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오대산 문수신앙의 역사적 전개와 특징

        최복희(오인) 한국정토학회 2017 정토학연구 Vol.28 No.-

        일본의 오대산 문수신앙은 7세기에 문수보살의 화신으로 불리운 교키로부터 시작된다. 이는 교키의 민중적이고 다양한 사회사업 등으로 인한 것으로, 일본 오대산 문수신앙을 이해함에 있어 중요한 성격이다. 교키 이후, 헤이안시대에는 히에이잔과 남도불교, 두 계통의 오대산 문수신앙이 전개된다. 특히, 남도불교의 곤죠가 설치한 문수회는 교키의 민중적인 문수신앙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가마쿠라시대가 되면, 에이손과 닌쇼에 의하여 비인구제의 문수신앙이 성행한다. 에이손의 비인구제의 의의는 남도불교의 문수회의 사상을 계승하면서도, 에이손이 독자적인 해석을 하여 가마쿠라시대의 승려들이 포교의 대상으로 삼지 않았던 천민인 비인들에 대한 구제에 큰 힘을 쏟은 것은 커다란 의의가 있다. 즉, 문수회에서는 단순히 ‘빈궁자’ ‘고독자’라고 칭하던 구제의 대상들을, 장애자와 나병환자 등을 포함하여 ‘비인’이라고 칭하였던 것이다. 일본 오대산 문수신앙의 특징은 히에이잔의 전통적인 학문적 문수신앙도 계승되지만, 한편으로는 교키로부터 시작된 민중적 문수신앙이 가마쿠라 시대까지 병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Mt. Wu‐Tai Manjusri Belief in Japan started from Kyoki(行基), who was called the incarnation(化身) of Manjusri Bodhisattva in the 7th century. This is due to Kyoki's popular and diverse social projects, and it is an important character of Japan Mt. Wu‐Tai Manjusri Belief. After Kyoki, in the Heian era, two lines of Mt. Wu‐Tai Manjusri Belief including Mount Hiei(比叡山) and southern Buddhism, were unfolded. Among them, the Manjusri society established by Gonjyo(勤操) of southern Buddhism inherited the tradition of Kyoki's popular Manjusri Belief. In the era of Kamakura, the Manjusri Belief of non‐human salvation became popular by Eizon(叡尊) and Ninsho(忍性). The significance of Eizon's the Relief Work for Hinin(非人救濟), while inheriting the ideas of the Manjusri society of southern Buddahism, was that Eizon did his own interpretation and devoted much of his relief to the non‐humans whom the monks in the Kamakura era regarded as no subjects of their mission, which has a big significance. In other words, Manjusri society simply referred to the remedies called ‘paupers’ or ‘solitary men’ as ‘non‐human’ including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lepers. The characteristic of Japan Mt. Wu‐Tai Manjusri Belief is that the traditional academic Manjusri Belief of hieizon is succeeded, but on the other hand it is understood that the Manjusri Belief of the people originated from Kyoki is running parallel to the Kamakura era.

