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자동조사기 기술체계확립을 위한 시험 (I)

        최병희,송기언,유시환,김화연,이용우 한국잠사학회 1971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13 No.2

        본 시험은 우리나라의 원료견질에 적합한 자동조사기의 기술체계를 확립하기 위한 연구로서 다음 결과를 얻었다. 1) 원료견 성상에 따른 생사량 및 조사능률을 감안한 합리적인 조사속도는 해서량호견(해서사장 850m)은 150m/min 내외, 해서중용견(해서사장 650m)은 120m/min 내외, 해서하량견(해서사장 500m)은 90~120m/min 이었다. 2) 건견온도별에 있어서 저온구(T$_3$)는 표준구(T$_1$) 및 고온구(T$_2$)에 비하여 해서율은 향상되나 사조고장은 증가하고 생사품위가 저하되었으며 생사량비율 및 부잠사양비율에 있어서는 유의차를 인정할 수 없었다. 3) 건견정도별에 있어서는 약건구(T$_3$)는 표준구(T$_1$) 및 과건구(T$_2$)에 비하여 해서율은 향상되었으나 사조고장이 증가하고 생사품위가 저하되었으며 생사량비율 및 부잠사량비율에 있어서는 유의차를 인정할 수 없었다. 따라서 자동조사의 합리적인 건견조건으로는 건견온도에 있어서 저온건견을 피하여 표준건견 내지 고온건견으로 하고 건견정도에 있어서는 약건을 피하여 표준건견내지 과건하는 방향으로 건조하는 것이 생사품위를 향상시키는데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4) 자동조사의 적합한 자견정도는 적자, 조사탕온도 4$0^{\circ}C$ 또는 약자, 조사탕온도 45$^{\circ}C$로 조절하여 주는것이 좋았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ocoon reeling condiditions required to technical balance work on the automatic silk reeling machin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Reasonable reeling velocity with regard to raw silk yield and to reeling efficiency varied according to cocoon reelability. It was observed to be about 150m/min on good reelability cocoon (850m of nonbreaking bave length), about 120m/min on medium reelability cocoon (650m of nonbreaking bave length) and from 90m/min to 120m/min on bad reelability cocoon (500m of nonbreaking bave length) 2) Low temperature drying of cocoon (T$_3$) improved the reelability of cocoon, but increased the reeling accidance with deteriorating the quality of raw silk more than the control(T$_1$) or high temperature drying of cocoon (T$_2$).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its raw silk yield and silk by-product with regard to cocoon drying temperature. 3) Incomplete drying of cocoon (T$_3$) improved the reelability of cocoon, but increased the reeling accidance with deteriorating the quality of raw silk more than the control(T$_1$) or over drying of cocoon(T$_2$).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its raw silk yield and silk by-product with regard to cocoon drying degree. It was cocoon drying condition of cocoon was the control(T$_1$) or high temperature(T$_2$) rather than low temperature (T$_3$) in cocoon drying process. Control (T$_1$) or over drying of cocoon (T$_2$) was adequate rather than incomplete drying of cocoon (T$_3$) for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raw silk on the automatic silk reeling process. 4) It was found that the reasonable cooking condition of cocoon was optimum cooking with 4$0^{\circ}C$ of reeling temperature or incomplete cooking with 45$^{\circ}C$ of the reeling temperature in the automatic silk reeling of the domestic cocoon.

      • KCI등재후보
      • 마취제처리에 의한 잠아선발에 대한 연구(II)

        최병희,이상풍 한국잠사학회 1973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15 No.2

        본연구는 육종선발 및 원잠종증식과정에서 5령기에 잠아를 마석시킨 다음 회생시간의 차이로 3구분으로 분리하여 얻어진 견질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ㆍ마취제사용이 1. 잠아건강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사실을 알렸으며 2. 육종과정에서 잠아선발의 기준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알렸으며 3. 원종제조과정에서 마취제 사용으로 균일성 있는 차대교잡생산에 도움이 되고 또한 잠종퇴화기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방법임을 일러냈다. 따라서 본연구는 잠아육종 및 원종증식과정에서 새로운 기술체계를 제안하는 결과로 된다.

