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파손확률에 따른 마그네슘합금의 피로설계수명 예측

        최선순(Seon Soon CHOI) 한국생산제조학회 2010 한국생산제조학회지 Vol.19 No.6

        The fatigue crack propagation is stochastic in nature, because the variables affecting the fatigue behavior are random and have uncertainty. Therefore, the fatigue life prediction is critical for the design and the maintenance of many structural components. In this study, fatigue experiments are conducted on the specimens of magnesium alloy AZ31 under various conditions such as thickness of specimen, the load ratio and the loading condition. The probability distribution fit to the fatigue failure life are investigated through a probability plot paper by these conditions. The probabilities of failure at various conditions are also estimated. The fatigue design life is predicted by using the Weibull distribution.

      • 도시인근 농업용저수지에서 수층에 따른 수질특성

        최선화 ( Sunhwa Choi ),이승헌 ( Seungheon Lee ),장규상 ( Kyusang Jang ) 한국농공학회 2016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6 No.-

        도시 인근에는 농업용 저수지가 다수 분포하고 있으며, 이들 저수지는 대부분 수심이 2~3m의 용량 50만㎥ 이하에 해당하는 소규모 호소이다. 이들 호소는 대도시 인근에 위치하고 있어 대부분이 낚시터로 이용되고 있으며, 주변의 관광지화로 많은 사람들에게 친수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용량이 적고 수심이 낮은 저수지의 수질은 유입되는 오염 수와 심층 퇴적물로부터 용출되는 오염물질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들 호소는 대부분 규모가 큰 호소에 비해 자연정화능력이 떨어지고 물순환율이 떨어져 호소 수질오염도가 높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시흥시에 위치하고 있는 M 저수지를 대상으로 수층에 따른 수질특성을 살펴보았다. 표층수는 수면~0.5m에서, 심층수는 저수지 퇴적층 상부 0.5m에서 채수하였고, ORP, 수온, pH, EC는 수심에 따라 50㎝ 간격으로 측정하였다. pH는 표층에서 6.7~9.0(평균 7.8), 심층수에서 7.1~9.0(평균 7.1)로 수층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었고, DO는 표층수에서 2.4~12.4㎎/L(평균 6.8㎎/L), 심층수에서 0.1~9.6㎎/L(평균 4.2㎎/L)으로, 평균 2.6㎎/L, 최대 8.0㎎/L의 차이를 보였다. SS는 표층수에서 12.5~47.0㎎/L(평균 25.2㎎/L), 심층수에서 15.5~61.0㎎/L(평균 40.1㎎/L)으로 6~8월에는 심층수에서 표층수보다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원인은 같은 시기에 심수층의 DO가 거의 무산소 상태를 보였고, 이에 따라 퇴적층에서 오염물질이 많이 용출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COD는 표층수에서 10.6~19.2㎎/L(평균 16.5㎎/L), 심층수에서 10.8~19.3㎎/L(평균 16.4㎎/L)으로 심수층에서 표층수보다 약간 높았으며, Chl-a는 표층수에서 45.8~163.9㎎/㎥(평균 87.5㎎/㎥), 심층수에서 38.5~178.5㎎/㎥(평균 83.4㎎/㎥)으로 심층수에서 표층수보다 높게 나타났다. Chl-a은 10월 중순경에 다른 조사 시기에 비해 매우 높았으며, 이러한 원인은 강우 이후 외기온도 상승 및 수체 혼합에 의한 바닥층 오염물질의 상부 이동에 의한 플랑크톤 대량 번식으로 판단된다. M 저수지는 SS, COD, Chl-a, TN, TP 모두 표층보다 심수층에서 오염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로부터 호저 퇴적층에서 오염물질의 용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M 저수지는 1941년도에 설치된 저수지로 준공된 지 70년 이상 된 아주 노후화된 저수지이다. 오염물질의 오랜 퇴적으로 인해 퇴적층의 두께가 상당할 것으로 추측되며, M 저수지의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퇴적 오염물질에 대한 관리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M 저수지는 전체적으로 수심이 2m 내외인 저류지 형태로서 저수지 호소면적 2/3 이상에 마름이 피어 있는 저수지이다. 저수지 내에 피어있는 마름이 가을철에 분해되면서 일시적으로 COD, TP, Chl-a 농도가 높이 올라가는 경향도 보이고 있어, 호 내 마름에 대한 관리방안도 함께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생육시기별 염수관개에 따른 벼 생육 및 수확량에 미치는 영향 평가