      • KCI등재

        정행사와 서호계념회

        최복희(오인) 한국정토학회 2021 정토학연구 Vol.36 No.-

        여산 혜원의 정토결사는 동아시아 불교의 유구한 역사에서 시대와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전개된다. 본고는 중국 항저우의 서호지방을 중심으로 10-13세기까지 일어난 정토결사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10세기 성상(省常)은 여산 혜원의 가풍을 흠모하여, ‘정행사(淨行社)’라 는 결사를 결성하고, 『낙방문류』 등의 문헌에 연사(蓮社)의 조사(祖師)로 기록되었다. 그런데, 성상은 아미타불 염불이나, 정토경전을 독송하지 않았 다. 혈서(血書)로 『화엄경』 「정행품」을 사경하고, 인쇄하여 보시하는 등, 외 적으로는 정토수행이라기 보다는 화엄행자적 성격이 강하다. 하지만, 선도 가 『관무량수경』 을 전거로 하여 설한 정토왕생의 삼복(三福)을 근거하면, 정행사의 의의는 삼복 가운데, 행복(行福)을 실천한 정토수행인 것이다. 성상의 정행사를 후대의 문헌에는 ‘서호결사(西湖結社)’라고 하는데, 이 는 정행사 수행법의 변화를 시사하고 있다. 서호결사는 정행사 대표였던 문정공단(文正公旦)의 증손인 왕고(王古)에 의해서 칭명염불과 방생을 겸 한 수행으로 전개된다. 또한, 왕충(王衷)도 서호결사를 하였는데, 방생에 대한 기록은 없고, 『아미타경』 독송과 칭명염불의 횟수가 정해져 있는 것 이 왕고의 서호결사와 다른 점이다. 한편, 서호지방에는 서호결사와는 다른 ‘서호계념회(西湖繫念會)’에 대한 기록이 전하는데, 이는 불상(佛像)을 계념의 대상으로 한 정토수행이다. ‘계념’은 ‘생각을 하나의 대상에 집중한다.’는 의미인데, 육준(陸浚)이 정토 왕생의 인(因)으로 불상, 즉 붓다를 계념의 대상으로 한, 경전의 전거는 『비화경』 과 『불설관무량수불경』 등에서 찾을 수 있다. 12세기 후반에 일어난 고려의 수선사와 백련결사는 중국 서호지방의 정 토결사와 거의 동시대이다. 이 시대에 있었던 양국의 결사의 관련성에 대해서는, 향후 연구에 기대하여 본다. Yeosan's Jeongtogyeolsa unfolds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ime and region in the long history of East Asian Buddhism. This study examines the Jeongtogyeolsa that occurred from the 10th to the 13th century, focusing on the West Lake region of Hangzhou, China. In the 10th century, Seongsang admired the family style of Yeosan Hyewon, formed an association movement called 'Jeonghaengsa', and was recorded as Josa (Patriarch, 祖師) of Yeonsa (蓮社) in the literature such as “Lèbāngwénlèi”.(樂邦文類) However, Seongsang did not recite the Amitabha Buddha or Pure Land Sutras. He conducted Sangyeong (transcribing the contents of Buddhist scriptures) of “Avatamska Sutra” “Jeonghaengpun”(淨行品) as a writing in blood (血書), and printed and donated it, and externally, he has a strong Hwaeomhaengja character rather than the Pure Land Practice. However, based on the Sanfu (三福) of Pure Land Rebirth, which was preached by Seondo based on the authority of 'Amitayurdhyana Sutra', the significance of Jeonghaengsa is that it is a Pure Land Practice that practiced Happiness (行福) among Sanfu. Seongsang's Jeonghaengsa is referred to as the 'West Lake association movement' in later literature, which suggests a change in the method of performing Jeonghaengsa. The West Lake association movement is developed by Wanggo, the great‐grandson of Munjeonggong, who was the representative of Jeonghaengsa, as a practice that combines Chingmyeongyeombul (Buddha and bodhisattvas name chanting) and life‐releasing. In addition, Wangchung also participated in the West Lake association movement, but there is no record of life‐releasing, and it differs from Wanggo's West Lake association movement in that the number of “Amitâbha Sūtra” recitations and Chingmyeongyeombul is fixed. Meanwhile, a record of the West Lake Gyenyeomhoe Associ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West Lake association movement, is reported in the West Lake region, and it the Pure Land Practice with the Buddha statue (佛像) as the object of Gyenyeom. ‘Gyenyeom’ means ‘concentrating one’s thoughts on one object’, and the reliable authority of sutras that Yukjun made the Buddha statue, that is, the Buddha as the object of Gyenyeom as the cause (因) of Pure Land Rebirth, can be found in 'Karunapundarika‐sutra' and 'Amitayurdhyana Sutra', etc. Suseonsa temple and Baekryeon association movement, which took place in Goryeo in the late 12th century, is almost contemporary with Jeongtogyeolsa in the West Lake region in China.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future research on the relevance of the association movement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this era.

