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금보전』(황병기 소장본) 편찬 연도 재론

        최선아 한국국악학회 2022 한국음악연구 Vol.72 No.-

        2020년 『금보전』(황병기 소장본)이 영인되어 해제와 함께 한국음악학계에 소개되었다. 그러나 이 악보의 편찬 연도인 계사년(癸巳年)이 해제에 1713년과 1833년 두 가지로 추정되어 있어서 혼란스럽다. 본고는 이러한 혼란을 수습하고자 『금보전』의 편찬 연도의 근거를 재고하고 미진한 부분을 보완하여 편찬 연도를 1713년으로 해석하였다. 『금보전』은 양금신보․청송보․신보․시보를 저본으로 한 금론 및 악곡을 수록하고 있다. 이 악보 필사자의 관심은 『양금신보』의 금론과 4가지 조로 된 <중대엽>․<삭대엽>․<북전>에 집중되어 있다. 수록된 금론 및 악곡, 특히 가장 최신의 음악을 싣고 있는 시보의 <평조 북전>이 김성기의 악보를 넘지 않기 때문에 편찬 연대 계사년을 1713년으로 보는 것이 합리적이다. 그렇다면 19세기 악보인 『유예지』와 『삼죽금보』(1841)가 구개음화된 거문고 구음 ‘지’, ‘징’ 출현의 출발점이라 판단하여 『금보전』의 편찬 연도 계사년을 1833년으로 추정한 해제는 수정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ㄷ구개음화’는 i, j 모음 앞의 ‘ㄷ, ㅌ’이 ‘ㅈ, ㅊ’으로 교체되는 변화로, 17세기 초부터 등장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금보전』에서 거문고 구음 ‘지’, ‘징’과 함께 사용된 겹술 구음 ‘들스렝’은 『금보신증가령』(1680)과 연세대 소장 『금보』에서 사용되었다가 『한금신보』(1724)에서 ‘딩스렝’으로 교체되었다. 이 점 역시 『금보전』이 18세기 전반기를 넘지 않는다는 증거가 된다.

      • KCI등재

        독일의 수도역할에 대한 일고찰

        최선아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4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32

        As Germany traditionally has a powerful decentralized political structure, it was postponed the nation state formation and the political integration. According to this, the developmental process in the capital is also showing a different characteristic from other European countries. In case of Germany, the nation state was formed in the considerably late period compared to other European countries. And even following the unificati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in the commonwealth countries of the past was maintained. Hence, the formation in central and regional concepts and the aspect of being connected this process and the modernization work can be considered to have been shown differently in Germany from other European countries. The nation state, which was formed in modern times, can be prescribed as what one nation has the political sovereignty with forming the national boundary.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the contemporary people also had a critical mind for the propensity of romanticism, the time of being appeared nationalism, the growth in a city, and the centralization in a nation, and an urban issue. In comparison with the power differentiation and the decentralization in premodern times, the modern society was stressed the centralization and the capital stature as the central part. The phenomenon of urbanization according to industrialization was emphasized in line with this. According to the formation of centralization, the stature of capital in modern nation was stressed. This brought about the bigger ripple effect with being interlinked with industrialization. This study figured out correlation between the history of the Holy Roman Empire, which is the German-speaking world, and the capital of Germany, as the background that the central and capital concepts in Germany were developed into the aspect different from other European countries. And it defined the relationship with France, which had partial influence upon formation of the concepts called modernization, nation state, and centralized authoritarian rule in Germany, by being connected with the growth in Prussia and a concept of capital. This process will be conducive to examining one cross section of the unique German history that was delayed the formation of the capital and central concepts while being located in the central part of Europe. Also, it can be said to have its significance in considering important part of the whole German history in the context dubbed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and the formation of nation state. 독일은 전통적으로 강력한 지방분권적인 정치구조로 국민국가의 형성과 정치적인 통합이 지연되었다. 이에 따라 수도의 발전과정도 다른 유럽 국가들과는 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다. 독일의 경우, 다른 유럽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상당히 늦은 시기에 민족국가가 형성되었다. 그리고 통일 이후에도 과거의 영방국가들의 개별 특성이 유지되었다. 따라서 독일에서 중앙과 지방 개념이 형성되고 이 과정과 근대화 작업이 연계되는 양상은 다른 유럽 국가들과 다르게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근대에 형성된 민족국가는 하나의 민족이 국가적인 경계를 이루며 정치적 주권을 갖는 것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19세기 전반 낭만주의 성향과 민족주의가 등장하는 시기, 도시의 성장과 국가의 중앙집권화, 도시 문제 등에 대해 당대인들도 문제의식을 갖고 있었다. 전근대 시대에 권력분화와 지방분권화와 비교하여 근대 사회에 중앙 집중화와 중심부로서 수도의 위상은 중시되었고, 산업화에 따른 도시화 현상이 이와 발맞추어 강조되었다. 중앙집권화가 이루어지면서 근대적인 국가의 수도 위상은 강조되고 이것은 산업화와 맞물리면서 더 큰 파급효과를 가져왔다. 본 논문에서는 독일의 중앙과 수도 개념이 기타 유럽 국가들과 다른 양상으로 전개된 배경으로 독일어권인 신성로마제국의 역사와 독일 수도의 상관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독일에 근대화와 민족국가, 중앙집권이라는 이념 형성에 일정 부분 영향을 끼친 프랑스와의 관계를 프로이센의 성장과 수도 개념과 연관지어 규정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유럽의 중심부에 위치하면서 수도와 중앙 개념 형성이 뒤늦은 독특한 독일사의 한 단면을 살펴보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근대화 과정과 민족국가의 형성이라는 맥락에서 전체 독일사의 중요 부분을 고찰하는데 그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18세기 여창 가곡의 음악적 특성