        최선화 ( Choi Sunhwa ),노경환 ( Noh Kyunghwan ),엄한용 ( Um Hanyong ),최강원 ( Choi Kangwon ) 한국물환경학회 2020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공동 춘계학술발표회 Vol.2020 No.-

        본 연구에서는 벼 생육시기별로 염수 관개가 벼 생육 및 수확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벼 재배실험(포트실험)을 수행하였다. 벼 재배실험은 일반 논토양을 대상으로 하였고, 염분 처리 농도는 대조구(지하수, 200ppm), 1,000, 1,500, 2,000, 2,500ppm의 5처리 수준, 벼 생육시기는 이앙기~활착기, 활착기~유수형성기, 유수형성기~수잉기, 수잉기~출수기, 등숙기 5단계로 구분하여 3반복의 실험 설계로 총 63개의 포트를 설치하였다. 벼 재배실험은 삼광벼를 5월 20일에 이앙하였고, 기타 물관리 및 시비 등 재배활동은 농진청의 벼 표준재배법에 준하였다. 벼 생육시기별 염수 관개에 따른 벼 생육 및 수확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염수는 각각의 생육시기동안 관개하고, 그 이외의 기간에는 담수(지하수)를 관개하였다. 초장, 분얼수, SPAD-value의 조사는 이앙 2주 후부터 7일 간격으로 측정하였고, 건물중, 수량구성요소, 수확량은 벼 수확 후 분석하였다. 벼 재배실험 결과, 이앙기~활착기의 염수관개에서는 초장은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성은 없었고, 분얼수는 초기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수잉기 이후부터 시험구 1,500ppm 이상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수확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 대비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활착기~유수형성기 염수관개에서는 초장은 유수형성기부터 1,500ppm 이상 처리구에서, 분얼수는 시험구 2,000ppm 이상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영화수와 수확량은 시험구 1,000ppm 이상에서 대조구 대비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유수형성기~수잉기 염수관개에서는 시험구 2,000ppm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수량구성요소는 시험구 2,500ppm에서, 수확량은 1,500ppm 이상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수잉기~출수기 염수관개에서는 건물중은 1,500ppm이상, 이삭수는 1,000ppm 이상의 모든 시험구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하였고, 등숙기의 염수관개에서는 등숙율과 수확량이 염도 2,500ppm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한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본 연구결과, 이앙기, 분얼기 등 생육 초기의 염수 관개에는 초장, 분얼수 감소 등 작물의 생육부진을 초래하였고, 이러한 결과는 수확기의 수량구성요소 및 수확량 감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수잉기 이후의 염수 관개에서는 벼 생육 및 수확량 감소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봄철 가뭄 등으로 인해 용수의 염도가 높아지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작물의 염해 방지를 위해서는 생육초기인 5~7월의 물관리에 특히 유의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삽교호 오염부하량과 수질특성

        최선화 ( Choi Sun Hwa ),김형중 ( Kim Hyung Joong ) 한국농공학회 200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07 No.-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water quality and pollution loading when make plans for integrated water quality improvement measures in the Sapgyoho Reservoir. The concentration of water quality were as follows ; pH 6.6~9.6, COD 6.2~11.6㎎/L, SS 12.8~66.0㎎/L, Chl-a 16.4~62.3㎍/㎥, T-N 2.382~3.131㎎/L, T-P 0.08 2~0.180㎎/L, and PO<sub>4</sub>-P 0.017~0.081㎎/L, respectively. The pollution loading distribution(%) in the Sapgyoho Reservoir watershed were as follows ; BOD 73,570 ㎏/day T-N 30,351 ㎏ /day and T-P 6,128㎏/day, respectively. Domestic and livestock wastewater were the most important pollution source in the Sapgyoho watershed. Treatment of domestic and livestock wastewater should be treated firstly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Sapgyoho Reservoir.