      • KCI등재

        중국 연종조사설에 대한 고찰(1)

        최복희(오인) 한국정토학회 2022 정토학연구 Vol.37 No.-

        본고는 중국의 연종조사설(이후 조사설), 즉 중국 정토종의 사자상승(師資相承)에 관한 종합적인 연구이다. 조사설에 관한 종합적인 연구는 2013년에 진검굉(陳劍鍠)이 하였으나, 문헌의 누락 및 분석의 오류 등으로 인하여 미비한 점이 많았다. 본고의 연구 범위는 7세기부터 19세기까지, 중국과 일본의 불교문헌을 중심으로 하였다. 조사설은 5조설을 시작으로, 조사들의 숫자가 점차 증가하며 성립된 것이 아니다. 12세기에 걸쳐서 성립된 조사설은 매우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특히 중국 연종의 시작인 혜원을 ‘시조(始祖)’ 또는 ‘일조(一祖)’로 판단하는 문제는 조사설의 전개에 있어서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나 학자들마다 관련 문헌의 해석을 달리하기 때문에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한편 일본의 법연(法然)은 정토종을 세 가지 유파로 구분하고, 도작선도류를 『안락집』과 당·송의 두 『고승전』을 전거로 한, 두 가지 전승설로 나누었다. 그런데 도작선도류의 문제는, 『안락집』 전거의 전승에는 도작과 선도가 없으며, 두 『고승전』에는 선도 개인의 전기가 수록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은 문제를 내포한 『고승전』 전거의 도작선도류는, 법연이 중원(重源)에게 부탁하여 일본으로 장래한 ‘정토오조상도’의 5명의 연사와 일치한다. 때문에, 법연이 조상도를 근거로 하여, 『고승전』 전거의 도작선도류를 성립하였다고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 하지만 일본의 카즈키 죠코(香月乗光)를 비롯한 일부 학자들은 조상도의 장래를 부정하고, 『고승전』 전거의 도작선도류는 법연의 독립적인 견해라고 주장한다. 7세기에서 19세기까지의 조사설은, 『안락집』과 두 『고승전』을 전거로 한 6조설을 시작으로 『낙방문류』의 7조설, 조상도의 5조설, 그리고 『낙방문류』의 5조설의 순서로 형성되고, 『불조통기』의 ‘혜원→선도→승원’설이 이후 조사설의 근간이 되었다. This is a comprehensive study about the Chinese liánzōng Patriarch theory (蓮宗祖師說; hereinafter, Patriarch theory), that is, the Sajasangseung (師資相承; A disciple receives the dharma from his master, and mutually inherits the teachings of the Buddha) of China's Pure Land Buddhism. Although a comprehensive study on the Patriarch theory was conducted by Chen Chien‐huang (陳劍鍠) in 2013, there were many deficiencies due to omission of literature and errors in analysis. This study focuses on Buddhist literature in China and Japan from the 7th to the 19th centuries, and the Patriarch theory was not established by gradually increasing the number of Patriarchs, starting with the five Patriarch theory. The Patriarch theory established over the course of the 12th century is very complex. In particular, the issue of judging Huìyuǎn, the beginning of Chinese liánzōng, as ‘originator (始祖)’ or ‘progenitor (一祖)’ is an important issue in the development of Patriarch theory, but even scholars have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related literature, increasing confusion. On the other hand, Japanese Hōnen divided the Pure Land Buddhism into three sects (流波), and the group of Dao‐chuo shàn‐dăo was divided into two transmission theories, sourced from “Anle‐ji (安樂集; Paradise Collection)” and two “Gaoseng Zhuan” through Tang‐Song (唐‐宋). However, the issue with the group of Dao‐chuo shàn‐dăo is that there are no Dao‐chuo and shàn‐dăo in the tradition of the “Anle‐ji” source, and the personal biography of shàn‐dăo is not included in the two “Gaoseng Zhuan”. The group of Dao‐chuo shàn‐dăo from the “Gaoseng Zhuan” source, which contains such issues, is the 'Pure Land 5 Patriarch Image(淨土五 祖像圖)', which Hōnen(法然) commissioned Chōgen(重源) and transmitted(將來) to Japan, which matches the five liánzōng Patriarchs. Therefore, it is natural to think that Hōnen formed a group of Dao‐chuo shàn‐dăo in the “Gaoseng Zhuan” source based on the Patriarch image. However, some scholars, including Japanese Kathuki joukou, deny the transmission of the Patriarch image, and claim that the group of Daochuo shàn‐dăo from the “Gaoseng Zhuan” source is Hōnen's independent view. The Patriarch theory from the 7th century to the 19th century, starting with the 6 Patriarch theory with “Anle‐ji” and two “Gaoseng Zhuan” as the source, was formed in the order of 7 Patriarch theory of “Le Bang Wen Lei”, 5 Patriarch theory of Patriarch image, and 5 Patriarch theory of “Le Bang Wen Lei”, and the ‘Huìyuǎn→shàn‐dăo→Seungwon’ theory of “Fozu Tongji (General History of Chinese Buddhism)” became the basis of the later Patriarch theory.