        최선아 한국음악사학회 2023 한국음악사학보 Vol.71 No.-

        이 연구는 18세기 중후반에서 19세기 전반 사이에 여창 가곡이 남창으로부터 분화되었을 것이라는 주장에 대한 반론이다. 19세기 여창 가곡이 등장(혹은 출현)하기 전인 18세기에도 이미 여기들이 연회에서 대엽류 가곡을 부른 사실을 문헌과 악보 등을 통해 논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18세기 전반 여성음악가들은 19세기 가곡 가창에서와 같이 특정 악곡만 불렀던 것이 아니라 가곡 대부분을 노래하였으며, 이 노래들이 큰 인기를 얻어서 그 노랫말이 18세기 가집에 수록될 수 있었다. 둘째, 18세기 전반 『청구영언(진본)』에 수록된 <만횡청류>의 노랫말(시조)은 가곡 가창의 중심에 여기들이 있었으며, 그녀들은 관현에 맞추어 노래하였음을 묘사한다. 그러나 18세기 중반 가객 김수장의 시조는 남성 가객들이 가곡 가창의 중심이 되었으며, 관현에 맞추어 가객과 여기가 가곡을 교대로 부르는 남녀 교대창 방식이 도입되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셋째, 이러한 가곡 가창 방식의 변화는 19세기 이후 여창 가곡에 큰 영향을 미쳤다. 19세기 이전의 여창 가곡은 평조 및 평조계면조 반주에 맞추어 노래되었는데, 남녀 교대창이 도입되면서 여창도 남창의 Key에 맞춰 우조 및 우조계면조로 반주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9세기 이전에는 여창이 남창과 대략 5도 높은 음정 차이를 가지며 유사한 선율을 부르다가 교대창 방식이 도입되면서 여창도 남창의 우조 Key의 옥타브 위에서 노래하도록 변화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남성 가객을 중심으로 한 가곡 가창에서 여창은 <환계락>과 같은 반우반계 악곡 등을 도입하여 독자적인 가곡 연창 방식을 개발하였다. 18세기 중후반 이후, 남성 가객이 주도하는 가곡 가창 현장에서 여성음악가들이 부를 수 있는 가곡은 매우 제한적이었으나 기예와 역량을 지닌 여기들은 가성을 활용하여 여성 음역대를 뛰어넘는 긴 노래를 매끄럽게 이어 부르며, 이로써 여창 가곡은 끊어질 듯 이어지는 부드러움과 청아함을 특징으로 하는 예술적 표현을 구현하게 되었다.