      • 잠아 인공사료에 대한 연구 제1보 사료장기저장에 대한 기초연구

        최병희 한국잠사학회 1966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6 No.-

        본 연구는 잠아인공사료의 연구적일환으로서 사료저장에 대한 기초연구를 한것이며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료를 침적저장할 목적으로 Defarmentizer C.를 조성하였다. 2. 본 저장제는 호기성균을 억제할수 있으나 호기성균은 억제하지 못하였다. 3. 본 저장제는 사료를 무계절처리하여 동계 잠아사육이 가능하였다. 4. 본 사료저장법에서는 사료엽성숙도가 중요하며 완전히 성숙한 것이 안전하였다. 5. 완전히 성숙한 사료도 저장중 연화되어 잠아사료로서의 경도를 유지한다. 6. 본 저장제용액은 단백질등전점에 근접한 pH를 유지하여 사료단백질추출 억제되었다. 7. 본 저장제는 그 처리비용이 경제성을 유지하였다. 8. 인공사료재료로 사용할 야생식물엽의 조성분석결과는 그 사용가치가 인정되었다. This treatise was sat up as a basic study of the artificial diets of silk worm, both nursed and wild, by storing the natural leaves in defarmentizing solution an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ings. 1. Defarmentizer C, a kind of defarmentizer, was developed by the author in order to store any natural diet by soaking them in the solution. 2. The defarmentizer was workable for aerophobic bacteriums, but was not effectable for aerophilic bacteriums or fungus. 3. The defarmentized diet could feed silk worm during winter season. 4. The storing method has found the importance of growthness of the diet leaves and the perfect riped leaves were found as the best condition for the purpose. 5. The perfect riped leaves were softened properly during the soaking to be fed for silk worm. 6. The defarmentizing solution has held almost the same pH value of protein isoelectric point so that the protein extraction be ceased during the soaking process. 7. The utilization of defarmentizer has found an economical value. 5. The analytical results of various wild plant leaves were found to be usable as the artificial diet mixture for general silkworm.

      • High performance PEMFC MEA with a low Pt loading prepared by electrostatic spray deposition

        최병희,이성철,고범수 한국공업화학회 2016 한국공업화학회 연구논문 초록집 Vol.2016 No.0

        In this paper, the dual-catalyst layer of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PEMFC) 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was fabricated by electrostatic spray deposition (ESD) method for high performance. ESD is a process that an aerosol of a solution is ejected from metal syringe nozzle with a high applied voltage to a thin film on the counter electrode. The Solution consists of Nafion solution, Pt/C (Platinum on carbon black) and various solvents. The catalyst layer made by ESD has a fractal surface morphology. The catalyst surface morphology was analyz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image, the cathode electrochemical property and cell performance were measured by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and IV-curve. As a result, a high performance (2.0 A/㎠ @ 0.5V) of the PEMFC MEA at a low Pt loading is obtained.

      • 고치생산증대를 위한 의잠우열 분리와 자웅분리의 비교연구

        최병희 한국잠사학회 1973 한국잠사곤충학회지 Vol.15 No.2

        본연구는 "잠아우열분리제(BHC)"를 개발함으로서 의잠시 우열분리된 결과와 자웅분리한 결과를 비교한 것으로서 1. BHC 분리잠의 견질이 대조구보다 우수한 사실과 2. BHC 분리잠의 견질이 웅잠구보다 우수한 사실과 3. BHC 처리방법은 12∼13%의 농가소득증대의 결과를 초래함을 알게 되었다. 본방법은 내년부터 양잠농가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보급과정에 들어갈 수 있는 것이며 양잠기술의 혁명적 의의를 지니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