      • KCI등재

        우요칠잡에 대한 고찰 - 붓다의 다비식을 중심으로

        최복희(오인) 한국정토학회 2021 정토학연구 Vol.35 No.-

        붓다에 대한 다양한 예경법 중에 요잡(繞匝)이 있다. 이는 예배자가 예배대상인 붓다의 주위를 돌면서 예를 올리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우요삼 잡(右繞三匝)’이라고 한다. 하지만, 경전에는 요잡의 대상과 방향, 횟수가 ‘붓다’, ‘우요’, ‘삼잡’으로 한정되어 있지 않으며,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요잡이라고 하면, ‘우요삼잡’만을 말하며, 나아가 요잡연구는 불교건축, 탑돌이 등에서 일부 내용으로 다루어지는 정 도이며, 전문적인 연구논문은 한편도 없다. 본고에서는 우요삼잡과는 조금 다른 양상을 보이는 우요칠잡에 관하여 살펴보았는데, 특히 붓다의 다비식과 관련하여 고찰하였다. 대부분의 우요 삼잡이 생신(生身)의 붓다에 대한 예법이라면, 우요칠잡은 붓다의 다비식 이나 붓다의 광명 등과 관계하기 때문이다. 전륜성왕의 장례법을 그대로 수용한 붓다의 다비식에서 칠잡을 한 것은, 붓다의 금관이 구시나가라 성문을 지날 때, 다비장에 도착하여 향나무 주변을 돌 때, 가섭에게 곽시쌍부를 하실 때 등이다. 이 가운데, 가장 복잡한 양상을 보이는 것은 붓다의 금관이 구시나가라 성문을 지날 때인데, 『대반열반경후분』에 나타난 방향성은 우요, 좌요, 직 진 등이 혼재되어 있었다. 때문에, 본고에서는 ‘우요칠잡’이라고 하지 않 고, ‘칠잡’이라고 하였다. 칠잡은 원래 고대 인도의 국왕에게 올리는 예법이었으며, 이는 전륜성 왕의 7보에 대한 존경과 감사를 상징하는 것이었다. 한편, 붓다에게 행한 칠잡은 7각지로 해석할 수 있으며, 또는 『대반열반경후분』에서 설한 3잡과 4잡이라면, 삼계와 사생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 다. 요잡에 대한 고찰은 한국불교에서 49재 등의 재의식에서 법당을 돌거 나, 탑돌이 등의 성격을 규명함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관해서는 향후의 과제로 하고자 한다. There is Yojap (繞匝) that is one of the various manners of worship for Buddha. It is the worshiper's practice while walking around the Buddha, who is the object of worship, and is generally referred to as ‘U-yo-3-jap (右繞三匝)’. However, in the scriptures, the object, direction, and number of Yojap are not limited to ‘Buddha’, ‘U-yo’, and ‘3jap’, and appear in a wide variety of forms. Nevertheless, when speaking of Yojap, it means that only ‘Uyo3jap’ is spoken, and furthermore, Yojap research is covered in part in Buddhist architecture and Tabdori (Going-round-pagoda), etc., but there are no specialized research papers. In this study, we explored U-yo-7-jap, which has a slightly different aspect from U-yo-3-jap, and in particular, it was considered in relation to the Buddha's cremation ceremony. It is because most of the Uyo3jap is a manner of living flesh (生身) Buddha, whereas Uyo7jap is related to Buddha’s cremation ceremony or Buddha’s light. The 7jap at the Buddha's cremation ceremony, which accepted Chakravartin funeral ritual as it is, includes when the Buddha’s brass crown passes the Kusinagara gates, when it arrives at Dabijang (Buddhist funeral ritual) and comes around the juniper, and when Gwakshissangbu (Showing two feet out of the coffin) is shown to Kashyapa. Among these, the most complex aspect is when the Buddha’s golden crown passes through the Kusinagara gate, and the direction shown in “the 2nd Half of Maha Parinirvana Sutra” was a mixture of Uyo, Gwayo, and Jikjin. Therefore, in this paper, it is not called ‘Uyo7jap’, but ‘7jap’. 7jap was originally a ritual given to the king of ancient India, and it symbolized the respect and appreciation of Chakravartin’s 7bo. Meanwhile, 7jap conducted to Buddha can be interpreted as 7Gakji, or Or, if it is 3jap and 4jap as preached in “the 2nd Half of Maha Parinirvana Sutra”, it can also be seen as 3 Worlds and 4 Lives. Investigations of Yojap is important in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abdori (Going‐round‐pagoda) when visiting the temple hall in Jae ritual such as 49Jae (Jae; Buddhist service for the dead) in Korean Buddhism, and will be a future research task.