      • KCI등재

        독일의 시민계급과 교양이념에 대한 고찰 - 괴테의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를 중심으로 -

        최선아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6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39

        'Bildung' can be said to imply the process that the individual ego is developed as personality of having specific universality. As what was shown this Bildung ideology in Germany, Goethe's 『Wilhelm Meister's Apprenticeship』can be taken. Bildungsroman is a concept that was indicated in a distinct characteristic of German history that cannot be found in other European countries. A goal of the Bildung ideology in Germany relies upon the humanistic ego. Bildungsroman is having the contents as the liberal course that a young hero proceeds with being matured up to an individual's completion phase with overcoming rough adversity in the real world. Bildungsroman is having a task of trying to pursue a rational individual's completion by solving an individual's conflicting problem with the external world. This theme, which tries to overcome a conflict of soul, pursues the universal world order by analyzing a relationship between a human being and the world as the educational and enlightening aspect and by solving a conflictual relationship between an individual and the world. German Bildungsroman is having the background as seeking for the inner ego as a means of reacting to the state power, as claiming to stand for individualism, and as emphasizing German culture and German spirit. This developmental process was shown in the middle of German idealism. Thus, Bildungsroman just can be said to be one of typical cultures that represent a characteristic of German history.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process of formation in bourgeoisie through the Bildung ideology and liberal arts that was shown in『Wilhelm Meister's Apprenticeship』by a great writer Goethe who had been active in those days in a country called German that has image dubbed the unified state with division and tardiness. ‘교양’(Bildung)이란 개별적인 자아가 구체적 보편성을 갖는 인격체로 발전되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독일에서 이러한 교양이념이 나타난 것으로 괴테의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를 들 수 있다. 교양소설은 다른 유럽 국가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독일 역사의 특수성에서 나타난 개념이다. 독일의 교양이념의 목표는 인본주의적 자아의 완성에 있다. 교양소설은 젊은 주인공이 현실 세계의 험난한 역경을 이겨내고 개인의 완성 단계까지 성숙되어가는 교양 과정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교양소설은 외부 세계와 개인의 갈등 문제를 해소하여 이성적인 개인의 완성을 추구하려는 과제를 가지고 있다. 영혼의 갈등을 극복하려는 이러한 주제는 인간과 세계와의 관계를 교육적이고 계몽적인 측면으로 해석하고, 개인과 세계와의 갈등 관계를 해소시켜 보편적인 세계 질서를 추구한다. 독일 교양소설은 국가 권력 앞에 대응하는 수단으로 내면적 자아를 추구하며, 개인주의를 표방하며 독일 문화와 독일 정신을 강조하는 것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발전 과정이 독일적 이상주의 속에서 나타났기 때문에 교양소설이야말로 독일역사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는 대표적인 문화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분열과 지각한 통일 국가라는 이미지를 갖고 있는 독일이라는 나라에서 시민 계급의 형성과정을, 당시 활약했던 문호 괴테의 『빌헬름 마이스터의 수업시대』에 나타난 교양이념과 교양과목에 대한 개념을 통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 Bis (\beta$-amino-alkyl-oxo) oxalate 유도체의 납 중독 해독에 관한 연구

        최선아,유미례,노영수,정성현,정세영 환경독성보건학회 1989 환경독성보건학회지 Vol.4 No.3

        The effects of his ($\beta$-amino-ethyl-oxo) oxalate and bis ($\alpha$-amino-methyl-oxo) oxalate on the toxicity of lead acetate in rast were examined. Rats were given intraperitoneally at the dose of lead acetate 45 mg/kg. The exposure of lead acetate showed the 70% decrease of ALAD ($\delta$-amino levulinic acid dehydratase) activity in red blood cell. In vivo 122 mg/kg administration of bis ($\beta$-amino-ethyl-oxo) oxalate and bis ($\alpha$-amino-methyl-oxo) oxalate showed the 50% increase of ALAD activity, whereas 149 mg/kg administeration of Ca-EDTA had no effect. In vitro, the same results were obtained. Both compounds had hemolytic activity at concentrations higher than that required for showing the 50% ALAD activity increase in vivo.

