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업만족도 및 학습 성과에 미치는 영향 : 교수에 대한 인지적, 감정적 신뢰의 매개효과 검증

        최석봉,임명서 한국산업경영학회 2011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1 No.6

        본 연구는 대학생 개인의 잠재적 역량차원에서 셀프리더십이 대학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나아가서 학습 성과와의 관계를 실증분석 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관점에서 학습성과에 대한 기존연구와 차별화 하여 의미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첫째, 학습성과의 선행변수를 학업만족으로 가정하고, 학생 자신의 셀프리더십에 대한 중요성이 점점 강조되고 있음으로 셀프리더십과 학업만족과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둘째, 교수에 대한 신뢰의 중요성이 일부연구에서 검증되었지만,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신뢰를 감정적, 인지적 신뢰로 구분하여 학업만족과의 관계와 이러한 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통하여 학생들의 셀프리더십과 학업만족간의 관계에 있어 교수신뢰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보다 높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업만족은 종국적으로는 학생들의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클것으로 가정하여 이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 수도권, 충청, 영남에서 159명의 대학생의 응답을 수집했으며 SPSS 15.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검증했다. 본 연구결과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은 교수 신뢰(인지적 신뢰, 감정적 신뢰) 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교수신뢰 역시 선행연구의 결과대로 학업만족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만족은 학습 성과와 직접적인 영향이 있음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대학생들이 학습 성과를 제고하는데 있어서 셀프리더십과 교수신뢰 그리고 학업만족도가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새로운 모형을 제시하여 학습 성과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할 것이다.

      • KCI등재

        리더-팔로워의 가치일치와 팀 창의성 간의 관계: 직무자율성의 매개효과와 실수관리스타일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석봉,정재금 대한경영학회 2022 大韓經營學會誌 Vol.35 No.3

        창의성은 기업의 지속 가능한 경쟁력과 가치창출을 높이는 핵심 원천으로 인식되어 왔다. 특히 팀 창의성은팀의 효과성을 바탕으로 창의적 활동을 더욱 촉진하고 강화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리더-팔로워의 가치일치가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이들관계에서 직무 자율성을 매개변수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직무 자율성이 팀 창의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실수관리 스타일이 더욱 강화시키는 상황요인으로보고 실수관리 스타일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끝으로 리더-팔로워의 가치일치가 직무 자율성을 매개로하여 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실수관리 스타일의 강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검증하기 위해조절된 매개효과모형을 분석하였다. 국내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종업원 305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 리더-팔로워의 가치일치는 팀 창의성에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직무 자율성은이들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수관리 스타일은 직무자율성과 팀 창의성 간에조절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직무 자율성을 매개로하는 리더-팔로워의 가치일치와 팀 창의성 간에실수관리 스타일의 조건부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효과적인 팀 창의성을 촉진하는과정과 조건을 제시하여 선행연구결과를 확장하고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끝으로 연구결과를 통해이론적, 실무적 기여와 본 연구의 한계, 그리고 미래 연구자를 위한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국내 제조기업의 기술혁신 결정요인 중요도 분석 : 조직 내부역량과 외부환경을 중심으로

        최석봉,하귀룡 한국산업경제학회 2011 산업경제연구 Vol.24 No.1

        기술혁신이 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쟁력의 원천으로 인식되면서, 기업차원에서 기술혁신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대부분의 기존연구들이 기술혁신의 결정요인 도출에 집중해왔으나 이들 결정요인들의 중요도와 추진상의 우선순위를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는 미흡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술혁신활동과 관련한 결정요인들을 계층적 구조로 모형화 하고 객관적인 분석을 통해 개별 요인들의 중요도를 파악함으로써 기술혁신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결정요인간의 전략적 우선순위를 제안하고자 한다. 계층구조는 조직 내부역량과 조직 외부환경을 상위요인으로 하였으며, 리더십, 조직구조, 조직문화, 조직지원을 조직 내부역량의 하위요인으로, 정부지원, 기술환경, 수요조건, 경쟁자를 조직 외부환경의 하위요인으로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상위 요인간의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보면, 조직 내부역량(62.3%)이 조직외부환경(37.7%)에 비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하위요인의 경우에는 리더십(19.2%), 조직문화(15.9%), 조직지원(15.3%), 수요조건(13.0%), 조직구조(11.9%), 기술환경(10.1%), 경쟁자(8.7%), 정부지원(5.9%)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공적인 기술혁신활동을 위한 효율적인 자원 배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기업의 효과적인 기술혁신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In recent years, many organizations have looked upon technological innovation as the means by which they could maintain a competitive edge. Despite previous academic efforts to examine determinants of innovation, an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based study of critical factors for innovation implementation in the context of Korean manufacturing firms has rarely been analysed. This paper tries to fill this gap by investigating the critical factors and sub-factors that determine the implementation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t incorporates the main findings of a recent study, in which an AHP approach was employed to prioriti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wo critical factors and eight sub-factors in terms of firms' internal capability and external environment. Th findings advocate that firms would stress the internal capability factor rather than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round firms for technological innovation. Leadership, organizational culture and management support are among the most important sub-factors. The results suggests a generic hierarchy model for firms to prioritize the critical factors and formulate strategies for implementing technological innovation.