      • KCI등재

        진표의 망신참과 탑참법

        오인(최복희)(O In(Choi Bok-hee)) 한국역사민속학회 2018 역사민속학 Vol.0 No.54

        일연은 『삼국유사』의 『진표전간』조에서 진표의 망신참(亡身懺)을 설명하면서, 『당승전』을 인용하여 탑참법과 박참법에 대하여 언급하고 있다. 탑참법은 『점찰경』을 근거로 하며, 2장의 첩을 던져 선악을 점치는 것이라고 하였는데, 『점찰경』에는 이와 같은 행법의 탑참법이 설하여져 있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자들은 탑참법에 관한 『당승전』과 일연의 기록을 검토 없이 수용하고 있다. 이는 탑참법에 관한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져 있지 않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국외의 탑참법연구도 예외는 아니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하여 논자는 경전을 통하여 탑참법을 고찰하였는데 『관불삼매해경』에 설하여져 있는 참법과 밀접하게 관련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동경(同經)에서, 탑참법은 참회자가 불탑 내에 들어가서 봉안된 불상의 백호를 관하면서 오체투지를 하는데, 백호에서 광명이 비추이는 서상을 친견해야하는 참법이었다. 즉, 입탑과 오체투지가 참법의 주요 행위인 것이다. 그런데, 선도(613~681)는 『관념아미타불상해삼매공덕법문』을 찬술하고, 『관불삼매해경』의 내용보다, 행법이 복잡하고, 보다 상세히 광명의 서상과 참회기간 등을 제시한 탑참법을 설하고 있다. 이는 당시의 중국 도교의 자박(目搏)법과 관련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간주된다. 도교의 자박법은 고두(叩頭)의 행위를 통하여, 치병(治病)이나 자신의 허물을 뉘우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시대적 배경은 불교의 오체투지를 동일한 개념으로 수용하기에 충분하였던 것이다. 한편, 진표의 스승인 숭제는 진표에게 자서수계를 위해서는 망신참을 하도록 하였다. 숭제는 선도의 문하에서 수행하였기 때문에 진표의 망신참을 선도의 영향으로 간주하기 쉽다. 하지만, 수족이 부러지고 피를 흘리는 등의 격렬한 오체투지의 참법은 선도보다는 그의 제자 회감의 저술인 『석정토군의론』에 나타나고 있다. 때문에, 진표가 행한 격렬한 망신참은 선도는 물론 회감의 영향력도 배제할 수는 없다. 진표의 망신참은 점찰법회와 함께 속리산의 영심과 동화사로 계승되었다. Ilyeon refers to Tamchambeop and Bakchambeop, quoting “Dangseungjeon”, while explaining Jinpyo’s Mangshincham in “JinpyoJeongan” Jo in “Samgu kyusa”. Tamchambeop is based on “Jeomchalgyeong”, and it is said that two pieces of Cheop are thrown to predict good and evil and that “Jeomchalgyeong” does not mention Tamchambeop of Haengbeop like this. Nevertheless, scholars accept the records of “Dangseungjeon” and Ilyeon about Tamchambeop without any review. This demonstrates that the research on Tamchambeop is not carried out appropriately. Tamchambeop studies abroad are no exception. To address these problems, I reviewed Tamchambeop through reading the Sutras, and this confirms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Chambeop described in “Bulseolgwanbulsamaehaegyeong.” In Donggyeong, Tamchambeop was Cham beop, where the confessor entered the pagoda and looked at Baekho enshrined in the Buddhist statue, performing Ochetuji, and had to witness the Seosang shining light from Baekho. In other words, Iptap and Ochetuji are the main activities of Chambeop. However, Seondo (613-681) wrote “GwannyeomAmitabhaHaesamaegongde okbeopmun”, describing Tamchambeop, which is more complex than Haengbeop in the context of “Gwanbulsamaehaegyeong,” and presents Gwangmyeong’s Seosang and the period of repentance in more detail. This is considered to be related to the Jabakbeop of Chinese Taoism at the time. Jabakbeop of Taoism is the treatment of disease or the repentance of one’s faults through Godu activity. Such a background was enough to accommodate the Ochetuji of Buddhism with the same concept. On the other hand, Jinpyo’s mentor, Sungje, told Jinpyo to conduct Mangshincham for Jaseosugye. Since Sungje disciplined himself under Seondo, it is easy to regard Jinpyo’s Mangshincham as Seondo’s influence. However, the intense Ochetuji Chambeop, such as the breaking of hands and feet and the bleeding, is seen in “Seokjeongtogunuiron”, written by his disciple Hoegam, rather than Seondo. Therefore, the intense Mangshincham performed by Jinpyo cannot rule out the influence of Hoegam as well as Seondo. Jinpyo’s Mangshincham was succeeded by Yeongshim of Sokrisan and Donghwasa along with Jeomchalbeophoe.