      • KCI등재

        부모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가족의 식생활 행태와 지속가능한 식생활 역량분석: 2021년 식품소비행태 자료 이용

        최선아,노정옥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2 No.11

        본 연구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시행한 2021년 주구입자와 성인의 식품소비행태조사를 이용하여 학교급식을 이용하고 있는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식행태 및 지속가능한 식생활 역량을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주구입자 전체 참여자 3,318명 중 학교급식을 이용하고 있는 자녀를 둔 부모 519명을 최종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을 요인분석 결과 4개의 요인을 얻었으며 군집분석 결과 ‘탐색적 식사변화 추구형’과 ‘전통 식생활 유지형’으로 분류하였다. 두 군집별 일반적 특성은 성별(P<0.05), 평균 연령(P<0.05), 평균 체중(P< 0.05), 채식 관련 식행태(P<0.001), 교육 수준(P<0.05)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두 군집별 가족의 식행태 대한 차이 결과는 ‘탐색적 식사변화 추구형’보다 ‘전통 식생활 유지형’이 아침, 저녁 가족 식사 빈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 0.01). 일주일간 아침 결식빈도는 ‘탐색적 식사변화 추구형’이 ‘전통 식생활 유지형’보다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 0.001). 주 1회 이상 HMR 식품 구입 비율, 배달/테이크아웃 이용, 음식 관련 미디어를 자주 시청하는 비율은 ‘탐색적 식사변화 추구형’이 ‘전통 식생활 유지형’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학교급식 만족도의 총 3문항 중 2문항(‘학교급식은 가정에서 밥을 잘 먹게 하는데 기여한다’, ‘학교급식은 품질이 우수하다’)에서 모두 ‘탐색적 식사변화 추구형’의 만족도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1, P<0.001). 친환경 학교급식 인식 정도는 ‘탐색적 식사변화 추구형’이 ‘전통 식생활 유지형’보다 유의적으로 인식 비율이 높았다(P<0.05). 지속가능한 식생활 역량은 전체 항목의 총평균은 3.66점이며, 두 군집의 지속가능한 식생활 역량의 총평균은 3.68점과 3.65점이며 군 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세부 항목에서는 식품의 선택역량에서 ‘탐색적 식사변화 추구형’이 ‘전통 식생활 유지형’에 비해 유의적으로 농식품의 원산지 표시, 안전관리 인증표시, 영양성분표 등 표시 이용면에서 점수가 높았다. 건강한 식생활 관리역량에서는 ‘전통 식생활 유지형’이 ‘탐색적 식사변화 추구형’보다 유의적으로 가족 식사를 중요시 생각했으며(P<0.01), ‘탐색적 식사변화 추구형’은 영양균형을 중요시하였다(P<0.05). 전통 식생활 유지역량에서는 ‘전통 식생활 유지형’이 ‘탐색적 식사변화 추구형’보다 ‘평소 김치와 장류를 즐겨 먹는다’ 항목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친환경 식생활 역량에서는 ‘탐색적 식사변화 추구형’이 ‘전통 식생활 유지형’보다 친환경 농산물 소비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였으며 ‘전통 식생활 유지형’은 올바른 식사 예절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식생활 역량을 신장시키기 위해서 부모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탐색적 식사변화 추구형’은 가족식사와 규칙적인 식사의 중요성, ‘전통 식생활 유지형’은 식재료에 대한 원산지 및 영양표시 읽기, 영양 균형, 건강에 좋은 농식품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두 군집 모두 총평균보다 점수가 낮았던 항목(‘건강한 체중 유지를 위한 섭취량 조절’, ‘다양한 채소, 과일, 잡곡 먹기’, ‘음식 남기지 않기’, ‘국내 농산물 소비와 국가 식량안보 관련성’)도 함께 교육한다면 부모의 지속가능한 식생활 역량이 향상되고 향후 자녀들이 학교급식에 대한 태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etary behaviors and sustainable dietary life competencies of parents with children who use school food services according to dietary lifestyles, and included an analysis of data reported in the 2021 Korean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A total of 519 parents, the main purchasers of food in their households, were included in the study.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t-test, chi-test, factor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in SPSS (ver. 27.0). Four factors were extracted by factors analysis (interest in food quality and safety-seeking, convenience seeking, traditional dietary-trend seeking, and diverse taste seeking) to explain the dietary lifestyles of parents. Cluster analysis results indicated parents that explored dietary changes and those that maintained a traditional diet should be regarded as target segments. Parents who explored dietary change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purchase HMR food and use delivery/take-out food sources than the traditional dietary group (P<0.01). In addition, the traditional dietary group had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having family breakfast and dinner than those that explored dietary changes (P<0.01). As regards sustainable dietary competency, those who explored dietary changes had a high score for the selection of agrifood (P<0.001). In contrast, the traditional dietary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preference for traditional foods (P<0.05) and considered family dining (P<0.01) and dining etiquette (P<0.05) to be more import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ed for education tailored according to parents’ dietary lifestyles due to a shortage of sustainable dietary life competency.

