through the facts that King Tae-jo(太祖) of early Cho-sun Dynasty held Su-ryuk Services to pacify the souls of royal families of Go-ryo Dynasty in Gym-am Temple and Seok-wang Temple, and he also had appointed Jin-gum Temple as a temple to hold national Su-ryuk Service, and the service of this period was meant as the most important Buddhist ceremony for both of royal house and common people. Besides, with the same reason, many Gold-plated Amitabha triad Buddhist Statues produced in the beginning and middle period during the 15th century were excavated in Gem-gang Mountain of Gang-won-do, and it also represented quite many Buddhist ceremonies to pray euthanasia for those who died around middle of the 15th century were held. Accordingly, Buddhist statues and paintings in Elysium Hall of Mu-wee Temple in Gang-jin area were constituted to hold Su-ryuk Service, and it also signified Bud&st ceremonies and the production of Buddhist art works were very active to pray euthanasia for the dead due to the social chaos during the foundation of early Cho-sun Dynasty and the usurp of the throne. It is assumed that the relative importance of Buddhist art works during this period in Korean Buddhist art history shall be more clear and accurate if any concrete literature or relic is found regarding to Buddhist art of early Clu-sun Dynasty in the future.

      • KCI등재

        도봉산 천축사 목조삼존불좌상 연구

        최선일 서울역사편찬원 2015 서울과 역사 Vol.- No.90

        본 논문에서는 서울특별시 도봉산 천축사 대웅전 목조삼존불좌상의 양식적 특징과 내부에서 발견된 발원문을 통하여 제작 시기와 조각승을 추정해 보았다. 이 목조삼존불좌상은 2013년에 서울특별시 문화재 지정조사를 계기로 내부 복장물을 확인하게 되었다. 불상에서 발견된 발원문은 두 종류로, 목조삼존불좌상을 개금한 발원문과 다른 석가삼존불을 조성한 발원문이다. 목조삼존불좌상은 중형 불상으로 머리를 앞으로 약간 내밀어 구부정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오른손은 바닥을 향해 무릎 위에 가지런히 놓고, 따로 제작된 왼손은 엄지와 중지를 둥글게 맞대고 있다. 바깥에 걸친 대의는 오른쪽 어깨에서 완만하게 팔꿈치와 복부를 지나 왼쪽 어깨로 넘어가고, 반대쪽 대의는 왼쪽 어깨를 완전히 덮고 내려와 하반신에 펼쳐져 있다. 왼쪽 어깨에 대의자락이 한 가닥 수직으로 흘러내려 끝단이 둥글게 마무리되었다. 하반신에 걸친 대의자락은 복부에서 오른쪽으로 몇 가닥이 완만하게 펼쳐지고, 가장 안쪽 옷주름은 두툼하게 접혀 있다. 대의 안쪽에 입은 僧脚崎는 상단이 수평으로 마무리되고, 대각선으로 접혀 있다. 내부에서 발견된 발원문 두 장은 1713년에 북한산 노적사에서 불상을 개금한 내용과 1735년에 북한산 서봉사에서 불상을 조성한 기록으로 천축사 목조삼존불좌상의 정확한 조성 시기를 알 수 없다. 다만 1713년 개금발원문에 “萬曆造成三尊”이라는 언급이 있어 1573년부터 1619년 사이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임진왜란 이후에 불상이 주로 제작되는 상황을 근거로 17세기 초반에 활동한 조각승의 기년명 불상을 중심으로 비교한 결과 천축사 목조삼존불좌상은 1610년대에 각민이나 그 계보에 속하는 조각승이 제작하였다는 결론을 유추하였다. 사적기를 중심으로 살펴본 조각승 覺敏은 1605년에 전주 위봉사 북암 목조보살입상 4구를 만들 때 上金 施主로 참여한 후, 1605년에 수화승 원오를 따라 완주지역 불상을 제작하고, 1606년에 수화승으로 공주 동학사 목조삼세불좌상을 조성한 후, 1614년에 수화승으로 전남 순천 송광사 대웅전 삼존불상을 제작하였다. 그는 임진왜란 기간에 소실된 순천 송광사 중창에 참여한 것으로 보아 부휴선수 계보에 속한 스님이다. 천축사 목조삼존불좌상과 양식적으로 유사한 불상은 1610년 김제 문수사 목조여래좌상과 제작연대를 알 수 없는 군산 상주사 목조삼세불좌상이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천축사 목조삼존불좌상은 임진왜란 이후에 서울 근방에서 만들어진 불상으로 가장 오래된 작품이고, 18세기 초반에 북한산 서봉사에 봉안되었다가 서울 흥천사를 거쳐 현재 천축사로 옮겨 모셔졌음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is to scrutinize Cheonchuksa wood seated Buddha Triad at Mt.Dobong based on votive inscriptions, which was found in these Buddha Triad. Through the inspection for listing 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Seoul Metropolitan City, two different kinds of votive inscriptions were found. The first inscription is for re-glittering votive inscription for Cheonchuksa wood seated Buddha Triad, and the second one is not related to Cheonchuksa Buddha Triad. Wood seated triad are mid-size sculptures. The heads of Buddha Triad are slightly bent forward. Its right hand points downward over the right leg and its left hand thumb touches own the middle finger. One side of the outer robe covers its right shoulder and right elbow and extend form its abdomen to left shoulder. Another side of the robe overlays its left shoulder and wraps the lower half of the body. The inner robe covers the statue's chest. The two votive inscriptions, unveiled from inside of Buddha Triad, do not give a specific information of production date about Cheonchuksa seated Buddha Triad. The first inscription is for re-glittering record of Nojeoksa at Mt. Bukhan in 1713. The second one is for rendering Buddha images of Seobongsa at Mt. Bukhan in 1735. However, one phrase "these Buddha Triad were rendered between 1573 and 1619" in 1713 votive inscription provides a clue to estimate Cheonchuksa seated Buddha Triad production date. Based on formal analysis of Cheonchuksa Buddha traid, the monk sculptor, who created this Buddha images, can be Gakmin or one of members of Gakmin school. The Gakmin's activities are recorded in various temples history. He was a gold patron for rendering Wibongsa four standing bodhisattva at Jeonju in 1605. He created Wood seated Buddhas of Three Ages Donghaksa at Gongju in 1606 and Buddha Triad Songgwangsa at Suncheon in 1614. Based on Gakmin's Buddha images' formal analysis, Munsusa wood seated Buddha at Gimgea and Sangjusa wood seated Buddha Triad share remarkable similarities to Cheonchuksa Buddha Triad. In this paper, we have explored the possibility that Cheonchuksa Buddha Triad can be the oldest the late Joseon dynasty Buddha image after Japanese Invation(1592-1598)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rough the re-glittering votive inscription, these Buddha triad was originally enshrined in Seobongsa at Mt.Bukhan. However, Buddha triad moved to Heungcheonsa, Seoul and then finally has stayed in present temple, Chenchuksa.