      • KCI등재
      • KCI등재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갈참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노화 효능

        최선,이종석,이사라,여주홍,정태동,조봉연,최승현,심완섭,한웅호,이진하,김종대,이옥환,Choi, Sun-Il,Lee, Jong Seok,Lee, Sarah,Yeo, Joohong,Jung, Tae-Dong,Cho, Bong-Yeon,Choi, Seung-Hyun,Sim, Wan-Sup,Han, Xionggao,Lee, Jin-Ha,Kim, Jong Dai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2018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Vol.33 No.2

        본 연구는 예부터 약용으로 사용되었거나, 현재 식품공전에 식품원료로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등록된 국내 산림지역에 자생하는 식물을 식품산업에 활용하고자 선행연구에서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보인 갈참나무 잎을 본 연구에서 사용하였다. 70%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갈참나무 잎을 이용하여, hydrogen peroxide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피부 섬유아세포에서의 세포 보호효과, 세포내 항산화 효과 및 항노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세포 독성을 평가한 결과 25, 50 및 $100{\mu}g/mL$의 갈참나무 잎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모두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hydrogen peroxide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도한 상태에서는 세포를 보호하여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생존율이 증가하였다. 특히, $100{\mu}g/mL$의 농도에서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50{\mu}M$ ascorbic acid 수준까지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였다. 세포내 항산화 효과를 확인 하기위해 사용한 $H_2-DCFDA$ assay에서는 형광현미경과 형광흡광도 측정에서 모두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내 ROS 저감 활성을 확인하였고 갈참나무 잎 추출물을 $100{\mu}g/mL$ 농도로 처리했을 때는 $50{\mu}M$ ascorbic acid와 비슷한 세포내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SA-${\beta}$-galactosidase assay를 이용한 갈참나무 잎 추출물의 피부 섬유아세포에 대한 항노화활성은 ROS 생성 억제 효과와 유사한 경향으로 갈참나무 잎 추출물의 농도 유의적으로 세포 노화 억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갈참나무 잎 추출물이 hydrogen peroxide로 인한 산화적 스트레스 상태에서 세포 보호효과, 항산화 효과 및 항노화 효과가 관찰되어 기능성 식품원료로서의 활용도가 매우 넓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skin of the human body occupies the largest surface area of the body and acts as a protection for the person's internal organs. As such, the skin is a major target of oxidative stressors, and these oxidative stressors are known to contribute to skin aging over the course of time. For the most part, an antioxidant is an effective approach to utilize to prevent symptoms related to the reactive oxygen species (ROS)-induced aging of the skin.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nt and anti-aging activity of the leaves of the Quercusaliena Blume extract (QBE). In our study, we confirmed that the cell viability tested with XTT {2,3-bis(2-methoxy-4-nitro-5-sulfophenyl)-2H-tetrazolium-5-carboxanilide innersalt} assay was not affected up to a concentration of $100{\mu}g/mL$. In addition, the cell viability of HDF cells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was recovered from 81% to 104% after treatment with QBE, which showed the greater protective effect than that of ascorbic acid. Treatments of QBE dose-dependently inhibit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in HDF cells induced by hydrogen peroxide, which correlated with their protective effects on cell viability. Since QBE treatment exhibited the suppression effect of skin aging by decreasing the ROS production, QBE could be used as a not only natural anti-aging but also antioxidant resource.

      • KCI등재

        미네르바 신드롬과 '시민 지성'의 조건 : 세계화와 정보화의 교차로에서

        최선정(Sunjung Choi)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2012 언론정보연구 Vol.49 No.1

        This paper examines the 'Minerva syndrome' in the light of negative globalization and the online knowledge production system in South Korea. An online economic commentator, alias 'Minerva' gained fame as a 'citizen intelligence' by forecasting the collapse of Lehman Brothers and critically commenting on the Korean government's economic policies at the height of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Minerva's early postings and internet users' responses to them are analysed through CDA(Critical Discourse Analysis) to investigate the way his identity as an economic expert was constructed and evaluated. Minerva achieved netizen's recognition and social authority by 1) maintaining minimal validity requirements of the conventional knowledge system, 2) giving reliable explanations of economic crisis on the verge, 3) expressing his compassion and affection to fellow citizen, and 4) sharing seemingly practical informations for surviving economic crisis for free. Implications of this findings for the changing conditions of intellectuals in Korea is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