      • KCI등재

        19세기 말 조선에서의 외국인 고문관 활동 -묄렌도르프의 활동과 한계성-

        최선아 한국세계문화사학회 2013 세계 역사와 문화 연구 Vol.0 No.28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Joseon government confronted the imperialistic economic․military invasion crisis from Japan and the Western power internally and the dual task of rapid dissolution in feudal society and conflict against status system internally. In response to this, in the 1880s, the Joseon government set the goal of independence and autonomous modernization and exerted itself actively to address this. The Joseon government sent international students to introduce the Western advanced culture to foreign land, and tried to be of help to foreign trade task by inviting foreign specialists accustomed to the Western international law, administrative management technique and technology. Accordingly, in the Korean modern history, the study on Möllendorff, a German & the first foreign advisor, will help to illuminate the aspect of independence and modernization process. That is to say, this article is aimed at helping to understand, in depth, the development process of modern Joseon diplomacy and independence protection activity by analysing the content and characteristic of foreign policy, and consulting activity by Möllendorff, German advisor. Secondly, the political system of Joseon turned into the Great Han Empire in the historic process of protection independence and coping with the external invasion, during the opening port era. German Empire led by Wilhelm Ⅱ and the Great Han Empire led by Emperor Gojong had common denominator of ‘new empire’ in outer appearance, however both countries had different time background in the change of national system into an ‘empire’. This article will examine how German Empire and the Great Han Empire recognized each other in the far Eastern region, which appeared as new area of power during the age of imperialism. At that time, Germany achieved belated unified nation state and was a new empire which elected an emperor, in its direction. And, the Great Han Empire also was a new empire in the Eastern Asia which denied the Chinese dominance over Korea in the Eastern Asia and declared ‘empire’, as a way to survive the conflict of Japan and the Western power. In addition, the Great Han Empire tried to model itself after German Empire of Wilhelm which promoted the international status of strong German Empire through the strengthening of military power as a way to strengthen national power and keep independence of the Korean peninsula which was undergoing international crisis from the advancement of Japan and the Western power. This research will go over Möllendorff, the first foreign advisor who worked in a critical mind, during the port opening era, in chapter Ⅱ. And chapter Ⅲ will inquire into the role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expected each other by the Great Han Empire and German Wilhelm Empire. The study like this will help Korea to be engaged actively in the international order of East Asia in the 21st century, by looking back on the Korean-German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