      • KCI등재

        한국 나한신앙의 특성 - 16나한과 500나한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최복희(오인) 한국정토학회 2016 정토학연구 Vol.26 No.-

        나한신앙은 관음신앙이나 지장신앙 등과 같이 신앙의 대상이 한 분이 아니다. 16나한, 18나한, 500나한 및 나반존자까지 포함하면, 신앙대상의 숫자가 다양한 것이 특징이다. 때문에, 운문사를 비롯한 거조암과 기림사 등의 나한전에는 16나한과 500나한의 존상이 함께 봉안되어 있다. 본고는 이 나한신앙들의 성격이 동일한 것인가라는 의문에서 출발하였다. 우선, 『大阿羅漢難提蜜多羅所說法住記』(이하, 『법주기』)를 소의경전으로 하는 16나한신앙의 성립을 두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는데, 하나는 ‘16’의 숫자이며, 다른 하나는 16인의 상수에 관해서이다. 경전에 나타난 ‘16’과 관련한 인물에 대한 용어는, ‘16재가보살’, ‘16현사’, ‘16정사’ 등이다. 이들 용어와 16나한 성립의 관련성은, ‘16’이라는 숫자의 공통성과 이들의 상수인 발타바라가 16나한에서는 제6존자로 상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16나한의 상수는 발타바라가 아닌 빈두로라는 점에 유의해야한다. 빈두로사상은 『법주기』 성립 이전부터 존재하였지만, 5세기에 한역된 『입대승론』과 『치선병비요법』등에는 빈두로를 대승이 아닌 성문이라고 설한다. 그런데, 학자들은 『법주기』가 소승적 성격으로 독립된 신앙이었던 빈두로신앙을 대승적으로 발전시켰으며, 나아가 나한의 개념도 대승적으로 변화시켰다고 주장한다. 이 견해들은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빈두로가 성문의 성격을 지니기 때문이다. 빈두로는 호법과 복전이라는 두 가지 성격을 가지고 있다. 그의 호법은 붓다의 꾸짖음과 4대성문 이라는 두 가지 측면이 있지만, 500나한과 함께 봉안된 16나한은 복전보다는 호법의 성격을 강조하고 있다고 본다. 500나한은 붓다의 재세시는 물론 전생담에도 자주 등장하여, 붓다와 다양하고 밀접한 관련성을 지닌다. 그러나 본고는 16나한을 함께 봉안하는 500나한의 성격을 붓다 열반 후 제1차 결집과 관련하여 규명하였다. 즉, 법장을 결집한 500나한인 것이다. 이상과 같이, 16나한은 호법의 상징이며, 500나한은 법장의 결집이라고 하는 성격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한국 사찰에서는 500나한전에 16나한을 함께 봉안하고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한국 나한신앙의 특징인 나반존자신앙에 대한 고찰은 생략하였다. 이는 향후의 과제로 하고자 한다. Buddha's disciples are not the object of the belief unlike Avalokitesvara in Avalokitesvara belief or Ksitigarbha in Ksitigarbha belief. The number of objects for the belief is diverse such as 16 Buddha's disciples, 18 Buddha's disciples, 500 Buddha's disciples and Nabanjonja. Therefore, at Buddha's disciples building in Unmun Temple, Geojoam and Kirim Temple sacred images of 16 Buddha's disciples and 500 Buddha's disciples are enshrined together. This study started from the question if those Buddha's disciple beliefs have the same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establishment of 16 Buddha's disciples belief based on “Taearahannanjemindarasoseolbeopjugi(大阿羅漢難提蜜多羅所說法住記)” (“Beopjuhi” hereunder) was reviewed from two perspectives. One is regarding the number of '16' and the other is regarding 16 Sangsu's. Terminologies related to number '16' in scriptures are ‘16 Non‐Sangha Bodhisattva’ ‘16 sages’ and ‘16 Jeongsa’ and etc. Relationship between these terminologies and 16 Buddha's disciples lies in that they have ‘16’ in common and their Sangsu Bhadrapala is appointed as the 6th Jongja in 16 Buddha's disciples.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Sangsu of 16 Buddha's disciples is not Bhadrapala but Pindola. Pindola ideology has existed before the establishment of “Beopjugi,” but in “Ibtaeseungron” and “Chiseonbyungbiyobeop” which were translated into Korean in the 5th century, Pindola is taught as Sravaka rather than Great Monk. Scholars addressed that “Beopjugi” developed Pindola belief which was independent belief with minor characteristics into major, and that it developed concept of Buddha's disciples to major point of view. For, Pindola has characteristics of Sravaka. Pindola has two characteristics such as Hobeop and Bokjeon. Although his Hobeop has two aspects such as scold by Buddha and 4 Great Sravaka, it is considered that 16 Buddha's disciples enshrined with 500 Buddha's disciples emphasized Hobeop rather than Bokjeon. 500 Buddha's disciples often appear not only in Buddha's current life but also in Buddha's previous lives, and they have made diverse and close relations with Buddha. However, this article clarified characteristics of 500 Buddha's disciples with 16 Buddha's disciples relating with the First Unity after Buddha's entering into nirvana. In other words this article dealt with 500 Buddha's disciples who united scriptures. As we have reviewed before, 16 Buddha's disciples are symbols of Hobeop and 500 Buddha's disciples are Unity of Scriptures. Therefore, in temples in Korea 16 Buddha's disciples are enshrined in 500 Buddha's disciples' building. In this article review on Nabanjongja belief which is unique in Korea is not included. We would like to leave it as a future task.