      • KCI등재

        조직문화유형, 학습지향성 및 조직구성원의 혁신성 간의 관계 :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최석봉 한국산업경제학회 2011 산업경제연구 Vol.24 No.6

        조직구성원의 학습과 이를 바탕으로 한 끊임없는 혁신은 오늘날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기업의 지속가능한 경쟁우위의 원천으로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조직 내에서 이러한 학습과 혁신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조직문화에 대해서는 간과되어 온 측면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조직문화를 4가지 유형으로 세분화하고 이를 구성원의 학습지향성, 그리고 인적자원의 혁신성과의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추가적으로 구성원의 조직지원인식이 학습지향성과 혁신성과의 관계를 조절할 중요한 변수로 가정하고, 구조모형모델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이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실증적 연구의 분석결과, 첫째, 혁신적 문화는 구성원의 학습지향성에 정(+)의 영항을 미치는 반면, 위계지향문화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업 및 관계지향 문화는 학습지향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지향성은 조직구성원의 혁신성에 대해 유의한 정(+)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습지향성이 높은 구성원일수록 혁신성도 높아지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구성원의 조직지원인식은 혁신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습지향성과 혁신성과의 관계를 조절하는 역할은 발견되지 않았다. This article reports the results of a study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organizational culture, learning orientation and innovation of employees with primary data from a sample of 205 small and midium sized enterprise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the innovative 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learning orientation of employees whereas the hierarchical oriented organiza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learning orientation. Second, we suggested the high level of learning orientation would improve innovation of employees and our empirical result supported this hypothesis. Finally, we also examined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orientation and innovation of employees. Our empirical analysis shows tha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innovation but no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organizational culture and innovation behaviour research.

      • KCI등재

        지원적 리더십, 위험감수행동, 그리고 창의적 성과: 심리적 안정성의 조절된 매개 효과

        최석봉 한국경영교육학회 2019 경영교육연구 Vol.34 No.6

        [Purpose]This paper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ortive leadership and employees’ creative performance. This article also examined whether risk taking behavior positively mediated the above relationship. In addition we address the moderating role of psychological safe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ortive leadership and risk taking behavior. By developing moderated a mediation model, we also addressed indirect conditional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ortive leadership and creative performance via risk-taking behavior. [Methodology]Based on survey data collected for 233 employees working for domestic manufacturing and service companies, direct,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were tested by hierarchical regression. In addition, using the Hayes (2012)’ macro PROCESS, the moderated mediated effects of psychological safety were analyzed. [Findings]The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has shown that supportive leadership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related to employees’ creative performance. We have also found that risk-taking behavior positiv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ortive leadership and employees’ creative performance. While there was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safe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ortive leadership and risk taking behavior, the moderated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safety was found. [Implications]These findings highlight the pivotal role of supportive leadership in promoting employees’ creative performance. Of particular, uncovering the link between supportive leadership and employees’ creative performance with mediating role of risk-taking behavior and moderated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safety can provide useful implication to the organizations and managers who want to understand paths and conditions promoting employees’ creative performance. Mor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also discussed. [연구목적]조직행동분야에서는 오랫동안 리더십의 유형과 그 효과성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원적 리더십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들이 여전히 부족한 것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원적 리더십이 창의적성과에 이르는 중요한 매개경로와 상황요인을 논의하고 이를 실증분석 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관리자 의 지원적 리더십이 종업원 창의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종업원이 창의적 업무성과를 촉진하는데 중요한 심리적 기저로 위험감수행동을 선정하고 이들 관계에 있어 위험감수행동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지원적 리더십과 위험감수행동을 촉진하는 상황요인으로 심리적 안정성을 상정하고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관리자의 지원적 리더십이 위험감수행동을 통하여 창의적 성과에 이르는 간접효과가 심리적 안정성의 수준에 따라 다를 것으로 예상하고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방법]국내제조 및 서비스기업에 근무하는 233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수집한 설문 데이터를 바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직접, 매개 및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아울러 Hayes(2012)’s macro PROCESS를 사용하여 위험감수행동을 매개로 지원적 리더십이 창의적 성과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심리적 안정성에 의해 조절되는지 여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실증분석 결과 첫째, 지원적 리더십은 창의적 성과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위험감수행동은 이들 관계를 긍정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심리적 안정성은 지원적 리더십과 위험감수행동 간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위험감수행동을 매개로 하는 지원적 리더십과 창의적 성과 간의 간접영향 관계는 긍정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는 종업원들의 창의적 성과를 촉진하는 선행변수로서 리더의 지원적 역할의 중요성을 재조명하였다. 또한 위험감수행동의 매개역할과 심리적 안정감의 조절된 매개변수 역할을 확인함으로써 지원적 리더십이 창의적 성과에 이르는 다양한 조건과 상황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 KCI등재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여가활동이 직무 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비교연구: 성별과 업무성격을 중심으로

        최석봉,정기백 한국경영교육학회 2023 경영교육연구 Vol.38 No.2

        [연구목적]종업원의 여가활동은 직장행복 및 조직성과에 중요한 선행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여가활동의 유형에 따라 분석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여가활동과 오프라인 여가활동이 종업원의 직무 스트레스와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아울러 상황요인으로 성별과 업무성격을 상정하고 조절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국내 기업에 근무하는 종업원을 대상으로 수집한 376명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하여 직접효과 및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실증분석 결과 첫째, 온라인 여가활동과 오프라인 여가활동은 직무 스트레스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둘째, 온라인 여가활동이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으나 오프라인 여가활동은 주관적 웰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오프라인 여가활동 모두 성별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었으며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은 오프라인 여가활동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온라인, 오프라인 여가활동 모두 업무성격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었으며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은 오프라인 여가활동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여가활동 유형별 효과의 차이를 검증하였으며 성별과 업무유형에 따른 차이를 확인함으로 종업원의 여가활동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