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영재학급 컨설팅을 통한 영재교사의 요구 분석

        김민정(MinJeong KIM),최병훈(ByoungHoon Choi) 한국영재교육학회 2016 영재와 영재교육 Vol.15 No.1

        본 연구는 실제 초등영재학급 컨설팅 사례를 대상으로 영재교사들이 영재학급을 운영하는데 있어 고민하고 있는 분야가 무엇이며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지 양적 분석을 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영재교사들의 실질적인 요구 사항을 파악해보고, 향후 바람직한 영재학급의 운영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영재교사는 주로 영재교육 운영방법 개선 및 학부모 학생 상담 및 연수, 영재교육 교수 학습방법 및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선 분야에 대한 순으로 고민이 컸으며, 특히 교육과정의 구 성, 프로그램의 공유 및 재구성, 교수 학습방법, 강사운영, 영재학급의 운영전반, 예산 측면에 대한 어려움이 많았다. 본 연구를 통해 영재교사에게 필요한 요소들에 대한 지원을 마련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what are the troubled fields in a gifted class and what kind of support is needed for elementary gifted class consultation. We tried to identify the requirements gifted teachers need and to get suggestions on the gifted education operation methods for the future. The results show that the major field needing consultation for a gifted class is gifted education methods of operation improvement, counseling and training for parents and gifted students, teaching the gifted and learning methods, and gifted education program improvement. Typically, it accounted for a large percentage of sub-elements by area like organization of curriculum, sharing and reorganization of program, teaching-learning methods, instructor operations, general management of the gifted class, and budget. Thus, this enables us to be a able to offer suggestions that can provide support for elements necessary for gifted classroom teachers.

      • KCI등재

        수학적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최병훈,방정숙 韓國英才學會 2012 영재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1997년부터 2011년까지 국내 등재(후보)학술지에 발표된 수학적 창의성과 관련한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수학적 창의성 교육의 미래 과제와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1997년부터 2011년까지 국내 등재(후보)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114편을 선정하여 분류기준에 따라 연도별, 대상별, 연구주제별, 연구방법별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적 창의성 교육 연구는 2000년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이루어졌고, 연구대상별 동향분석에서는 연구주제가 사람이 아닌 경우, 중등학생, 초등학생, 영재학생, 교사, 유치원생 순으로 많이 이루어졌다. 연구주제별 동향분석에서는 수학적 창의성 교육방법, 수학적 창의성의 일반연구, 수학적 창의성 측정과 평가 연구가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교과서 및 교육과정과 관련한 연구가 미진하였다. 연구방법별 동향에서는 질적연구방법이 양적연구방법에 비해 많았으며 혼합 연구방법은 저조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본 논문은 현재까지의 수학적 창의성이 어떻게 연구되었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114 papers about mathematical creativity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1997 to 2011 with regard to the years, objects, subjects, and methods of such research. The research of mathematical creativity education has been studied since 2000. The frequent objects in the research were non-hum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elementary students, gifted students, teachers (in-service and pre-service), and kindergarteners in order. The research on the teaching methods of mathematical creativity, the general study of mathematical creativity, or the measurement and the evaluation of mathematical creativity was active, whereas that of dealing with curricula and textbooks was rare.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more frequently used than the quantitative research one. The mixed research method was hardly used.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paper shows how mathematical creativity was studied until now and gives some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 in mathematical crea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