      • KCI등재

        육시게송(六時偈頌)에 대한 고찰 - 선도의『왕생예찬게』를 중심으로 -

        최복희(오인) 한국정토학회 2023 정토학연구 Vol.40 No.-

        선도의『왕생예찬게』는 정토발원을 위한 육시예참문이다. 본 육시예참이 일몰시(日沒時)부터 시작되는 것은 아미타불의 불국토가 서쪽에 있기 때문이며, 『관무량수경』에 설해져 있는 16관법도 일몰을 관하는 ‘일상관(日想觀)’부터 시작하는 것이다. 『왕생예찬게』에 설해져 있는 육시게송을 중심으로 하여, 용어 및 내용을 관련 경전들에서 살펴보았다. 첫 번째 ‘일몰게’는 일몰무상게, 황혼게, 황혼무상게, 일모무상게 등의 4가지 용어로 칭해지고 있으며, 게송의 내용 또한 각기 다르다. 제4그룹인 ‘황혼무상게’에는『법구경』 또는 『출요경』을 출전으로 하는 두 가지 계통의 인용설이 있다. 두 번째 ‘초야게’는 ‘초야게’와 ‘초야무상게’가 있지만, 두 용어가 혼용으로 사용되어 내용에 따라 2그룹으로 구분된다. 세 번째 ‘중야게’는 ‘중야무상게’와 용어는 두 가지이지만, 내용으로는 4그룹으로 구분된다. 네 번째 ‘후야게’는 ‘후야무상게’와 두 가지 용어가 있지만, 내용은 동일하다. 다섯 번째 ‘평단게’는 ‘인조게’ ‘인조청정게’로 세 가지 용어로 나타나지만, 내용에는 차이가 없다. 특히 평단게와 관련한『법원주림』과『사부율병론요용초』을 통하여『마하승기율』에서 유래하였음을 알 수 있다. 여섯 번째 ‘일중게’는 ‘오시게’, ‘오시무상게’, ‘일오무상게’의 4가지 용어가 있지만, 내용은 동일하다. 한편, 육시게송이 설해져 있는 예참문들의 구성형식은 동일하지 않다. 왕생예찬게 와 같이 각시(各時)의 예참문 끝부분에 해당하는 육시게송이 설해져 있는 것이 기본적인 형식이다. 하지만,『무상십례』에는 예참문 끝부분에 연속으로 설해져 있었으며,『예참문』(1)에서 ‘황혼게’와 ‘초야게’는 예참문의 중반에, ‘평단게’는 끝부분에 나타난다. 또한,『원각참문』에는 「예참법팔문」 가운데 여섯 번째인 ‘여잡사(餘雜事)’에 육시게송을 전부 모아서 일괄적으로 기록하고 있다. Shàn‐dăo’s Wangsaeng Yechange(往生禮讚偈) is a the six periods of worshipping and repentance wen(六時禮懺文) for Pure Land-Solemn Vow. The reason why this the six periods of worshipping and repentance begins at sunset(日沒時) is because the Buddha land of Amita Buddha is in the west, and the Sixteen Meditation Practices(十六觀法) established in the Amitāyurdhyāna Sūtra also starts with the “Contemplation of the Setting Sun(日想觀)“ regarding sunset. Focusing on the six periods verses(六時偈頌) written in the Wangsaeng Yechange, the terms and contents were examined in related Buddhist Sutras. The first “sunset verses(日沒偈)” is referred to in four terms: “sunset impermanence verses(日沒無常偈)” “dusk verses(黃昏偈)” “dusk impermanence verses(黃昏無常偈)” and “the twilight impermanence verses(日暮無常偈)”, and the contents of the song are also different. In the third group, “dusk impermanence verses(黃昏無常偈)” there are two categories of quotes, which