      • KCI등재후보

        17세기 후반 彫刻僧 勝浩의 활동과 불상 연구

        최선일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0 禪文化硏究 Vol.8 No.-

        본 논문은 17세기 후반에 활동한 조각승 승호에 대한 연구이다. 현재까지 승호가 제작한 불상은 개별적으로 조사되었지만, 그의 활동과 불상 양식에 대한구체적인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조각승 승호에 관한 가장 빠른 기록은1640년에 수화승 청허와 경남 거창 연수사 목조아미타불좌상(현재 거창 포교원봉안)을 제작한 것이다. 그는 1655년에 수화승 도우와 경북 칠곡 송림사 배전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을 제작하고, 1657년에 칠곡 송림사 대웅전 목조석가불좌상과 1668년에 경북 경주 기림사 대웅전 기와 제작에 시주자로 참여하였다. 그후승호는 수화승으로 1678년에 경북 청도 화악산 천주사 석조석가삼존불좌상과석조지장보살좌상(현재 청도 덕사 봉안)을, 1684년에 부산 기장 장안사 석조아미타삼존불좌상을, 1688년에 경북 군위 인각사 석조석가삼존불과 16나한상 등을만들고, 1704년에 경북 영천 수도사 노사나불괘불도 조성에 시주자로 참여하였다. 또한 그는 1707년에 수일, 두심 등과 전남 장흥 보림사 신법당新法堂 불상개금과 불화 改造에 참여하였다. 그와 관련된 마지막 문헌은 1719년 경주 기림사 중수·도금발원문에 勝浩 靈駕라는 문구를 통해 1717년부터 1719년 사이에열반에 들었음을 알 수 있다. 승호가 제작한 석조불상의 높이와 무릎 너비는 1:0.62-1:0.80으로, 조선 후기에 목조불상의 신체비례와 유사하다. 승호는 주로 응진전과 지장전에 불상을 제작하였는데, 이는 중소도시 사찰의 부속 전각이 1670~1980년대에 건립되었기 때문이다. 승호가 제작한 불상의 높이와 무릎 너비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높이에비하여 무릎 너비가 넓어지고, 신체에서 머리가 차지하는 비중이 늘어난다. 승호가 제작한 불상의 대의 처리는 오른쪽 어깨에 걸친 대의 끝자락이 U자형이나V자형인데, 수연과 수일이 조성한 불상은 펼쳐지거나 U자형으로 처리되어 차이가 있다. 특히, 승호가 제작한 불상의 하반신에 걸친 옷자락은 복부에서 수직으로 흘러내린 끝부분이 옷깃 같이 접혀 있다. 조각승 승호의 계보는 道祐(道雨, -1633-1664-) → 勝浩(勝湖, -1640-1719경-), 尙倫(-1657-1688-), 呂岑(-1678-1688-) → 守日(守一, -1675-1730-), 守衍(-1681-1709-), 守宗(-1684-1685-), 法宗(-1684-1730-) 등으로 이어졌다. 특히, 조선후기 제작된 석조불좌상은 영남의 승호와 호남의 충옥 계보에 속하는 조각승들이 활발하게 제작하였다. 조선후기 제작연대를 알 수없는 무기년명 불상 가운데 양산 신흥사 대광전, 울주 석남사 대웅전, 대구 동화사 영산전, 부산 육주사(통도사 성보박물관 봉안), 달성 용연사 영산전, 달성 북지장사 대웅전(석조보살좌상), 청도 대비사 대웅전, 창원 성주사 영산전, 고성옥천사 대웅전 등의 석조불좌상은 전체적인 인상이나 대의 처리 등에서 승호와그 계보 조각승이 1680년부터 1720년 사이에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까지 알려진 발원문과 사적기를 중심으로 조각승 승호의 생애를 살펴보면, 그는 1620년대 출생하여 승려가 된 후, 1640년대 불상 제작의 수련기를 거치고, 1650년대 중반에 副畵僧으로 활동하였다. 그는 1670년대 首畵僧으로 경주,청송, 기장, 군위 등 경상도 지역의 사찰에 응진전이나 지장전 등에 많은 석조불상을 조성하였다. 특히, 그는 경주 기림사에 많은 시주를 한 점이나 조선후기경주 골굴암에서 석조불상을 만든 원석을 채굴한 점으로 미루어 기림사에 거주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This is a study about monk sculptor Seungho(勝湖), who was active between the late 17th C.E and the early 18th C.E. Although several studies, dealing Seungho’s works, have been published, these studies did not try to analyze a comprehensive approach to Seungho’s sculptures. The earliest written record, mentioning Seungho’s name, was found in wood Amitabha 1640’s votive inscription in Yeonsusa Geochang. This document showed that Seungho participated in monk sculptor Chengheo’s project. In 1655, Seungho worked with another monk sculptor Dou in Songnimsa Chilgok. Seungho also participated in 1657 wood Sakyamuni sculpture project at Songnimsa Daewoongjun. In 1668 Seungho donated money for roof tiles to Girimsa Gyeongju. After late 1670s, Seungho seemed to be a leader of his own monk sculptor school. He created a stone 1678 Sakyamuni triad and a stone Ksitigarbha at Cheonjusa Chengdo. In 1684 he made stone Amitaha