include the Dhammapada(法句經) or the Chuyao jing(出曜經). The second “the early of night verses(初夜偈)” includes “the early of night verses” and “the early of night impermanence verses(初夜無常偈)”. However, the two terms are used interchangeably and are divided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the content. The third “the middle of night verses(中夜偈)” has two terms with “the middle of night impermanence verses (中夜無常偈)” but its contents are divided into four groups. The fourth “the night after tomorrow verses(後夜偈)” has two terms, “the night after tomorrow impermanence verses(後夜無常偈)” but the contents are the same. The fifth “early morning verses(平旦偈)” appears in three terms: “injo verses(寅朝偈)” and “injo clean verses(寅朝清淨偈)”, but there is no difference in content. In early morning verses, it can be seen that it originated from the Fayuan Zhulin(法苑珠林) through the Sibulü bing lun yao yongchao(四部律并論要用抄) related to Pyeongdange and the Mahāsaṅghika-vinaya(摩訶僧祇律). The sixth “Noon verses(日中偈)” has four terms: “oshige(午時偈)” “oshimusangge(午時無常偈)”, and “ilomusangge(日午無常偈),“ but the contents are the same. On the other hand, the compositional form of the li-chan-wen, where the six periods verses is established, is not the same. Like the Wangsaeng Yechange , it is a basic form that a six periods verses is written at the end of the li-chan-wen of each periods(各時). However, in the of The Bodhisattva Mañjuśrī’s Ten Unbounded Mind Bows(文殊師利菩薩無相十禮), it was consecutively erected at the end of the li-chan-wen, In the li-chan-wen(禮懺文)(1), “dusk verses(黃昏偈)” and “the early of night verses(初夜偈)” appear in the middle of the li-chan-wen, and “early morning verses(平旦偈)” appears at the end. In addition, in the Yuán-júe-jīng-dào-cháng-xiū-zhèng-yí(圓覺道場修證廣懺文), all six poems are collected and recorded collectively in the sixth of the 「the law of ritual and confession eight branches(禮懺法八門)」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