at Jangansa, Gijang. Seungho rendered a stone Sakyamuni triad and 16 Buddha’s disciples at Ingaksa, Gunwi in 1688. Seungho participated various Buddhist sculptures projects such as Sudosa’s Nosanabul gwaebul in 1704 and Borimsa Sinbeopdang(新法堂)’s regilting Buddha as well as repainting of Buddha painting. The last written document, which could trace Seungho’s activity, was found in Girimsa Gyeongju. This document, written in 1717, was a record about Buddha’s regilting. In this document, in front of Seungho’s name the term Yeongga(靈駕) was situated. This term is only used for a person who died within two or three years ago. Based on the usage of this term, Yeongga, we assume that Seungho passed away dead between 1716 and 1719. The body ratio of Buddha sculpture, which was made by Seungho, is similar to other late Joseon dynasty Buddha sculptures. The ratios of height verse width of knees are between 1: 0.62 and 1: 0.8. He mainly rendered Buddha sculptures for Eungjingeon and Myeongbujeon. The reason is that during Seungho’s active period, between 1670s and 1710s, there were great demands to build Eungjingeon and Myeongbujeon for middle and small size temples. The Buddha body ratio well displays Seungho’s stylistic feature. As long as approaching 18th C.E. Buddha sculptures, its the width of knees and size of head becomes longer and higher respectively. The ‘U’ shape drapery on Buddha’s right shoulder is another feature of Seungho’s works. In addition the third feature can be found at the lower body of Buddha. The central draperies of a lower body of Buddha are folded identically. Such identically pleated draperies are only found on Seungho’s works. The pedigree of Seungho’s monk sculpture is summarized like this: Dowoo(道祐,-1633-1664-) → Seungho(勝浩, -1640-1719-), Sangryun(尙倫, -1657-1688 -), Yeojam(呂岑, -1678-1688-) → Suil(守日, -1675-1730-), Suyeon(守衍, -1681-1709-), Sujong(守宗, -1684-1685-), Bubjong(法宗, -1684-1730-). Based on analyzed stylistic features, Seungho seemed to be specialized in stone carving, and his active area was mainly Yeongnam province. Inside of Yeongnam province, there were many Buddha sculptures, which might be Seungho’s works. These sculptures are in Sinheungsa, Donghwasa, Yongyeonsa, Bukjijangsa, Daebisa, Seongjusa, Okchensa. All of these temples are in Yeongnam province. These undated Buddha sculptures also share Seungho’s sculptures stylistic features, so we can estimate that these were rendered by Seungho himself or Seungho’s followers between 1680 and 1720. Based on found votive inscriptions and temple histories, we can presume Seungho biography. He might be born around 1620 and finish his apprentice as a monk sculptor in 1640s. Seungho became the second rank monk master around 1650s. In 1670s he led his own monk sculptor school and rendered various Buddha sculptures in Eungjingeon and Myeongbujeon in Yeongnam province. Especially the fact that Seungho created B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